負荊請罪

ChineseWiki
Noxess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1월 17일 (화) 11:51 판 (새 문서: 부형청죄(負荊請罪)는 사기 염파인상여열전(廉頗藺相如列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이다. 진()나라 소양왕이 패권을 가지고 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형청죄(負荊請罪)는 사기 염파인상여열전(廉頗藺相如列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이다.

진()나라 소양왕이 패권을 가지고 있던 전국시대 말엽 조()나라 혜문왕(惠文王)에게는 염파(廉頗)와 인상여(藺相如)라는 두 신하가 있었다.

인상여는 뛰어난 언변으로 조나라의 보물 화씨지벽을 지키고 진나라의 위협으로부터 조나라를 구한 인물이었다. 혜문왕은 인상여의 공을 높이 사 상경(上卿)이라는 높은 벼슬에 임명하였다.

그러자 대장군 염파는 목숨을 걸고 싸운 자신에 비해 출신도 천하고, 나이도 어린 인상여가 더 높은 지위에 오르자 이렇게 공공연히 말하고 다녔다.

"나는 성을 공격하고 들에서 싸워 큰 공을 세웠다. 하지만 인상여는 입을 놀린 일밖에 한 일이 없는데 나보다 윗자리에 앉다니. 내 어찌 그런 자 밑에 있을 수 있겠는가. 언제고 그를 만나면 반드시 망신을 주고 말리라"

이 말을 들은 인상여는 아프다고 핑계대고 조회에도 참석하지 않았고, 집 밖을 나서다 저 멀리 염파가 보이자 마차를 돌리는 등 염파를 피했다.

이러한 모습을 보고 인상여가 염파를 두려워한다고 생각한 문객들은 인상여에게 실망하여 그를 떠나고자 하였다.

그러자 인상여가 말했다.

"진나라 왕도 겁내지 않는 제가 설마 유독 염 장군만 두려워하겠습니까. 저는 호전적인 진나라가 감히 우리 조나라에 쳐들어오지 못하는 까닭은 바로 우리 두 사람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두 호랑이가 싸우면 틀림없이 둘 중 하나가 죽게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제가 이렇게 처신하는 것입니다. 국가의 위급함이 개인의 원한보다 중요합니다."

이 말을 전해들은 염파는 크게 뉘우치며 '웃통을 벗고 가시나무를 등에 지고' 인상여를 찾아가서는 "비천한 놈이 장군의 넓은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였으니 벌을 주시오"라고 사죄하였다. 이러한 인상여와 염파의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 바로 가시나무를 지고 죄를 청한다는 부형청죄이다. 다른 말로는 육단부형(肉袒負荊)이라고도 하는데,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처벌해 줄 것을 자청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중국 고사성어 사전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