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來"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來) 뿌리와 잎, 줄기를 모두 갖춘 모종의 형상과 같다 그 본래의미는 밀을 뜻하는 것이...)
 
잔글 (語源)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올 래.png|500픽셀|오른쪽]]
 
[[파일:올 래.png|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來) 뿌리와 잎, 줄기를 모두 갖춘 모종의 형상과 같다 그 본래의미는 밀을 뜻하는 것이었다. 이 글자는 훗날 ‘오고가다’의 ‘오다’의 뜻으로 차용되었고 이에 저곳에서 이곳으로,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의 의미를 가지며, 이는 去와 상반된다. 또한 來의 본래의미(밀)는 훗날 麥(보리 맥)으로 대체되었다.
+
갑골문의 來는 뿌리와 잎, 줄기를 모두 갖춘 모종의 형상과 같다 그 본래의미는 밀을 뜻하는 것이었다. 이 글자는 훗날 ‘오고가다’의 ‘오다’의 뜻으로 차용되었고 이에 저곳에서 이곳으로,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의 의미를 가지며, 이는 去와 상반된다. 또한 來의 본래의미(밀)는 훗날 麥(보리 맥)으로 대체되었다.
  
 
==文化==
 
==文化==

2016년 11월 22일 (화) 10:52 판

語源

올 래.png

갑골문의 來는 뿌리와 잎, 줄기를 모두 갖춘 모종의 형상과 같다 그 본래의미는 밀을 뜻하는 것이었다. 이 글자는 훗날 ‘오고가다’의 ‘오다’의 뜻으로 차용되었고 이에 저곳에서 이곳으로,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의 의미를 가지며, 이는 去와 상반된다. 또한 來의 본래의미(밀)는 훗날 麥(보리 맥)으로 대체되었다.

文化

설문에서는 “주나라 땅에 떨어진 좋은 보리. 하나의 줄기에서 두 이삭이 나오며, 까끄라기가 찌른 형상을 본떴다. 하늘이 내려주신 것이라 하여 ‘오다가다’의 來로 가차되었다.”[1]고 해설한다. 물론 갑골문자에도 麥자가 있다. 이 자 역시 보리가 본뜻으로 보릿대의 뿌리와 잎, 줄기, 이삭을 본뜬 상형자. 따라서 기원적으로 來와 麥은 동의 이체자로서 두 자는 다 명사이던 것이 ‘來’자가 동사로 쓰이게 되자 후세에 麥자가 보리를 전칭하게 되었다. 보리 래(來)자가 ‘오다’의 뜻을 지니게 된 것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중국의 신석기 유적에서는 단지 신장 부근에서만 보리의 흔적이 일부 발견되는데, 상고시대에는 화북지구에서 보리가 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갑골의 각사에 ‘정월에 보리를 먹는다’ 라는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보리는 시절에 따른 특별한 음식이며 일상적으로 먹는 식품이 아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2] 이와 같은 정황상, 외부에서 들어온 곡물인 보리가 ‘오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지 않았나 하는 학설이 존재하며 단지 음의 가차라는 학설도 있다.

  1. 이돈주, 《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고대 문화》, 2006, 태학사, p.165에서 재인용.
  2. 許進雄 지음, 洪熹 옮김, 《중국고대사회》, 1991, 동문선, p.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