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禹.jpg|300픽셀|오른쪽]][[파일:施2.jpg|200픽셀|섬네일|금문1|오른쪽]][[파일:施3.jpg|200픽셀|섬네일|금문2|오른쪽]] [[파일:施4.jpg|200픽셀|섬네일|대우|오른쪽]]
+
[[파일:禹.jpg|500픽셀|오른쪽]]
팔과 손을 내뻗어서 큰뱀을 손에 쥐는 사람
+
팔과 손을 내뻗어서 큰뱀을 손에 쥐는 사람을 형상한 것이다. 禹의 갑골문은 虫에 팔과 손을 내뻗는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손을 내밀어 뱀을 잡는 사람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 손바닥의 위치로 뱀의 허리를 잡고 있는데 이는 뱀을 잡고자 하는 의사를 표시한다. 禹의 글자 가운데 위에서 말한 뱀을 잡는 형상 이외에 뱀을 제거한 형상도 있다. 금문1에는 한 자루 몽둥이가 뱀의 허리 위를 누르고 있는 모양을 표현하고 있으며, 금문2는 쌍지창을 쥐고 큰뱀에 대항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쌍지창이 삼지창으로 변하였고 작살 형상의 부호는 전서 중 ""로 변하였으며, 전서에서는 다시 禸의 부수로 표현된다.  
禹의 갑골문은 虫 및 "팔과 손을 내뻗다"로 구성되었으며, 손을 내밀어 뱀을 잡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손바닥의 위치로 뱀의 경부(허리)를 잡음을 알아볼 수 있으며, 이는 뱀을 잡고자 하는 의사를 묘사한다. 禹의 구성자는 상술한 뱀을 잡는 형상 이외에, 뱀을 제거한 형상이 있다. 금문1에는 한 자루 "몽둥이"가 뱀의 허리 위를 누르고 있는데, 금문2는 쌍지창을 쥐고 큰 "뱀"에 대항하는 것을 의미한다. 쌍지창은 삼지창으로 변하며, 작살 형상 부호는 전서 중 "아홉구"로 변하였으며, 전서는 이후 또 禸의 부수로 귀속된다. 장시간 이후, 大禹는 한 마리 뱀용으로 오해받았다. 우선, 동한(허신)은 "우"자가 "충"자를 포함한다고 봤기 때문에, <서문>에 쓰길, : "우와 충은 같다"라고 했다. 근대학자들 역시 <서문>의 해석을 인용하며, 구제강(중국의 역사학자)이 禹를 추론한 것과 같이, 禹는 사람이 아니고, 한마리 벌레(용)이며, 상제가 파견해내려온 신이라고 보았으며. 또 양관(중국의 사학자)이 생각한 것처럼, 禹, 아홉구에서 벌레, 아홉 벌레, 실제로는 곧 용이라고 보았다. 양관이 아홉 구 부호의 의의를 잘못 해석 했기 때문에, 禹 를 한마리 뱀용으로 봤을 뿐만 아니라, 禹 는 공공(수신(水神) 공공은 염제의 후손인 화신(火神) 축융의 아들이다)의 아들이며 공공은 우의 부친 곤이다. 만일 양관의 해석을 따르면, <전국책> 및 <순자>에 나온것 처럼 : "우가 공공을 베다"는 대우공이 자기 아버지를 친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이는 허신의 실로 작은 실수가 큰 실수를 초래한 것이며, 작은 실수 때문에 훗날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이다. 또 만약 大禹가 진짜 뱀용이면, <맹자>에서 말한 禹가 뱀용을 내쫓았다는 것은  뱀용을 쫓아 수환을 다스린 영웅 大禹가 아니라 뱀용이 뱀용을 쫓아낸것이 된다. 이러한 갖가지 것들이, 禹를 뱀용으로 보게한 결과를 만든 것이다.
 
사천의 삼성퇴 문화는 3000년전의 고대문명을 보전하고 있고, 중청동기 사람의 형상의 모습이 남아있는데 그 모습에는 양손의 각 고리(>)가 하나의 큰 고리로 이어지고, 이는 손을 내밀어 큰 뱀용을 잡음을 암시한다. 이 사람의  귀는 각각 큰 귓구멍이 있는데, 이것은 大禹가 가지는 특징이다. 고서에 대우는 매우 큰 귓구멍이 있으며, 신체는 수척하며, 사천에서 태어났다고 하는데, 이것들은 모두 중청동기인의 특성에 부합한다. 결국 禹는 뱀용이 아니라 중청동기에 실제한 대우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대우는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군주로 하나라의 창시자이다. 아버지는 곤이며 곤의 아버지는 오제의 하나인 전욱이다.
+
==文化==
 +
대우는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군주로 하나라의 창시자이다. 아버지는 곤이며 곤의 아버지는 오제의 하나인 전욱이다. 그런데 오랜 기간동안 大禹는 한 마리 뱀으로 오인되었다. 동한의 허신은 禹자에 벌레 蟲자가 포함되었기에 우를 벌레의 일종으로 간주하였다. 근대학자들 역시 설문해자의 해석을 인용하였으며, 禹를 사람이 아닌 용과 같은 벌레로서 상제가 파견해내려온 신이라고 보았으며. 근대 학자 양관 역시 禹의 九에서 벌레 즉 용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ref>廖文豪, 《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ref>
 +
[[파일:삼성퇴인물상.JPG|섬네일|삼성퇴 청동 인물상|200픽셀|오른쪽]]
 +
사천의 삼성퇴 유적 가운데 두 손으로 큰 뱀을 잡고 있는 청동 동상이 있는데 이는 이곳의 문화에서 큰뱀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보여준다. 흥미로운 것은 이 인물상의 귀는 각각 큰 귓구멍이 있는데 이것은 大禹가 가지는 특징으로 묘사된 것이다.  
  
 +
==주석==
  
  

2017년 12월 27일 (수) 19:33 판

語源

禹.jpg

팔과 손을 내뻗어서 큰뱀을 손에 쥐는 사람을 형상한 것이다. 禹의 갑골문은 虫에 팔과 손을 내뻗는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손을 내밀어 뱀을 잡는 사람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 손바닥의 위치로 뱀의 허리를 잡고 있는데 이는 뱀을 잡고자 하는 의사를 표시한다. 禹의 글자 가운데 위에서 말한 뱀을 잡는 형상 이외에 뱀을 제거한 형상도 있다. 금문1에는 한 자루 몽둥이가 뱀의 허리 위를 누르고 있는 모양을 표현하고 있으며, 금문2는 쌍지창을 쥐고 큰뱀에 대항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쌍지창이 삼지창으로 변하였고 작살 형상의 부호는 전서 중 "九"로 변하였으며, 전서에서는 다시 禸의 부수로 표현된다.

文化

대우는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군주로 하나라의 창시자이다. 아버지는 곤이며 곤의 아버지는 오제의 하나인 전욱이다. 그런데 오랜 기간동안 大禹는 한 마리 뱀으로 오인되었다. 동한의 허신은 禹자에 벌레 蟲자가 포함되었기에 우를 벌레의 일종으로 간주하였다. 근대학자들 역시 설문해자의 해석을 인용하였으며, 禹를 사람이 아닌 용과 같은 벌레로서 상제가 파견해내려온 신이라고 보았으며. 근대 학자 양관 역시 禹의 九에서 벌레 즉 용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1]

삼성퇴 청동 인물상

사천의 삼성퇴 유적 가운데 두 손으로 큰 뱀을 잡고 있는 청동 동상이 있는데 이는 이곳의 문화에서 큰뱀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보여준다. 흥미로운 것은 이 인물상의 귀는 각각 큰 귓구멍이 있는데 이것은 大禹가 가지는 특징으로 묘사된 것이다.

주석

  1. 廖文豪, 《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