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缶"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文化)
(文化)
 
7번째 줄: 7번째 줄:
  
 
==文化==
 
==文化==
진나라 사람들은 음악의 사회적 작용을 매우 중요시했다. 태평시대의 음악은 편안하고 즐겁지만, 난세의 음악은 분노에 차 있고 망국의 음악은 시름에 잠기므로, 음악을 곧 정치와 통하는 것으로 여겼다. 또한 음악을 통해서 나라의 민심을 살필 수 있을 뿐더러, 군신・장유・부자는 물론 백성들까지 모두 화목하고 친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처럼 음악을 중시했기 때문에 나라의 큰 행사나 제사, 군대의 개선에 이르기까지 음악은 빠지지 않았다. 음악은 곧 악기를 수반하는데 진나라에서는 다양한 악기가 만들어졌다. 악기는 크게 타악기, 관악기, 현악기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타악기 가운데 하나가 바로 ‘缶’(击缶: jī fǒu)이었다.<ref>이돈주,『한자・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p.86-87.</ref><br>
+
진나라 사람들은 음악의 사회적 작용을 매우 중요시했다. 태평시대의 음악은 편안하고 즐겁지만, 난세의 음악은 분노에 차 있고 망국의 음악은 시름에 잠기므로, 음악을 곧 정치와 통하는 것으로 여겼다. 또한 음악을 통해서 나라의 민심을 살필 수 있을 뿐더러, 군신・장유・부자는 물론 백성들까지 모두 화목하고 친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처럼 음악을 중시했기 때문에 나라의 큰 행사나 제사, 군대의 개선에 이르기까지 음악은 빠지지 않았다. 음악은 곧 악기를 수반하는데, 진나라에서는 다양한 악기가 만들어졌다. 악기는 크게 타악기, 관악기, 현악기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타악기 가운데 하나가 바로 ‘缶’(击缶: jī fǒu)이었다.<ref>이돈주,『한자・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p.86-87.</ref><br>
  
 
==참고문헌==
 
==참고문헌==

2020년 12월 22일 (화) 23:36 기준 최신판

語源

缶 표제어.png

‘缶’는 고대시대의 입구가 좁고 몸통이 넓은 용기를 말한다. 술을 붓거나 물을 담는 데 사용했으며, 타악기로도 사용했다. 갑골문, 금문, 소전 등 글자를 보면, '缶'는 사람들이 생산에 사용하던 도기, 모양은 쟁반과 같고, 윗부분의 화살표와 같은 요소는 도자기를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 ‘막대’이다. 금문은 금속 용기를 말한다. 예서는 전서의 곡선을 각지게 표현했고, 기본적인 구성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1]
설문해자》에는, “‘缶’는 질그릇으로 술과 장을 담는다. (秦)나라 사람들은 이것을 두드려서 노래 박자를 맞추었다. 상형이다. 缶부에 속하는 한자는 모두 缶의 의미를 따른다.”라고 풀이되어 있다. [2]
허진웅은 이와 다르게 해석했는데, 그는 缶의 자형은 匋(도)의 자형에 보이는 사람 모양을 생략한 질그릇 빚는 도구와 질그릇의 모습만이 남아있는 형태이며, 缶는 匋에서 추출해 낸 글자이지, 허신의 말처럼 상형자는 아니라고 하였다. [3]
갑골문에서는 1. ‘’와 통용돼서 ‘보호하다’는 뜻, 2. 방국명(方國名), 3. 인명으롤 사용되었다.[4]

文化

진나라 사람들은 음악의 사회적 작용을 매우 중요시했다. 태평시대의 음악은 편안하고 즐겁지만, 난세의 음악은 분노에 차 있고 망국의 음악은 시름에 잠기므로, 음악을 곧 정치와 통하는 것으로 여겼다. 또한 음악을 통해서 나라의 민심을 살필 수 있을 뿐더러, 군신・장유・부자는 물론 백성들까지 모두 화목하고 친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처럼 음악을 중시했기 때문에 나라의 큰 행사나 제사, 군대의 개선에 이르기까지 음악은 빠지지 않았다. 음악은 곧 악기를 수반하는데, 진나라에서는 다양한 악기가 만들어졌다. 악기는 크게 타악기, 관악기, 현악기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타악기 가운데 하나가 바로 ‘缶’(击缶: jī fǒu)이었다.[5]

참고문헌

  1. 손예철, 『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2. 염정상,『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7.
  3. 이돈주,『한자・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4. 허진웅,『중국문자학강의』,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5.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

각주

  1.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 p.72.
  2. 염정상,『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7, 239.
  3. 허진웅,『중국문자학강의』,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p.100.
  4. 손예철, 『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p.255.
  5. 이돈주,『한자・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p.8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