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化"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갑골, 금문, 소전 모두 똑바로 선 사람과 뒤집은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ref> ‘바로 서 있는 사람 옆에 다른 한 사람이 거...)
 
(文化)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갑골, 금문, 소전 모두 똑바로 선 사람과 뒤집은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ref> ‘바로 서 있는 사람 옆에 다른 한 사람이 거꾸로 서있는 모습이다. 그 의미는 불분명하다.’고 언급한 학자도 있다. 徐中舒는 갑골문자전p.912 </ref>. 李樂毅는 漢字正解p.71에서, 化에 대해 "두 사람이 있는데 한 사람은 바로 서 있고, 다른 한 사람은 거꾸로 서 있다. 곡예나 마술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본래 뜻은 변화하다 이다. 그 의미가 확장되어 조화, 죽음, 녹다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라고 풀이하였다. 선진, 양한의 문헌에서는 "변화하다, 교화하다, 죽다."와 같이 세 가지의 의미로 釋義하고 있다. 이로써 변화하다라는 본래의 의미에서 출발하여 교화, 죽다의 의미로 인신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그 의미가 크게 변하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견해를 종합하면 육서의 분류법에 따라 회의자, 회의겸형성자임을 생각할 수 있다.
+
[[파일:化.PNG|500픽셀|오른쪽]]
 +
‘화(化)’의 원래 뜻은 변화이다. 한 명은 제대로, 한 명은 반대로 총 두 명의 사람 형상이 있다. 앞뒤로, 때로는 위로 혹은 아래로 데굴데굴 굴러가는 것처럼 보인다. 이로부터 뒤집어 변화한다는 의미를 표시한 것이다. 갑골, 금문, 소전 모두 똑바로 선 사람과 뒤집은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br>
 +
바로 서 있는 사람 옆에 다른 한 사람이 거꾸로 서있는 모습인데 그 의미는 불분명하다고 풀이하거나 <ref>徐中舒, 갑골문자전, p.912 </ref> , 한 사람은 바로 서 있고, 다른 한 사람은 거꾸로 서서 곡예나 마술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ref>李樂毅, 漢字正解, p.71 </ref>풀이하기도 한다. <br>
 +
선진, 양한의 문헌에서는 "변화하다, 교화하다, 죽다."와 같이 세 가지의 의미로 釋義하고 있다. 이로써 변화하다라는 본래의 의미에서 출발하여 교화, 죽다의 의미로 인신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그 의미가 크게 변하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견해를 종합하면 육서의 분류법에 따라 회의자, 회의겸형성자임을 생각할 수 있다.
  
==化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풀이==
+
==文化==
熊國英 <ref> 圖釋古漢字p.91에서 본의는 변화하다이다. 앞뒤로 구르는 모습이다, 여기서 뒤바뀌다는 의미가 생긴 회의자이다. </ref>등의 학자들도 비슷한 맥락에서의 주장을 하고 있다.
+
'''化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풀이'''<br>
[[허신]]許愼은 설문해자에서 化에 대하여 교화(敎化)를 한다는 뜻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단옥재는 <설문해자주>에서,‘대체로 변화의 화는 ('匕':化에서의 오른쪽에 해당하는 부분)로 쓰고, 교화의 화는 化로 썼다. 匕는 사람이 뒤집어진 모습이고 뒤집어진 모습은 변화를 뜻한다. 지금은 변화의 化에서도 化 자체를 쓰면서 匕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라고 언급하였다.
+
 
우성오于省吾는 갑골문자고림 1권 149쪽에서 “복사에서는 化가 사람의 이름으로 쓰인다고 한다”고 하였다. 다만 복사에서 풀이한 이 인명의 의미는 가차의이며, 후에 교화하다, 죽다의 의미로 인신되었다.
+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化에 대하여 교화(敎化)를 한다는 뜻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단옥재는 <설문해자주>에서,‘대체로 변화의 화는 ('匕':化에서의 오른쪽에 해당하는 부분)로 쓰고, 교화의 화는 化로 썼다. 匕는 사람이 뒤집어진 모습이고 뒤집어진 모습은 변화를 뜻한다. 지금은 변화의 化에서도 化 자체를 쓰면서 匕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고 적고 있다.<br>
熊國英은 <漢字源流字典>p.91에서는‘회의자, 갑골문의 자형은 똑바로 선 사람과 그 반대로 선 사람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의는 변화한다는 의미다. 금문의 자형은 갑골문과 대체로 같다. 소전에 와서는 자형이 정형화되었다.
+
본의는 변화하다이다. 앞뒤로 구르는 모습이다, 여기서 뒤바뀌다는 의미가 생긴 회의자이다. <ref>熊國英, 圖釋古漢字, p.91</ref><br>
漢韓大字典p.289에서는 회의자, 좌우의 사람이 점대칭이 되도록 놓이어 사람의 변화, 사람의 죽음의 모양에서 일반적으로 ‘바뀌다’의 뜻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ref> 임지영, 「특집 : 중국 고대 한자와 문화 ; 한자에 반영된 고대 중국의 오락문화」, 『용봉인문논총』, vol.37, 2010.</ref>
+
복사에서는 化가 사람의 이름으로 쓰인다. 다만 복사에서 풀이한 이 인명의 의미는 가차의이며, '후에 교화하다, 죽다의 의미로 인신되었다. <ref>于省吾, 갑골문자고림 1권, p.149</ref><br>
化는 한 사람의 다리가 다른 사람의 머리에 있는 형태로, 변화하다. 인을 거꾸로 뒤집어서 또 다른 변화를 나타낸 것에서 의미가 파생했다.<ref>신영자, 『갑골문의 비밀』, 서울: 문출판사, 2011.p.102. </ref>
+
‘회의자, 갑골문의 자형은 똑바로 선 사람과 그 반대로 선 사람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의는 변화한다는 의미다. 금문의 자형은 갑골문과 대체로 같다. 소전에 와서는 자형이 정형화되었다.'라고 하였다.<ref>熊國英, <漢字源流字典>, p.91</ref><br>
 +
회의자, 좌우의 사람이 점대칭이 되도록 놓이어 사람의 변화, 사람의 죽음의 모양에서 일반적으로 ‘바뀌다’의 뜻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ref> 임지영, 「특집 : 중국 고대 한자와 문화 ; 한자에 반영된 고대 중국의 오락문화」, 『용봉인문논총』, vol.37, 2010.</ref><br>
 +
化는 한 사람의 다리가 다른 사람의 머리에 있는 형태로, 변화하다. 인을 거꾸로 뒤집어서 또 다른 변화를 나타낸 것에서 의미가 파생했다.<ref>신영자, 『갑골문의 비밀』, 서울: 문출판사, 2011.p.102. </ref><br>
 +
化가 특수한 신체기술을 보여주는 모습(공중제비하는 모습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당대 이러한 곡예, 잡기를 행하는 문화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 한나라 대 부조석에는 사람이 공중제비를 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이는 청중을 즐겁게 하는 중요한 곡예였으나, 동작의 모양 등이 엄숙하지 못하여 제사나 신성한 의식보다는, 오락적 목적에만 행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로 미루어 化 자가 생겨난 상나라 대 이미 전문적 훈련 받은 오락인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ref> 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ref><br>
 +
化화. ‘돌다, 변화하다, 바꾸다.’ ‘化화’자는, 한 사람은 위에 있고 다른 사람은 아래에 놓여 마치 한 사람의 다리가 다른 사람의 머리에 닿을 듯한 모습이며, ‘變化변화’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 글자는 ‘化學화학’-화학은 물질의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낼 수 있고, 이 외에도 다른 글자들과 합쳐져 ‘변화’와 관련된 여러 단어들을 생성해낼 수 있다.<ref>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ref><br>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文化==
 
化가 특수한 신체기술을 보여주는 모습(공중제비하는 모습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당대 이러한 곡예, 잡기를 행하는 문화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 한나라 대 부조석에는 사람이 공중제비를 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이는 청중을 즐겁게 하는 중요한 곡예였으나, 동작의 모양 등이 엄숙하지 못하여 제사나 신성한 의식보다는, 오락적 목적에만 행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로 미루어 化 자가 생겨난 상나라 대 이미 전문적 훈련 받은 오락인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ref> 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ref>
 
 
==출처==
 
==출처==
임지영, 「특집 : 중국 고대 한자와 문화 ; 한자에 반영된 고대 중국의 오락문화」, 『용봉인문논총』, vol.37, 2010.
 
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2022년 12월 26일 (월) 23:06 기준 최신판

語源

化.PNG

‘화(化)’의 원래 뜻은 변화이다. 한 명은 제대로, 한 명은 반대로 총 두 명의 사람 형상이 있다. 앞뒤로, 때로는 위로 혹은 아래로 데굴데굴 굴러가는 것처럼 보인다. 이로부터 뒤집어 변화한다는 의미를 표시한 것이다. 갑골, 금문, 소전 모두 똑바로 선 사람과 뒤집은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바로 서 있는 사람 옆에 다른 한 사람이 거꾸로 서있는 모습인데 그 의미는 불분명하다고 풀이하거나 [1] , 한 사람은 바로 서 있고, 다른 한 사람은 거꾸로 서서 곡예나 마술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2]풀이하기도 한다.
선진, 양한의 문헌에서는 "변화하다, 교화하다, 죽다."와 같이 세 가지의 의미로 釋義하고 있다. 이로써 변화하다라는 본래의 의미에서 출발하여 교화, 죽다의 의미로 인신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그 의미가 크게 변하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견해를 종합하면 육서의 분류법에 따라 회의자, 회의겸형성자임을 생각할 수 있다.

文化

化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풀이

허신설문해자에서 化에 대하여 교화(敎化)를 한다는 뜻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단옥재는 <설문해자주>에서,‘대체로 변화의 화는 ('匕':化에서의 오른쪽에 해당하는 부분)로 쓰고, 교화의 화는 化로 썼다. 匕는 사람이 뒤집어진 모습이고 뒤집어진 모습은 변화를 뜻한다. 지금은 변화의 化에서도 化 자체를 쓰면서 匕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고 적고 있다.
본의는 변화하다이다. 앞뒤로 구르는 모습이다, 여기서 뒤바뀌다는 의미가 생긴 회의자이다. [3]
복사에서는 化가 사람의 이름으로 쓰인다. 다만 복사에서 풀이한 이 인명의 의미는 가차의이며, '후에 교화하다, 죽다의 의미로 인신되었다. [4]
‘회의자, 갑골문의 자형은 똑바로 선 사람과 그 반대로 선 사람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의는 변화한다는 의미다. 금문의 자형은 갑골문과 대체로 같다. 소전에 와서는 자형이 정형화되었다.'라고 하였다.[5]
회의자, 좌우의 사람이 점대칭이 되도록 놓이어 사람의 변화, 사람의 죽음의 모양에서 일반적으로 ‘바뀌다’의 뜻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6]
化는 한 사람의 다리가 다른 사람의 머리에 있는 형태로, 변화하다. 인을 거꾸로 뒤집어서 또 다른 변화를 나타낸 것에서 의미가 파생했다.[7]
化가 특수한 신체기술을 보여주는 모습(공중제비하는 모습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당대 이러한 곡예, 잡기를 행하는 문화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 한나라 대 부조석에는 사람이 공중제비를 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이는 청중을 즐겁게 하는 중요한 곡예였으나, 동작의 모양 등이 엄숙하지 못하여 제사나 신성한 의식보다는, 오락적 목적에만 행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로 미루어 化 자가 생겨난 상나라 대 이미 전문적 훈련 받은 오락인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8]
化화. ‘돌다, 변화하다, 바꾸다.’ ‘化화’자는, 한 사람은 위에 있고 다른 사람은 아래에 놓여 마치 한 사람의 다리가 다른 사람의 머리에 닿을 듯한 모습이며, ‘變化변화’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 글자는 ‘化學화학’-화학은 물질의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낼 수 있고, 이 외에도 다른 글자들과 합쳐져 ‘변화’와 관련된 여러 단어들을 생성해낼 수 있다.[9]

출처

  1. 徐中舒, 갑골문자전, p.912
  2. 李樂毅, 漢字正解, p.71
  3. 熊國英, 圖釋古漢字, p.91
  4. 于省吾, 갑골문자고림 1권, p.149
  5. 熊國英, <漢字源流字典>, p.91
  6. 임지영, 「특집 : 중국 고대 한자와 문화 ; 한자에 반영된 고대 중국의 오락문화」, 『용봉인문논총』, vol.37, 2010.
  7. 신영자, 『갑골문의 비밀』, 서울: 문출판사, 2011.p.102.
  8. 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9.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