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微"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文化)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작을미.png|500픽셀|오른쪽]]
 
[[파일:작을미.png|500픽셀|오른쪽]]
회의자 이다. 원래 산발을 한 노인과 攵(칠 복)으로 이루어져 노인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모습을 그렸는데, 이후 彳(조금 걸을 척) 이 더해져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ref>
+
회의자이다. [[갑골문]]의 형태는 산발을 한 노인([[老]])과 손에 몽둥이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구성되어, 노인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이후 彳(조금 걸을 척)이 더해져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ref>
 +
 
 
==文化==
 
==文化==
원시 시절 찌를 통해 영혼이 육신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죽음이라 생각했던 탓에 아직 죽지 못한다고 생각했고, 생산력이 부족했던 터라 노인은 어떤 이와 마찬가지로 구성원의 생존에 부담을 주는 존재였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타살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나이가 노인에서 ‘미약함’의 뜻이 나왔고, 이후 彳이 더해져 이러한 행위가 길 등 공개적인 장소에서 행해졌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사회의 발달로 이러한 습속은 숨겨진 곳에서 ‘은밀하게’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미약하다, 작다, 쇠락하다, 숨다, 은밀하다, 몰래 등의 뜻이 나왔다. 또 단위로 쓰여 1백만분의 일을 지칭하기도 한다.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ref>
+
원시시대 사람들은 무엇을 죽음이라 생각했을까? 그들은 죽음을 육체와 영혼이 분리되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그 과정에서 피를 흘리지 못하면 영혼은 영원히 육체에서 분리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이는 당시 사회가 사냥이 생활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던 까닭에, 늙어서 죽는 사람보다는 사냥이나 사고에 의해서 죽는 사람이 더 많았기 때문이 아닌가 추정된다. 어쨌든 그들은 나이 노인이 아직 죽지 못하고 있는 까닭은 피를 흘리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지금으로서는 듣기 민망한 말이지만, 그 당시에는 죽는 것을 '도와 주기' 위해 노인을 뒤에서 몽둥이로 때려 죽이는 습속이 있었다.<ref> 하영삼, 『문화로 읽는 한자』, 동방미디어, 1998, pp.138-139</ref><br>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또한 원시시절 생산력이 부족했던 시기에는 노인은 구성원의 생존에 부담을 주는 존재였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타살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이는 손에 밧줄을 들고 영아를 살해한 뒤 삼태기에 담아 시신을 쏟아보리는 잔혹한 모습을 형상화한 기(棄)자와 함께 현대의 기준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고대문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글자이다. <br>
 +
생산량의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 되고 다른 한편 사회적으로 지속적인 분업이 진행되면서 노인들은 유용해지기 시작했다. 노인들은 살아온 오랜 시간을 바탕으로 연장자의 지위를 획득하게 됐고, 오랜 경험과 지식 그리고 기억에 의지하여 양도할 수 없는 존재가치를 확보하게 되었다.  <ref>탕누어, 『한자의탄생』,김영사, 2015,p.217</ref><br><br>
  
 +
나중에 나이가 든 노인에서 ‘미약함’의 뜻이 파생되었고, 이후 길거리를 의미하는 彳이 더해져 이러한 행위가 길 등 공개적인 장소에서 행해졌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사회의 발달로 이러한 습속은 숨겨진 곳에서 ‘은밀하게’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미약하다, 작다, 쇠락하다, 숨다, 은밀하다, 몰래 등의 뜻이 나왔다. 또 단위로 쓰여 1백만분의 일을 지칭하기도 한다. <ref>조선탁, 『중국어 한자의 어원』, 지식과교양, 2011</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1년 4월 20일 (화) 21:02 기준 최신판

語源

작을미.png

회의자이다. 갑골문의 형태는 산발을 한 노인()과 손에 몽둥이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구성되어, 노인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이후 彳(조금 걸을 척)이 더해져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1]

文化

원시시대 사람들은 무엇을 죽음이라 생각했을까? 그들은 죽음을 육체와 영혼이 분리되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그 과정에서 피를 흘리지 못하면 영혼은 영원히 육체에서 분리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이는 당시 사회가 사냥이 생활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던 까닭에, 늙어서 죽는 사람보다는 사냥이나 사고에 의해서 죽는 사람이 더 많았기 때문이 아닌가 추정된다. 어쨌든 그들은 나이 든 노인이 아직 죽지 못하고 있는 까닭은 피를 흘리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지금으로서는 듣기 민망한 말이지만, 그 당시에는 죽는 것을 '도와 주기' 위해 노인을 뒤에서 몽둥이로 때려 죽이는 습속이 있었다.[2]

또한 원시시절 생산력이 부족했던 시기에는 노인은 구성원의 생존에 부담을 주는 존재였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타살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이는 손에 밧줄을 들고 영아를 살해한 뒤 삼태기에 담아 시신을 쏟아보리는 잔혹한 모습을 형상화한 기(棄)자와 함께 현대의 기준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고대문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글자이다.
생산량의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 되고 다른 한편 사회적으로 지속적인 분업이 진행되면서 노인들은 유용해지기 시작했다. 노인들은 살아온 오랜 시간을 바탕으로 연장자의 지위를 획득하게 됐고, 오랜 경험과 지식 그리고 기억에 의지하여 양도할 수 없는 존재가치를 확보하게 되었다. [3]

나중에 나이가 든 노인에서 ‘미약함’의 뜻이 파생되었고, 이후 길거리를 의미하는 彳이 더해져 이러한 행위가 길 등 공개적인 장소에서 행해졌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사회의 발달로 이러한 습속은 숨겨진 곳에서 ‘은밀하게’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미약하다, 작다, 쇠락하다, 숨다, 은밀하다, 몰래 등의 뜻이 나왔다. 또 단위로 쓰여 1백만분의 일을 지칭하기도 한다. [4]

  1.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2. 하영삼, 『문화로 읽는 한자』, 동방미디어, 1998, pp.138-139
  3. 탕누어, 『한자의탄생』,김영사, 2015,p.217
  4. 조선탁, 『중국어 한자의 어원』, 지식과교양,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