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바꿀 역.png

갑골문의 易 자는 손을 사용하여 하나의 그릇에 담긴 물을 다른 하나의 그릇에 부어넣는 형상이다. 이 자형은 후에 계속해서 간소화 되었으나, 그릇의 받침과 손잡이, 물방울을 나타내는 점 세 개는 절취하여 보존하였다. 易은 소전에 이르렀을 때 이미 모양이 변화하여 금문의 모습이 아니게 되었다. 易의 본래 의미는 ‘주다’이지만, 금문에서는 ‘상을 내리고 하사하다[赏赐]’의 ‘하사하다[赐]’로 상용되었으며, 또 ‘교환하다’, ‘바꾸다’, ‘변화하다’의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후에 易은 難(난)과 반대로 ‘쉽다’, ‘평이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易辙] 운행 노선을 바꾸는 것, 일을 처리하는 방법을 바꾸는 것의 비유

[易与] 대처하기 쉬운

文化

『설문해자』에서 易은 도마뱀을 그린 것이라고 설명한다. 도마뱀이 환경에 따라 색깔을 쉽게 바꾸기 때문에 ‘쉽다’와 ‘바꾸다’라는 의미가 나왔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이 글자는 그동안 蜴(도마뱀 척)의 본래 글자로 알려져 왔다. 이 밖에 勿 부분을 月의 변형으로 보아 해와 달이라는 설명도 있으며, 최근에는 그릇에 담긴 물을 다른 그릇으로 옮겨 붓는 모습이므로 물을 ‘갈다’가 본뜻이라는 설도 등장했다. 그릇에서 물이 흘러넘치는 모습이라는 益(익)과 발음이 매우 유사하므로 益 자의 절반이 易 자라는 것이다. 그러나 한자의 상형에서 대상의 특징을 잡아 그리느라 나머지 부수적인 부분을 생략한 경우는 많지만, 이 글자처럼 그릇의 절반을 뭉텅 잘라버리는 식의 표현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더구나 益 자도 물이 흘러넘치는 모양의 상형이 아니라 합성자라는 설이 있는데, 그 설에 따르면 전제 자체가 사라져버리는 셈이다.

易도 상형이거나 상형의 반쪽이 아니고 형성자다. 日은 의미 요소이고 아래 勿 부분은 발음기호를 나타내는 어떤 글자의 변형으로 보인다. 이 글자는 형태상 匀이나 月 등과 비슷한데, 이들과 관련이 있어 보이는 글자들이 많지만 易의 발음과 가까운 것이 夕・勺・乍 등이어서 그 변형일 가능성이 있다. 日이 의미요소이니 날짜가 ‘바뀌다’가 본뜻이었을 것이고, 하루하루가 빨리(쉽게) 지나간다는 관념으로부터 ‘쉽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을 것이다. 勿 부분이 夕이라면 낮[日]이 밤[夕]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했을 수도 있다.[1]

  1. 이재황, 『한자의 재발견』, NEWRUN, 2008, p.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