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독 고.png|500픽셀|오른쪽]]
 
[[파일:독 고.png|500픽셀|오른쪽]]
전설에 따르면 사람이 먹었을 때 의식을 잃게 되는 독이 있는 벌레는 蛊로 알려져 있다. 갑골문에서 蠱자는 몇 마리의 벌레가 들어있는 그릇을 나타낸다. 이 글자는 주로 독이 있는 벌레를 나타냈지만, 사람의 몸에서 사는 기생충의 뜻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 뜻이 확장되어 誘惑과 迷惑의 의미도 갖게 되었다.<br />
+
전설에 따르면 사람이 먹었을 때 의식을 잃게 되는 독이 있는 벌레는 蛊로 알려져 있다. [[갑골문]]에서 蠱자는 몇 마리의 벌레가 들어있는 그릇을 나타낸다. 이 글자는 주로 독이 있는 벌레를 나타냈지만, 사람의 몸에서 사는 기생충의 뜻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 뜻이 확장되어 誘惑과 迷惑의 의미도 갖게 되었다. <br>
 +
신비스럽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상대를 홀려 자제심을 잃게 한다는 의미의 고혹(蠱惑)적이라는 말에 사용된다. <br />
 
한편, 『통지·육서략(通志·六書略)』에 따르면, “독을 만드는 방법에 관하여, 여러마리의 벌레(독충)을 한 그릇에 놓아 서로 잡아먹게 하여 그 중 살아남은 것을 독충(蠱)으로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ref> 廖文豪, 《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pp.23</ref><br />
 
한편, 『통지·육서략(通志·六書略)』에 따르면, “독을 만드는 방법에 관하여, 여러마리의 벌레(독충)을 한 그릇에 놓아 서로 잡아먹게 하여 그 중 살아남은 것을 독충(蠱)으로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ref> 廖文豪, 《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pp.23</ref><br />
 
蠱는 기물 속에 많은 벌레를 넣어둔 형태이다. 이런 방법은 남방의 것으로 보이는데 묘족들 사이에서는 기물 속에 많은 벌레를 넣어두고 그것들이 서로 죽여서 마지막으로 남는 것이 강한 주술영혼을 지닌다고 간주하였다. 갑골문에서는 왕이 치통을 앓는 원인을 蠱로 여긴 기록이 나온다. <ref> 시라카와 시즈카, 《한자-기원과 그 배경》, AK, 2017, p.64</ref>
 
蠱는 기물 속에 많은 벌레를 넣어둔 형태이다. 이런 방법은 남방의 것으로 보이는데 묘족들 사이에서는 기물 속에 많은 벌레를 넣어두고 그것들이 서로 죽여서 마지막으로 남는 것이 강한 주술영혼을 지닌다고 간주하였다. 갑골문에서는 왕이 치통을 앓는 원인을 蠱로 여긴 기록이 나온다. <ref> 시라카와 시즈카, 《한자-기원과 그 배경》, AK, 2017, p.64</ref>

2021년 3월 4일 (목) 10:50 판

語源

독 고.png

전설에 따르면 사람이 먹었을 때 의식을 잃게 되는 독이 있는 벌레는 蛊로 알려져 있다. 갑골문에서 蠱자는 몇 마리의 벌레가 들어있는 그릇을 나타낸다. 이 글자는 주로 독이 있는 벌레를 나타냈지만, 사람의 몸에서 사는 기생충의 뜻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 뜻이 확장되어 誘惑과 迷惑의 의미도 갖게 되었다.
신비스럽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상대를 홀려 자제심을 잃게 한다는 의미의 고혹(蠱惑)적이라는 말에 사용된다.
한편, 『통지·육서략(通志·六書略)』에 따르면, “독을 만드는 방법에 관하여, 여러마리의 벌레(독충)을 한 그릇에 놓아 서로 잡아먹게 하여 그 중 살아남은 것을 독충(蠱)으로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1]
蠱는 기물 속에 많은 벌레를 넣어둔 형태이다. 이런 방법은 남방의 것으로 보이는데 묘족들 사이에서는 기물 속에 많은 벌레를 넣어두고 그것들이 서로 죽여서 마지막으로 남는 것이 강한 주술영혼을 지닌다고 간주하였다. 갑골문에서는 왕이 치통을 앓는 원인을 蠱로 여긴 기록이 나온다. [2]

文化

『주역』에는 18째 괘인 고괘(蠱卦)가 등장하는데, 고괘는 간괘(艮卦)와 손괘(巽卦)가 거듭된 것으로, 산 아래에 바람이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蠱는 이웃과 나눌 줄 모르는, 사리사욕에 바탕을 둔 재물이다. 즉 蠱卦는 오래된 폐단을 제거하여 혼란을 다스리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

蠱자는 상형문자로 위에는 벌레 세 마리가 모여 있고, 아래에는 그릇이 있다. 이는 바람이 통하지 않아 그릇에 담긴 음식이 부패하여 벌레가 생긴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남의 마음을 꾀어내 속인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1. 廖文豪, 《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pp.23
  2. 시라카와 시즈카, 《한자-기원과 그 배경》, AK, 2017, p.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