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伏"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語源)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엎드릴 복.png|500픽셀|오른쪽]]
 
[[파일:엎드릴 복.png|500픽셀|오른쪽]]
 
[[금문]]의 '伏'자는, [[人]]와 [[犬]]로 구성되었으며, 한 마리의 개가 사람 옆에 엎드려 있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 본뜻은 ‘엎드리다’, ‘부복하다’이고, ‘은닉하다’, ‘잠복하다’의 뜻이 파생되었으며, 여기서 또 다시 뜻이 파생되어 ‘굴복하다’, ‘항복하다’, ‘제압하다’의 뜻이 있다. <br>
 
[[금문]]의 '伏'자는, [[人]]와 [[犬]]로 구성되었으며, 한 마리의 개가 사람 옆에 엎드려 있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 본뜻은 ‘엎드리다’, ‘부복하다’이고, ‘은닉하다’, ‘잠복하다’의 뜻이 파생되었으며, 여기서 또 다시 뜻이 파생되어 ‘굴복하다’, ‘항복하다’, ‘제압하다’의 뜻이 있다. <br>
[[설문]]에서 "‘伏'는 伺(엿보다, 기다리다)이다."라고 설명한다.
+
[[설문해자]]에서 "‘伏'는 伺(엿보다, 기다리다)이다."라고 설명한다.
  
 
==文化==
 
==文化==

2020년 12월 22일 (화) 18:30 판

語源

엎드릴 복.png

금문의 '伏'자는, 로 구성되었으며, 한 마리의 개가 사람 옆에 엎드려 있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 본뜻은 ‘엎드리다’, ‘부복하다’이고, ‘은닉하다’, ‘잠복하다’의 뜻이 파생되었으며, 여기서 또 다시 뜻이 파생되어 ‘굴복하다’, ‘항복하다’, ‘제압하다’의 뜻이 있다.
설문해자에서 "‘伏'는 伺(엿보다, 기다리다)이다."라고 설명한다.

文化

伏에 담긴 여러 가지 뜻은 개에 대한 중국인들의 태도를 알 수 있다. 伏자와 天(하늘 천)자가 만나면 伏天[복날]이란 단어가 되는데, 이는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를 말한다. 이때는 참기 힘들 정도로 더워서 모두 ‘엎드려 항복할’준비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1] 즉, 伏자는 일찍이 여름의 더운 삼복의 뜻으로 가차된 것이다.
史記· 秦本紀』에서는 “진(秦)나라 덕공 2년, 처음으로 복날을 정하여 개를 잡아서 열독을 제거하였다.”라는 기록이 있고, 『한서』(동방삭전)에도 “복날에 관해서 고기를 하사하였다.”라는 기사가 있다. 중국 후한(後漢)의 유희(劉熙)가 지은 사서(辭書)《석명(釋名)》에도 기록이 남아있다고 하는데 이 伏은 오행설(五行說)에 있어서 가을의 서늘한 금기(金氣)가 여름의 더운 화기(火氣)를 두려워하여 복장(伏藏 : 엎드려 감춘다)한다는 뜻에서 생겨난 말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여름에 복날을 정했던 유래와 개고기를 먹는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2]
복날은 개가 엎드려 있는 伏에서 기인하긴 했지만 개의 형상을 뜻하기 보다는 복날 무렵처럼 더운 시기에는 사람도 개처럼 바짝 엎드려 있다는 것, 혹은 가을의 금기도 엎드려 숨는다는 뜻으로 쓰인 것이니, 伏의 원래 뜻에서 발전된 의미로 쓰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이와 전혀 다른 해석을 내놓는다. 고대 중국인들은 고()라는 주술력이 부정한 일을 일으킨다고 믿었는데 이런 사악한 기운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후각이 예민한 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믿었다. 이에 무덤이나 건물을 지을 때 바닥에 개를 죽여서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을 伏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는 위의 『史記· 秦本紀』의 기록을 "처음으로 복(伏)을 한다. 개를 가지고 고(蠱)를 막는다"고 해석한다. 복이란 계절마다 행하는 의례이며 초복, 삼복이란 그 의례를 행하는 시기를 지칭한다고 한다. 갑골문에는 개를 희생으로 사용한 예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상제를 제사지는 , 개의 고기를 태우는 , 개의 희생을 받아서 신이 만족한다는 과 같은 글자에 개(犬)가 포함된 것이다. 개 희생을 가지고 기물을 정화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기물을 바치는 , 그릇 , 그릇 , 울다 과 같은 글자에 犬을 붙인 것은 그런 의미이다. [3]

  1.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김하림․하영삼 역, 청년사, 2002, p.124
  2. 이돈주, 《한자․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144
  3. 시라카와 시즈카, 《한자-기원과 그 배경》, AK, 2017, p.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