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에서 羔자는 羊과 火로 구성되어 있는데, 불 위에 양이 있는 형태여서 '불에 양을 굽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새끼양 고.png|500픽셀|오른쪽]]
 
[[파일:새끼양 고.png|500픽셀|오른쪽]]
갑골문에서 羔자는 羊과 火로 구성되어 있는데, 불 위에 양이 있는 형태여서 '불에 양을 굽다'라는 뜻이다. 대개 새끼 양을 불에 구워먹었기 때문에, 羔자는 '새끼 양'을 의미하게 되었다.
+
 
 +
羔자는 羊과 火로 구성되어 있는데, 불 위에 양이 있는 형태여서 '불에 양을 굽다'라는 뜻이다. 대개 새끼 양을 불에 구워먹었기 때문에, 羔자는 '새끼 양'을 의미하게 되었다.  
 +
漢字樹에서는 羔의 갑골문은 양이 불 위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양을 제물로 바치는 것의 기호라고 한다.<ref>廖文豪,『漢字樹 4』,(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ref>
  
 
==文化==
 
==文化==
8번째 줄: 10번째 줄:
 
羔자는 火와 羊이 결합한 글자인데, 羊자는 양의 외형상 가장 큰 특징인 곡선 모양의 뿔을 상형화한 글자로, 양을 불 위에 놓고 굽는 모습을 띤다. 새끼양은 어미 양의 젖을 먹어 그 육질이 부드럽고 맛있기 때문에 즐겨먹었던 까닭인지 '새끼 양'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羔자는 火와 羊이 결합한 글자인데, 羊자는 양의 외형상 가장 큰 특징인 곡선 모양의 뿔을 상형화한 글자로, 양을 불 위에 놓고 굽는 모습을 띤다. 새끼양은 어미 양의 젖을 먹어 그 육질이 부드럽고 맛있기 때문에 즐겨먹었던 까닭인지 '새끼 양'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한편 양을 나타내는 두 글자가 합쳐진 '羔羊'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는 '염소와 양'이라는 뜻 외에도 중국 주(周)나라 때 대부(大夫)들이 양가죽 옷을 입었던 것에 비유하여, 검소하고 정직한 벼슬아치를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고 한다.<ref> 네이버 지식백과, ≪시경(詩經)≫ 국풍(國風) 소남(召南) 고양에 “양가죽을 흰 실 다섯 타래로 꾸몄네. 관아에서 퇴근하니, 그 모습 당당하고 여유있네[羔羊之皮 素絲五紽 退食自公 委蛇委蛇]”라고 하여, 대부들이 문왕(文王)의 교화를 입어 검소하고 정직한 것을 칭송하였음.</ref>  
+
<周礼>에서 말하기를 “모든 제사는 새끼 양으로 장식한다.” 제사에는 반드시 온갖 제물이 있어야 하고, 큰 양을 바싹 굽는 것은 쉽지 않다. 설령 겉이 까맣게 타더라도 안은 여전히 날것이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옛날 사람들은 오로지 작은 양을 구웠고, 그리하여 羔는 어린 양(小羊)에서 파생되었다. 구워진 어린 양 고기는 그 맛을 비교할 데가 없고, 사람으로 하여금 먹고 싶어 침을 흘리게 한다.<ref>廖文豪,『漢字樹 4』,(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ref>
 +
 
 +
한편 양을 나타내는 두 글자가 합쳐진 '羔羊'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는 '염소와 양'이라는 뜻 외에도 중국 주(周)나라 때 대부(大夫)들이 양가죽 옷을 입었던 것에 비유하여, 검소하고 정직한 벼슬아치를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고 한다.<ref> 네이버 지식백과, ≪시경(詩經)≫ 국풍(國風) 소남(召南) 고양에 “양가죽을 흰 실 다섯 타래로 꾸몄네. 관아에서 퇴근하니, 그 모습 당당하고 여유있네[羔羊之皮 素絲五紽 退食自公 委蛇委蛇]”라고 하여, 대부들이 문왕(文王)의 교화를 입어 검소하고 정직한 것을 칭송하였다.</ref>  
  
 
≪图释古汉字≫에서는 羔자에 대한 해석을 조금 달리하고 있다. 왼쪽의 갑골문은 양의 뿔과 네 개의 점으로 이루어져있는데, 네 개의 점을 小자라고 설명해 말 그대로 '小羊'이라는 뜻의 회의자라고 설명한다. 이후 금문에서 점이 사라지고, 그 형태가 火자로 바뀌었으며, 새끼 양이 맛있다는 의미가 더해졌다고 설명한다.  
 
≪图释古汉字≫에서는 羔자에 대한 해석을 조금 달리하고 있다. 왼쪽의 갑골문은 양의 뿔과 네 개의 점으로 이루어져있는데, 네 개의 점을 小자라고 설명해 말 그대로 '小羊'이라는 뜻의 회의자라고 설명한다. 이후 금문에서 점이 사라지고, 그 형태가 火자로 바뀌었으며, 새끼 양이 맛있다는 의미가 더해졌다고 설명한다.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7년 12월 24일 (일) 23:22 판

語源

새끼양 고.png

羔자는 羊과 火로 구성되어 있는데, 불 위에 양이 있는 형태여서 '불에 양을 굽다'라는 뜻이다. 대개 새끼 양을 불에 구워먹었기 때문에, 羔자는 '새끼 양'을 의미하게 되었다. 漢字樹에서는 羔의 갑골문은 양이 불 위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양을 제물로 바치는 것의 기호라고 한다.[1]

文化

수렵단계의 원시인들에게 羊은 양식과 가죽을 제공하는 최상품이었다. 더구나 羊은 군집생활을 하며 성질 또한 온순해 정착 농경시대에 접어든 인간의 입장에서 가축으로 기르기에 적합했다.[2]

羔자는 火와 羊이 결합한 글자인데, 羊자는 양의 외형상 가장 큰 특징인 곡선 모양의 뿔을 상형화한 글자로, 양을 불 위에 놓고 굽는 모습을 띤다. 새끼양은 어미 양의 젖을 먹어 그 육질이 부드럽고 맛있기 때문에 즐겨먹었던 까닭인지 '새끼 양'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周礼>에서 말하기를 “모든 제사는 새끼 양으로 장식한다.” 제사에는 반드시 온갖 제물이 있어야 하고, 큰 양을 바싹 굽는 것은 쉽지 않다. 설령 겉이 까맣게 타더라도 안은 여전히 날것이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옛날 사람들은 오로지 작은 양을 구웠고, 그리하여 羔는 어린 양(小羊)에서 파생되었다. 구워진 어린 양 고기는 그 맛을 비교할 데가 없고, 사람으로 하여금 먹고 싶어 침을 흘리게 한다.[3]

한편 양을 나타내는 두 글자가 합쳐진 '羔羊'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는 '염소와 양'이라는 뜻 외에도 중국 주(周)나라 때 대부(大夫)들이 양가죽 옷을 입었던 것에 비유하여, 검소하고 정직한 벼슬아치를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고 한다.[4]

≪图释古汉字≫에서는 羔자에 대한 해석을 조금 달리하고 있다. 왼쪽의 갑골문은 양의 뿔과 네 개의 점으로 이루어져있는데, 네 개의 점을 小자라고 설명해 말 그대로 '小羊'이라는 뜻의 회의자라고 설명한다. 이후 금문에서 점이 사라지고, 그 형태가 火자로 바뀌었으며, 새끼 양이 맛있다는 의미가 더해졌다고 설명한다.

  1. 廖文豪,『漢字樹 4』,(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2. 연상한자, 하영삼, 예담, p.230.
  3. 廖文豪,『漢字樹 4』,(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4. 네이버 지식백과, ≪시경(詩經)≫ 국풍(國風) 소남(召南) 고양에 “양가죽을 흰 실 다섯 타래로 꾸몄네. 관아에서 퇴근하니, 그 모습 당당하고 여유있네[羔羊之皮 素絲五紽 退食自公 委蛇委蛇]”라고 하여, 대부들이 문왕(文王)의 교화를 입어 검소하고 정직한 것을 칭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