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疾"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語源)
잔글 (語源)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병 질.png|500픽셀|오른쪽]]
 
[[파일:병 질.png|500픽셀|오른쪽]]
疾의 원래 회의자다. 갑골문과 금문에서 疾자는 사람의 겨드랑이 아래 중앙의 화살 모양을 상형했다. 이것은 화살로 인해 상처를 입은 것을 나타낸다. 그 본래 의미는 외부적인 상처를 의미했다. 그러나 소전에서 疾자는 疒을 따르고 矢를 소리로 하는 형성자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그 의미 또한 변화가 일어났는데 당초 외부 상처를 가리키던 것이 일반적으로 병을 가리키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로써 고대의 疾은 病과 구분이 있었는데 일반적으로 무거운 병은 “病”, 가벼운 병은 “疾”로 말해졌다. 그 밖에도, 疾의 본래 의미는 누군가에게 화살을 쏘다. 나타냈고, 빠르게 날아가는 화살로써 ‘빠르다’, ‘다급하다’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갑골문에서 이 疾은 화살을 맞아 다친 사람의 아픔을 표현하고 있다.<ref>  중국 문자학 강의, 허진웅 저, 고려대학교출판부, pp.201, 321</ref>  疾자는 갑골문에서 화살을 쏘는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본의는 질병을 나타낸다. 그러나 시점을 화살 위로 돌리면 화살을 빠르게 쏘는 사람이 되고, 다시 또 인신하면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가 된다.<ref> 문화문자학, 劉志成, 문현</ref>
+
疾의 원래 회의자다. 갑골문과 금문에서 疾자는 사람의 겨드랑이 아래 중앙의 화살 모양을 상형했다. 이것은 화살로 인해 상처를 입은 것을 나타낸다. 그 본래 의미는 외부적인 상처를 의미했다. 그러나 소전에서 疾자는 疒을 따르고 矢를 소리로 하는 형성자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그 의미 또한 변화가 일어났는데 당초 외부 상처를 가리키던 것이 일반적으로 병을 가리키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로써 고대의 疾은 病과 구분이 있었는데 일반적으로 무거운 병은 “病”, 가벼운 병은 “疾”로 말해졌다. 그 밖에도, 疾의 본래 의미는 누군가에게 화살을 쏘다는 의미를 나타냈고, 이로인해 빠르게 날아가는 화살로써 ‘빠르다’, ‘다급하다’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갑골문에서 이 疾은 화살을 맞아 다친 사람의 아픔을 표현하고 있다.<ref>  중국 문자학 강의, 허진웅 저, 고려대학교출판부, pp.201, 321</ref>  疾자는 갑골문에서 화살을 쏘는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본의는 질병을 나타낸다. 그러나 시점을 화살 위로 돌리면 화살을 빠르게 쏘는 사람이 되고, 다시 또 인신하면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가 된다.<ref> 문화문자학, 劉志成, 문현</ref>
  
 
==文化==
 
==文化==

2016년 11월 22일 (화) 11:28 판

語源

병 질.png

疾의 원래 회의자다. 갑골문과 금문에서 疾자는 사람의 겨드랑이 아래 중앙의 화살 모양을 상형했다. 이것은 화살로 인해 상처를 입은 것을 나타낸다. 그 본래 의미는 외부적인 상처를 의미했다. 그러나 소전에서 疾자는 疒을 따르고 矢를 소리로 하는 형성자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그 의미 또한 변화가 일어났는데 당초 외부 상처를 가리키던 것이 일반적으로 병을 가리키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로써 고대의 疾은 病과 구분이 있었는데 일반적으로 무거운 병은 “病”, 가벼운 병은 “疾”로 말해졌다. 그 밖에도, 疾의 본래 의미는 누군가에게 화살을 쏘다는 의미를 나타냈고, 이로인해 빠르게 날아가는 화살로써 ‘빠르다’, ‘다급하다’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갑골문에서 이 疾은 화살을 맞아 다친 사람의 아픔을 표현하고 있다.[1] 疾자는 갑골문에서 화살을 쏘는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본의는 질병을 나타낸다. 그러나 시점을 화살 위로 돌리면 화살을 빠르게 쏘는 사람이 되고, 다시 또 인신하면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가 된다.[2]

文化

疾자의 疒을 분석하기 위해서 현대중국어에서 疒를 편방으로 가지고 있는 夢 또한 조사해 보았다. 갑골문에서 夢은 한 중요한 인물이 침대에 누워서 마치 뭔가 보는 것이 있음을 본뜨고 있다. 이것은 고대에 중요한 인물이 강제적으로 꿈을 꾸는 습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병상의 의미를 본 따 疒 은 설문에서는 “기대는 것이다. 사람이 병이 있어서 아픈 것이다. 기대고 바짝 붙어 있는 모습을 본뜨고 있다. 무릇 疒의 屬들은 모두 이 疒을 따른다”고 하였다. 갑골문에서 이 疒은 사람이 병이 위중하여 침대에 누워 있는 모습으로, 예의에 부합되는 사망 의식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이 글자는 다른 글자들과 결합하여 수많은 합성글자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Mathews' Chinese-English Dictionary에는 이런 글자가 총 132개가 수록돼 있는데, 그것들은 언제나 일시적이거나 만성적인 질병과 관련이 있다.[3] ‘아프다. 질병, 고통, 긴박한, 미워하다’등의 뜻을 갖는 疾자는 大자처럼 두 팔을 뻗은 사람이 허리에 화살을 맞은 모습이다. 옆구리에 화살을 맞은 사람 모습을 그렸다. 후에 화살 맞은 사람이 침대에 누운 모습으로 바뀌었다.[4]

[疾言遽色] (화가나서) 말이 빨라지고 험한 표정을 짓다.

[疾恶如仇] 나쁜 일이나 나쁜 사람을 원수처럼 증오하다.

  1. 중국 문자학 강의, 허진웅 저, 고려대학교출판부, pp.201, 321
  2. 문화문자학, 劉志成, 문현
  3.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78
  4. 갑골에 새겨진 신화와 역사-문자에 숨은 고대인의 삶을 찾아서, 김성재, 동녘, p.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