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비단백.png|500픽셀|오른쪽]]
 
[[파일:비단백.png|500픽셀|오른쪽]]
 
帛(백)은 흰색의 비단작물을 나타내는 말로, 견직물을 총칭하기도 하다. <[[설문해자]]>은 "帛는 견직물이다. 巾에서 뜻을 따왔고, 白에서 음을 따왔다,라고 하였다. 즉  "[[巾]]"을 의미부로, "[[白]]"을 소리부로 하는 형성자로 해석하였다. <br>
 
帛(백)은 흰색의 비단작물을 나타내는 말로, 견직물을 총칭하기도 하다. <[[설문해자]]>은 "帛는 견직물이다. 巾에서 뜻을 따왔고, 白에서 음을 따왔다,라고 하였다. 즉  "[[巾]]"을 의미부로, "[[白]]"을 소리부로 하는 형성자로 해석하였다. <br>
[[갑골문]]과 [[금문]], [[소전]] 상부에는 白이 있고, 하부에는 巾로 구성된 자로 되어있다. 상부의 白은 하얀색을 나타내는데, ,이는 물들이기 전 면직물의 본래 색깔이다. "白"자는 “[[日]]”자에서 진화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고대 사람들이 볼 수 있었던 제일 하얗고 제일 빛나는 것이 태양이기 때문이다.특히 밤이 끝나는 시간대에, 태양이 방금 고개를 내밀었을 때 하늘이 곧 하얘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白"자에는 점을 하나 추가하여 태양이 뾰족한 모습으로 방금 노출한 것을 표현한다. "帛" 아래의 "巾"은 베를 의미한다. "巾" 은 인류의 초기에 부끄러움을 가리는 천에서 유래되었다.  [[예서]]에서 역시 고문자와 차이가 없어졌다. <ref>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ref>
+
[[갑골문]]과 [[금문]], [[소전]]의 서체를 보면 위에는 白이 있고, 아래에는 巾로 구성된다. 상부의 白은 하얀색을 나타내는데, ,이는 물들이기 전 면직물의 본래 색깔이다. "白"자는 “[[日]]”자에서 진화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고대 사람들이 볼 수 있었던 제일 하얗고 제일 빛나는 것이 태양이기 때문이다.특히 밤이 끝나는 시간대에, 태양이 방금 고개를 내밀었을 때 하늘이 곧 하얘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白"자에는 점을 하나 추가하여 태양이 뾰족한 모습으로 방금 노출한 것을 표현한다. "帛" 아래의 "巾"은 베를 의미한다. "巾" 은 인류의 초기에 부끄러움을 가리는 천에서 유래되었다.  [[예서]]에서 역시 고문자와 차이가 없어졌다. <ref>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ref>
+
 
 
==文化==
 
==文化==
 
帛은 명주실로 짠 흰 비단을 의미한다. 비단을 의미하는 단어들은 다른 단어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繒"이다.<ref>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염정삼 </ref> 하지만 이 둘에는 차이가 존재하는데, "帛"은 아무 무늬가 없는, 즉 염색하기 전의 흰 비단을 의미한다.<ref>한한대역 허신 설문해자, 허신, 금하연 역주, 일월산방</ref> <br>
 
帛은 명주실로 짠 흰 비단을 의미한다. 비단을 의미하는 단어들은 다른 단어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繒"이다.<ref>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염정삼 </ref> 하지만 이 둘에는 차이가 존재하는데, "帛"은 아무 무늬가 없는, 즉 염색하기 전의 흰 비단을 의미한다.<ref>한한대역 허신 설문해자, 허신, 금하연 역주, 일월산방</ref> <br>
 
이러한 의미와는 다르게 "帛"이 지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癸酉卜, 在帛貞 : 王步鼓亡災?”에서의 용례가 대표적이다. <ref>간명 갑골문 자전, 손예철, 박이정</ref>
 
이러한 의미와는 다르게 "帛"이 지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癸酉卜, 在帛貞 : 王步鼓亡災?”에서의 용례가 대표적이다. <ref>간명 갑골문 자전, 손예철, 박이정</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1년 7월 5일 (월) 16:37 판

語源

비단백.png

帛(백)은 흰색의 비단작물을 나타내는 말로, 견직물을 총칭하기도 하다. <설문해자>은 "帛는 견직물이다. 巾에서 뜻을 따왔고, 白에서 음을 따왔다,라고 하였다. 즉 ""을 의미부로, ""을 소리부로 하는 형성자로 해석하였다.
갑골문금문, 소전의 서체를 보면 위에는 白이 있고, 아래에는 巾로 구성된다. 상부의 白은 하얀색을 나타내는데, ,이는 물들이기 전 면직물의 본래 색깔이다. "白"자는 “”자에서 진화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고대 사람들이 볼 수 있었던 제일 하얗고 제일 빛나는 것이 태양이기 때문이다.특히 밤이 끝나는 시간대에, 태양이 방금 고개를 내밀었을 때 하늘이 곧 하얘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白"자에는 점을 하나 추가하여 태양이 뾰족한 모습으로 방금 노출한 것을 표현한다. "帛" 아래의 "巾"은 베를 의미한다. "巾" 은 인류의 초기에 부끄러움을 가리는 천에서 유래되었다. 예서에서 역시 고문자와 차이가 없어졌다. [1]

文化

帛은 명주실로 짠 흰 비단을 의미한다. 비단을 의미하는 단어들은 다른 단어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繒"이다.[2] 하지만 이 둘에는 차이가 존재하는데, "帛"은 아무 무늬가 없는, 즉 염색하기 전의 흰 비단을 의미한다.[3]

이러한 의미와는 다르게 "帛"이 지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癸酉卜, 在帛貞 : 王步鼓亡災?”에서의 용례가 대표적이다. [4]

  1.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염정삼
  3. 한한대역 허신 설문해자, 허신, 금하연 역주, 일월산방
  4. 간명 갑골문 자전, 손예철,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