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羊"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양은 일종의 가축이며, 자고이래 여섯 종류의 가축중 하나로 불렸다. 산양, 면양, 영양 등이 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양 양.png|500픽셀|오른쪽]]
+
[[파일:.png|500픽셀|오른쪽]]
 
양은 일종의 가축이며, 자고이래 여섯 종류의 가축중 하나로 불렸다. 산양, 면양, 영양 등이 있다. 인류와 가장 많이 접촉하고, 가장 먼저 사육한 동물 중 하나이다. 성격이 온순하고 맛이 좋아서 사람들로부터 길한 동물로 여겨졌다. 羊자는 상형자인데, 牛와 같이 그 상형한 모습이 양의 전체 형상이 아니며, 일부 특징만을 상형한 것이다. 갑골문과 금문의 羊자는 간략화된 양 머리의 형상이고, 양 머리 형상에서 또한 특별히 구불구불한 양 뿔이 두드러진다. 사람으로 하여금 한번 보면 바로 다른 동물이 아닌 양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일부가 전체를 대체하는 묘사방법은 한자 상형의 주요한 방식 중 하나이다. 나중에 와서 제사와 관련이 있는 示자가 더해져 祥(상서 상)이 되었다. 설문에서는 ‘양은 상서로운 것(祥)이다, 양은 복(福)이다’라고 설명한다.  
 
양은 일종의 가축이며, 자고이래 여섯 종류의 가축중 하나로 불렸다. 산양, 면양, 영양 등이 있다. 인류와 가장 많이 접촉하고, 가장 먼저 사육한 동물 중 하나이다. 성격이 온순하고 맛이 좋아서 사람들로부터 길한 동물로 여겨졌다. 羊자는 상형자인데, 牛와 같이 그 상형한 모습이 양의 전체 형상이 아니며, 일부 특징만을 상형한 것이다. 갑골문과 금문의 羊자는 간략화된 양 머리의 형상이고, 양 머리 형상에서 또한 특별히 구불구불한 양 뿔이 두드러진다. 사람으로 하여금 한번 보면 바로 다른 동물이 아닌 양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일부가 전체를 대체하는 묘사방법은 한자 상형의 주요한 방식 중 하나이다. 나중에 와서 제사와 관련이 있는 示자가 더해져 祥(상서 상)이 되었다. 설문에서는 ‘양은 상서로운 것(祥)이다, 양은 복(福)이다’라고 설명한다.  
  

2017년 12월 24일 (일) 17:30 판

語源

양은 일종의 가축이며, 자고이래 여섯 종류의 가축중 하나로 불렸다. 산양, 면양, 영양 등이 있다. 인류와 가장 많이 접촉하고, 가장 먼저 사육한 동물 중 하나이다. 성격이 온순하고 맛이 좋아서 사람들로부터 길한 동물로 여겨졌다. 羊자는 상형자인데, 牛와 같이 그 상형한 모습이 양의 전체 형상이 아니며, 일부 특징만을 상형한 것이다. 갑골문과 금문의 羊자는 간략화된 양 머리의 형상이고, 양 머리 형상에서 또한 특별히 구불구불한 양 뿔이 두드러진다. 사람으로 하여금 한번 보면 바로 다른 동물이 아닌 양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일부가 전체를 대체하는 묘사방법은 한자 상형의 주요한 방식 중 하나이다. 나중에 와서 제사와 관련이 있는 示자가 더해져 祥(상서 상)이 되었다. 설문에서는 ‘양은 상서로운 것(祥)이다, 양은 복(福)이다’라고 설명한다.

文化

羊이라는 글자는 그 ‘그림’적인 표현이 가장 두드러지는 글자 중 하나이다. 즉, 그 형체를 가장 사실적으로 표현한 글자 중 하나라는 것이다. 양의 모양은 장식미적인 측면에서도 칭송받았다. 또한 제사의식에도 쓰였고, 양털과 가죽으로 옷을 만들었으며, 양고기는 맛이 좋은 음식으로 여겨졌다. 또한 그 순한 성격 탓에 사람을 공격하거나 위협하는 동물도 아니었다. 즉, 양은 다방면에서 사람들에게 좋게 받아들여진 것이다. 그래서 羊과 결합하는 글자는 좋은 의미를 가진 것이 많다. 善(좋을 선), 美(아름다울 미)등이 그것이다.[1] 그래서 양은 아주 길한 동물로, 길상의 표상으로 여겨졌다. 고대에는 祥(상서로울 상)자가 없었으므로 주대의 종(鐘),정(鼎)에도 ‘大吉羊’으로 쓴 예가 있다.[2] 또한 ‘양두구육(羊頭狗肉, 양머리를 걸어놓고 개의 고기를 판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양이 아주 귀하고 비싼 동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1.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김하림․하영삼 역, 청년사, 2002, p.128
  2. 이돈주, 《한자․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