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Dhaakdi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6일 (화) 14:35 판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기본적으로 牡자는 왼쪽에는 소의 형상을, 오른쪽의 자형은 수컷동물의 생식기 형상을 나타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수컷 모.png

기본적으로 牡자는 왼쪽에는 소의 형상을, 오른쪽의 자형은 수컷동물의 생식기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회의자이다. 그래서 牡의 본뜻은 수컷 소, 바로 황소를 가리킨다. 하지만 갑골문에는 소 말고도 숫양, 수사슴, 수퇘지 등 다양한 수컷 동물을 가리키는 자형이 남아있다. 후세에 나머지 동물의 형상은 사라지고 수컷 소의 형상만 남아 이 형태가 일반적인 수컷을 통칭하는데 쓰이게 되었다. 예를 들어 牡马(수말), 牡羊(숫양)등이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오른쪽의 土는 발음성부로 작용한다고 설명한다.

文化

牡가 수컷을 뜻하므로 오른쪽의 土가 수컷의 생식기라는 해석은 어색하지 않아 보이지만, 土자는 여전히 해석이 분분한 글자이다. 서로 다른 시기에 서로 다른 형상을 띠고 있기에 정확한 해석이 더 어려운 부분이 있다. 몇몇 전문가는 어떤 나무의 싹이 흙을 뚫고 나오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주장하며, 다른 전문가는 마을 근처에서 볼 수 있는 무덤 같은 흙더미를 표현한 것이라고 말한다. 칼그렌은 土가 ‘생식기’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했다. 만약 그의 해석이 맞는다면 土자는 이 후 ‘번식’이라는 의미로 변했을 것이다. 하지만 갑골문의 처음 형식들을 살펴보면 이런 해석이 그다지 신빙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자는 분명 곧추선 물건을 형상화한 것임에 틀림없지만 이것만 가지고 생식기라 단정하기에는 어렵다. 왜냐하면 ‘土’자로 구성 된 글자 중 90%가 농업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里(마을 리)’, ‘栽(재배할 재’), ‘培(배양할 배)’가 있다. 나머지 10%중 절반은 마을에 존재하는 ‘屋(집 옥)’, ‘街(거리 가)’, ‘墳(무덤 분)’등을 나타내는 것이고, 나머지 절반은 ‘墻(담장 장)’, ‘堰(방죽 언)’과 같이 인류가 강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강물을 이용하기 위해 갖춰야 할 것 들을 나타낸다.[1] 그러나 예외적으로 ‘牡’자는 ‘수컷’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土가 쓰인 아주 일부 글자에서만이라도 ‘생식기’의 의미로 쓰였을 가능성도 있다. 혹은 송아지를 낳아야하는 암소보다 수소가 ‘土’, 즉 흙 위에서 농사일을 더 많이 하기에 이런 뜻이 파생되었을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1.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김하림․하영삼 역, 청년사, 2002, p.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