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婦"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부인 부.png|500픽셀|오른쪽]]
 
[[파일:부인 부.png|500픽셀|오른쪽]]
고대사회에서 남녀는 일에 대해 명확히 분담했다. 남자는 주로 바깥 일, 여자는 주로 집안일을 했다. 남자는 밭에서 농사일을 하고 사냥을 했으며, 여자는 집에서 옷감을 짜고 바닥을 쓸고 음식을 만들었다. 갑골문, 금문에서 부(婦) 글자는 여자가 빗자루를 들고 있는 모습을 상형하고 있다. 이것은 여자가 주부로서 해야 하는 가사일이다. 그래서 부(婦) 글자의 본래 의미는 주로 "결혼한 여자" 또는 "아내"를 지칭한다.  
+
고대사회에서는, 남·녀의 분업이 명확했다. 남자는 주로 바깥일을, 여자는 주로 집안일을 했다. 남자는 밖에서 밭을 갈고 농사를 지었고 사냥을 했으며, 여자는 집에서 베를 짜고 청소하고 밥을 지었다. 갑골문과 금문의 부(婦)자는 한 여자가 빗자루를 쥐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빗자루를 쥐고 집에서 청소를 하는 등의 집안일을 하는 것은 혼인한 여자의 일상적인 일이다. 그래서 부(婦)자의 본래 의미는 주로 ‘혼인한 여자’ 또는 ‘아내’를 지칭한다.<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 p.65</ref>
 +
 
 +
허나 일본 학계의 해석은 이와 다르다. 婦의 초문이 빗자루를 의미하는 帚였고, 이는 신전을 정화하는 束茅로 보았다. 이는 [[媚]]이자 전쟁의 여장수였던 婦好의 기록을 근거로 한다.<ref>시라가와 시즈카, 《한자 – 기원과 그 배경》, 심경호 역, AK, p.282</ref>
  
 
==文化==
 
==文化==
 
<부인 부(婦)의 재해석 : 빗자루를 든 귀부인>  
 
<부인 부(婦)의 재해석 : 빗자루를 든 귀부인>  
 +
'부인 부(婦)’는 ‘계집 녀([[女]])’와 ‘빗자루 추([[帚]])’로 구성된 글자이고, 이는 여자가 빗자루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여자가 결혼을 하면 아이 양육을 담당했기에, 아무래도 집안 청소 등의 가사는 전통적인 여자의 몫이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빗자루를 든 모습은 청소가 주부의 일상이라는 뜻에서 (결혼한 여자)를 지칭하게 되었다.
  
‘부인 부(婦)’는 ‘계집 녀(女)’와 ‘빗자루 추(帚)’로 구성된 글자이고, 이는 여자가 빗자루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여자가 결혼을 하면 아이 양육을 담당했기에, 아무래도 집안 청소 등의 가사는 전통적인 여자의 몫이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빗자루를 든 모습은 청소가 주부의 일상이라는 뜻에서 (결혼한 여자)를 지칭하게 되었다. 물론 요즘 신세대 부부들의 모습과는 다분히 거리가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주목할 것은, 상나라 때는 부(婦)여성에 대한 일반적 통칭이 아닌 ‘왕비’ 등을 가리키는 직함으로 쓰였다는 것이다. 1976년, 상나라의 수도였던 하남성 안양 은허에 있는 상나라 제23대 무정 임금의 부인 부호(婦好)의 무덤에서 무려 2천여 점에 가까운 부장품들이 발견되었다.<ref> 이돈주, “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59</ref> 부장품에는 청동기 외에 석기와 옥기, 뼈와 상아로 된 제품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고, 그것들은 고도의 기술을 구사해서 만들어진 제1급의 예술성을 갖춘 것이었다. 이 부장품의 질과 양으로, 당시의 왕비가 가지고 있던 강대한 권위를 볼 수 있다.<ref> 아쯔지 데쯔지, “한자의 수수께끼”, 학민사, 2004, p.109</ref> 또한 부호는 군대를 거느리고 적국으로 전쟁하러 나가기도 하고, 하늘에 지내는 제사를 주재하기도 해서 국가의 중대한 일에 밀접하게 관계했던 인물이었다.
+
모계제가 번성한 신석기 중기에, 성년이 된 부녀자들은 채집활동에 종사했다. 帚는 본래 부녀자들이 야외에서 식물과식을 채집한 후 가져오는 완전한 나무로, '채집노동’을 상징했다. 더 나아가, 성년 부녀자를 대표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돌도끼를 나타내는 [[父]]성인 남성을 가리키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갑골문에서는 帚가 婦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부녀자가 가지고 온 완전한 나무는 거기에 달린 과실들을 채집한 후에 쓰레기를 청소하는데 사용되었다고 한다.<ref> 유지성, 《문화 문자학》, 문현사, 2011, p.321</ref> 이런 근거로 설문해자에서는 婦를 [[服]], 곧 복종을 상징하는 글자로 나타내었다.<ref>시라가와 시즈카, 《한자의 세계》, 고인덕 역, 솔출판사, AK, p.462</ref>
  
그래서 문자 학자들은 여인과 빗자루로 구성된 부(婦)에서 표현하고 있는 것은 단순히 집안 청소가 아닌, 제사를 모시는 제단을 청소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제단에는 여자의 출입이 엄격하게 금지된다. 신성하기 그지없는 금녀의 영역에, 비록 ‘청소’를 위한 것이긴 하지만 출입할 수 있었던 사람이라면 그 직위가 꽤나 높았을 것이다. 이런 특전을 가진 직위가 바로 부(婦)요, 결혼한 여자에 대한 통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상당한 시간이 흐른 후의 일이다.
+
하지만 최근의 학설은, 상나라 때는 부(婦)가 여성에 대한 일반적 통칭이 아닌 ‘왕비'나 특정의 신분 등을 가리키는 직함으로 쓰였다고 주장한다. 1976년, 상나라의 수도였던 하남성 안양 은허에 있는 상나라 제23대 무정 임금의 부인 [[부호묘|부호(婦好)의 무덤]]에서 무려 2천여 점에 가까운 부장품들이 발견되었다.<ref> 이돈주,《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59</ref>
 +
부장품에는 청동기 외에 석기와 옥기, 뼈와 상아로 된 제품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고, 그것들은 고도의 기술을 구사해서 만들어진 제1급의 예술성을 갖춘 것이었다. 이 부장품의 질과 양으로, 당시의 왕비가 가지고 있던 강대한 권위를 볼 수 있다.
  
==語源==
+
또한 부호는 군대를 거느리고 적국으로 전쟁하러 나가기도 하고, 하늘에 지내는 제사를 주재하기도 해서 국가의 중대한 일에 밀접하게 관계했던 인물이었다. 그래서 일본 학계의 문자 학자들은 여인과 빗자루로 구성된 부(婦)에서 표현하고 있는 것은 단순히 집안 청소가 아닌, 제사를 모시는 제단을 청소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고대 국가에서는 정치와 종교가 불가분의 관계를 띠고 있었다. 제사에서는 제물을 차려놓는 제단을 더럽히면 안 되며 사전에 청소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무와 지위를 가진 직위가 바로 부(婦)였다. 결혼한 여자에 대한 통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상당한 시간이 흐른 후의 일이다. [[예기]]에서는 아주머니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ref> 아쯔지 데쯔지, 《한자의 수수께끼》, 학민사, 2004, p.108-111</ref>
[[파일:부인 부2.png|500픽셀|오른쪽]]
 
고대사회에서는, 남·녀의 분업이 명확했다. 남자는 주로 바깥일을, 여자는 주로 집안일을 했다. 남자는 밖에서 밭을 갈고 농사를 지었고 사냥을 했으며, 여자는 집에서 베를 짜고 청소하고 밥을 지었다. 갑골문과 금문의 부(婦)자는 한 여자가 빗자루를 쥐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빗자루를 쥐고 집에서 청소를 하는 등의 집안일을 하는 것은 혼인한 여자의 일상적인 일이다. 그래서 부(婦)자의 본래 의미는 주로 ‘혼인한 여자’ 또는 ‘아내’를 지칭한다.
 
  
[妇女]: ‘성인 여성’ 뿐만 아니라 ‘이미 결혼한 여자’를 가리킨다. 현재는 성년이 된 여성의 통칭으로 많이 쓰인다.
+
<부인에게 필요한 사행(四行)>
 
 
==文化==
 
<부인 부():빗자루 추(帚)=아비 부(父):도끼 부(斧)>
 
 
모계제가 번성한 신석기 중기에, 성년이 된 부녀자들은 채집활동에 종사했다. 帚는 본래 부녀자들이 야외에서 식물과식을 채집한 후 가져오는 완전한 나무로, ‘채집노동’을 상징했다. 더 나아가, 성년 부녀자를 대표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돌도끼를 나타내는 父가 성인 남성을 가리키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갑골문에서는 帚가 婦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부녀자가 가지고 온 완전한 나무는 거기에 달린 과실들을 채집한 후에 쓰레기를 청소하는데 사용되었다고 한다.<ref> 유지성, “문화 문자학”, 문현사, 2011, p.321</ref>
 
  
<부인에게 필요한 사행(四行)>
+
옛날에는 부인에게 사행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주례>의 규정에 이 사행이 나와 있는데, 이 사행이란 부덕(婦德), 부언(婦言), 부용(婦容), 부공(婦公)을 말한다.<ref> 김경수, 《문화로 읽는 한자 이야기》, 도서출판 삼화, 2013, p.32</ref>  
 
옛날에는 부인에게 사행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주례>의 규정에 이 사행이 나와 있는데, 이 사행이란 부덕(婦德), 부언(婦言), 부용(婦容), 부공(婦公)을 말한다.<ref> 김경수, “문화로 읽는 한자 이야기”, 도서출판 삼화, 2013, p.32</ref>  
 
 
    
 
    
 
부덕- 부인의 덕행. 부인에게는 덕이 있어야 한다.
 
부덕- 부인의 덕행. 부인에게는 덕이 있어야 한다.
32번째 줄: 27번째 줄:
 
    
 
    
 
부공- 부인의 재주. 주로 길쌈, 바느질, 음식 솜씨다.
 
부공- 부인의 재주. 주로 길쌈, 바느질, 음식 솜씨다.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0년 12월 23일 (수) 21:51 기준 최신판

語源

부인 부.png

고대사회에서는, 남·녀의 분업이 명확했다. 남자는 주로 바깥일을, 여자는 주로 집안일을 했다. 남자는 밖에서 밭을 갈고 농사를 지었고 사냥을 했으며, 여자는 집에서 베를 짜고 청소하고 밥을 지었다. 갑골문과 금문의 부(婦)자는 한 여자가 빗자루를 쥐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빗자루를 쥐고 집에서 청소를 하는 등의 집안일을 하는 것은 혼인한 여자의 일상적인 일이다. 그래서 부(婦)자의 본래 의미는 주로 ‘혼인한 여자’ 또는 ‘아내’를 지칭한다.[1]

허나 일본 학계의 해석은 이와 다르다. 婦의 초문이 빗자루를 의미하는 帚였고, 이는 신전을 정화하는 束茅로 보았다. 이는 이자 전쟁의 여장수였던 婦好의 기록을 근거로 한다.[2]

文化

<부인 부(婦)의 재해석 : 빗자루를 든 귀부인> '부인 부(婦)’는 ‘계집 녀()’와 ‘빗자루 추()’로 구성된 글자이고, 이는 여자가 빗자루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여자가 결혼을 하면 아이 양육을 담당했기에, 아무래도 집안 청소 등의 가사는 전통적인 여자의 몫이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빗자루를 든 모습은 청소가 주부의 일상이라는 뜻에서 (결혼한 여자)를 지칭하게 되었다.

모계제가 번성한 신석기 중기에, 성년이 된 부녀자들은 채집활동에 종사했다. 帚는 본래 부녀자들이 야외에서 식물과식을 채집한 후 가져오는 완전한 나무로, '채집노동’을 상징했다. 더 나아가, 성년 부녀자를 대표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돌도끼를 나타내는 가 성인 남성을 가리키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갑골문에서는 帚가 婦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부녀자가 가지고 온 완전한 나무는 거기에 달린 과실들을 채집한 후에 쓰레기를 청소하는데 사용되었다고 한다.[3] 이런 근거로 설문해자에서는 婦를 , 곧 복종을 상징하는 글자로 나타내었다.[4]

하지만 최근의 학설은, 상나라 때는 부(婦)가 여성에 대한 일반적 통칭이 아닌 ‘왕비'나 특정의 신분 등을 가리키는 직함으로 쓰였다고 주장한다. 1976년, 상나라의 수도였던 하남성 안양 은허에 있는 상나라 제23대 무정 임금의 부인 부호(婦好)의 무덤에서 무려 2천여 점에 가까운 부장품들이 발견되었다.[5] 부장품에는 청동기 외에 석기와 옥기, 뼈와 상아로 된 제품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고, 그것들은 고도의 기술을 구사해서 만들어진 제1급의 예술성을 갖춘 것이었다. 이 부장품의 질과 양으로, 당시의 왕비가 가지고 있던 강대한 권위를 볼 수 있다.

또한 부호는 군대를 거느리고 적국으로 전쟁하러 나가기도 하고, 하늘에 지내는 제사를 주재하기도 해서 국가의 중대한 일에 밀접하게 관계했던 인물이었다. 그래서 일본 학계의 문자 학자들은 여인과 빗자루로 구성된 부(婦)에서 표현하고 있는 것은 단순히 집안 청소가 아닌, 제사를 모시는 제단을 청소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고대 국가에서는 정치와 종교가 불가분의 관계를 띠고 있었다. 제사에서는 제물을 차려놓는 제단을 더럽히면 안 되며 사전에 청소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무와 지위를 가진 직위가 바로 부(婦)였다. 결혼한 여자에 대한 통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상당한 시간이 흐른 후의 일이다. 예기에서는 아주머니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6]

<부인에게 필요한 사행(四行)>

옛날에는 부인에게 사행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주례>의 규정에 이 사행이 나와 있는데, 이 사행이란 부덕(婦德), 부언(婦言), 부용(婦容), 부공(婦公)을 말한다.[7]

부덕- 부인의 덕행. 부인에게는 덕이 있어야 한다.

부언- 부인의 언행. 부인의 말씨가 고와야 한다.

부용- 부인의 매무새. 미인을 요구한 것은 아니지만 교양 있는 차림새를 중요시 여겼다.

부공- 부인의 재주. 주로 길쌈, 바느질, 음식 솜씨다.

  1.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 p.65
  2. 시라가와 시즈카, 《한자 – 기원과 그 배경》, 심경호 역, AK, p.282
  3. 유지성, 《문화 문자학》, 문현사, 2011, p.321
  4. 시라가와 시즈카, 《한자의 세계》, 고인덕 역, 솔출판사, AK, p.462
  5. 이돈주,《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59
  6. 아쯔지 데쯔지, 《한자의 수수께끼》, 학민사, 2004, p.108-111
  7. 김경수, 《문화로 읽는 한자 이야기》, 도서출판 삼화, 2013, p.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