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瑟"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文化)
2번째 줄: 2번째 줄:
 
瑟은 많은 현을 가진 현악기의 형상으로, 아랫부분의 必은 성부로, 후에 추가된 것이라 하였다.<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ref> 瑟의 갑골자형이 아직 분명하게 드러난 것은 아니나, 서보귀는 다음의 표에 제시된 갑골문들을 瑟의 갑골 당시의 자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瑟은 본디 상형자로, 瑟의 받침대를 포함한 악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냈다는 것이다. 『說文』에서 제시한‘瑟’자의 古文(표에서의 소전체)과 다음의 자형을 비교해보면 형태가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다. 즉 徐寶貴는 이를 바탕으로 이 두 글자는 같은 글자이며, 『說文』의 古文은 갑골문의 訛變이라고 보았다.『說文解字注』에서는 ‘瑟’자가 먼저 생기고 나중에 ‘琴’자가 이것을 따랐다고 언급하였다.<ref> 『說文解字注』 “古文瑟。玩古文琴瑟二字。似先造瑟字、而琴从之。”</ref>  고문헌에서 ‘瑟’은 일찍이 등장하였고, 물론 현대에 정해진 의미인 그 현악기를 뜻한다. 『說文』에서 ‘瑟’은 庖犧가 만든 현악기라고 하였다. <ref>『說文·瑟部』 “庖犧所作弦樂也。从珡必聲。”</ref> 갑골문  『花園 130』,  『花園 372』 등에서 언급된 바 있다.
 
瑟은 많은 현을 가진 현악기의 형상으로, 아랫부분의 必은 성부로, 후에 추가된 것이라 하였다.<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ref> 瑟의 갑골자형이 아직 분명하게 드러난 것은 아니나, 서보귀는 다음의 표에 제시된 갑골문들을 瑟의 갑골 당시의 자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瑟은 본디 상형자로, 瑟의 받침대를 포함한 악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냈다는 것이다. 『說文』에서 제시한‘瑟’자의 古文(표에서의 소전체)과 다음의 자형을 비교해보면 형태가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다. 즉 徐寶貴는 이를 바탕으로 이 두 글자는 같은 글자이며, 『說文』의 古文은 갑골문의 訛變이라고 보았다.『說文解字注』에서는 ‘瑟’자가 먼저 생기고 나중에 ‘琴’자가 이것을 따랐다고 언급하였다.<ref> 『說文解字注』 “古文瑟。玩古文琴瑟二字。似先造瑟字、而琴从之。”</ref>  고문헌에서 ‘瑟’은 일찍이 등장하였고, 물론 현대에 정해진 의미인 그 현악기를 뜻한다. 『說文』에서 ‘瑟’은 庖犧가 만든 현악기라고 하였다. <ref>『說文·瑟部』 “庖犧所作弦樂也。从珡必聲。”</ref> 갑골문  『花園 130』,  『花園 372』 등에서 언급된 바 있다.
 
==文化==
 
==文化==
또한『詩經·周南·關雎』“琴瑟友之”나 『詩經·小雅·鹿鳴』“鼓瑟吹笙” 등 고문헌에 ‘瑟’이 악기 이름으로서 등장하고 있는 것을 통해 현악기인 瑟이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갑골문에 이미 현악기 이름인 ‘瑟’자가 존재하는 것 역시 당연한 일이다. 다만 출토 유물 중에서는 아직 商代의 것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현악기의 재질이 비교적 오랜 시간동안 보존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ref>김혜진, 「甲骨文을 통해서 본 商代의 音樂과 舞踊,」,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p.55-56. </ref>
+
또한『詩經·周南·關雎』“琴瑟友之”나 『詩經·小雅·鹿鳴』“鼓瑟吹笙” 등 고문헌에 ‘瑟’이 악기 이름으로서 등장하고 있는 것을 통해 현악기인 瑟이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갑골문에 이미 현악기 이름인 ‘瑟’자가 존재하는 것 역시 당연한 일이다. 다만 출토 유물 중에서는 아직 商代의 것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현악기의 재질이 비교적 오랜 시간동안 보존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ref>김혜진, 「甲骨文을 통해서 본 商代의 音樂과 舞踊,」,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p.55-56. </ref>
 +
 
 
==출처==
 
==출처==
 
김혜진, 「甲骨文을 통해서 본 商代의 音樂과 舞踊,」,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김혜진, 「甲骨文을 통해서 본 商代의 音樂과 舞踊,」,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2018년 12월 16일 (일) 03:17 판

語源

瑟은 많은 현을 가진 현악기의 형상으로, 아랫부분의 必은 성부로, 후에 추가된 것이라 하였다.[1] 瑟의 갑골자형이 아직 분명하게 드러난 것은 아니나, 서보귀는 다음의 표에 제시된 갑골문들을 瑟의 갑골 당시의 자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瑟은 본디 상형자로, 瑟의 받침대를 포함한 악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냈다는 것이다. 『說文』에서 제시한‘瑟’자의 古文(표에서의 소전체)과 다음의 자형을 비교해보면 형태가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다. 즉 徐寶貴는 이를 바탕으로 이 두 글자는 같은 글자이며, 『說文』의 古文은 갑골문의 訛變이라고 보았다.『說文解字注』에서는 ‘瑟’자가 먼저 생기고 나중에 ‘琴’자가 이것을 따랐다고 언급하였다.[2] 고문헌에서 ‘瑟’은 일찍이 등장하였고, 물론 현대에 정해진 의미인 그 현악기를 뜻한다. 『說文』에서 ‘瑟’은 庖犧가 만든 현악기라고 하였다. [3] 갑골문 『花園 130』, 『花園 372』 등에서 언급된 바 있다.

文化

또한『詩經·周南·關雎』“琴瑟友之”나 『詩經·小雅·鹿鳴』“鼓瑟吹笙” 등 고문헌에 ‘瑟’이 악기 이름으로서 등장하고 있는 것을 통해 현악기인 瑟이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갑골문에 이미 현악기 이름인 ‘瑟’자가 존재하는 것 역시 당연한 일이다. 다만 출토 유물 중에서는 아직 商代의 것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현악기의 재질이 비교적 오랜 시간동안 보존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4]

출처

김혜진, 「甲骨文을 통해서 본 商代의 音樂과 舞踊,」,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1. 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2. 『說文解字注』 “古文瑟。玩古文琴瑟二字。似先造瑟字、而琴从之。”
  3. 『說文·瑟部』 “庖犧所作弦樂也。从珡必聲。”
  4. 김혜진, 「甲骨文을 통해서 본 商代의 音樂과 舞踊,」,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p.5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