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Root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2월 25일 (수) 21:37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무거울 중.png

重은 회의자이다. 초기 금문의 重은 의 의미가 합해진 것이다. 한 사람이 힘들게 등에 아주 큰 보따리를 매고 있는 모습을 상형하고 있는데 등에 있는 물건이 매우 무겁다는 것을 나타낸다.
금문의 重자는 “人”과 “東” 두 형상이 합쳐져 한 형체가 되었는데, 등에 매고 있는 물건의 흔적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소전의 重자는 壬과 東을 따르는데, 이 또한 금문의 것이 변화 발전한 것이다. 요컨대 重의 본래 뜻은 ‘무거움’을 가리키며 ‘’과 반대이다. 뜻이 확장되어 ‘중후’, ‘엄중’, ‘정중’등의 뜻이 있다. 이 외에도 重은 [chóng]으로도 읽을 수 있으며 중첩, 중복의 의미가 있다.

文化

중복이란 말에 쓰이는 重(무거울 중)자는 본래 무게를 뜻하는 글자다. 따라서 중복이라고 할 때의 중에는 緟(중)이란 글자를 써야 한다. 緟의 금문의 자형에서는 왼쪽 부분에 실타래의 위와 아래로 손을 가하고 있는 형태가 있고 글자 오른쪽의 東은 橐(주머니 탁)이니 염색하기 위한 실을 넣어둔 주머니의 형태이다. 그 아래의 田은 실을 염색하는 염료를 넣어둔 노구솥()이다. 그러므로 緟의 원래 의미는 염색하려고 실을 노구솥에 적시는 뜻이다. 실을 노구솥에 한 번 넣고 두 번 넣고, 혹은 세 번 넣고 다섯 번 넣어서, 차츰 색깔을 진하게 만들어갔다. 그래서 중복한다는 의미가 생겨났다. 重複(중복)이란 곧 이며, 뒷날의 글자로는 緟複(중복)이다. 緟은 원래 글자를 간략히 한 글자인데, 나중에는 더 줄여서 重(중)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 重이란 글자만 보면 중복한다는 뜻이 왜 있는지 알 수가 없다. [1]

단옥재段玉裁는 “주酎는 三重酒이다(酎者, 三重酒也)”, “물 대신 술로 양조한 것이 ‘再重之酒’이다. 이 ‘再重之酒’로 다시 빚어낸 술이 ‘三重之酒’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三重酒’란 술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 물 대신 술을 써서 그것으로 술을 빚고 이렇게 빚은 술로 다시 빚은 술 즉 세 번 빚어낸 술이다. [2]

  • 중양절(重陽節): 중국 고대에는 홀수를 양(陽)수, 짝수를 음(陰)수로 나누었으므로 ‘九’는 양수다. 음력 9월 9일은 바로 양수가 겹친 날이어서 중양절 또는 중구(重九)라고 한 것이다. 옛날에는 이날 높은 산에 올라가서 수유(授乳)나무 열매를 머리에 꽂고 국화주를 마시며 한 해의 재액을 씻는 풍습이 있었다. 이것이 구일등고(九日登高). 때문에 중양절을 등고 절(登高節)이라 한다.
  • 한자, 백 가지 이야기, 시라카와 시즈카, 황소자리, p.179
  • 설문해자와 중국고대문화, 왕닝 외 2명, 학고방, p.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