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Dhaakdi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6일 (화) 17:59 판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의 馭자는 馬와 鞭(채찍 편)을 따른다. 사람이 손에 말채찍을 쥐고 말을 모는 형상이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말부릴 어.png

금문의 馭자는 馬와 鞭(채찍 편)을 따른다. 사람이 손에 말채찍을 쥐고 말을 모는 형상이다. 소전의 馭자는 馬와 又(手)를 따르는 것으로 변화했으며, 또한 ‘말을 몰다’는 뜻이다. 馭자의 본뜻은 ‘말을 몰다’, ‘마차를 운전하다’ 이며, 뜻이 파생되어 ‘차를 몰다’, ‘제어하다’, ‘통치하다’의 뜻이 있다.

文化

최초의 왕조시대에 말은 주로 왕족들의 사냥수레와 전차를 끄는 데 사용된 역축(役畜)이므로 일반적으로 식용으로는 쓰이지 않았다.[1]

따라서 수레는 대부분 말에 의해 견인되고, 말과 수레가 밀접한 연관을 맺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다양한 한자 속에 반영되어 있다. 한자에는 馬를 편방으로 하는 글자가 많이 있는데, 이들 한자는 만들어질 당시 수레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駢(나란히 할 변), 驂(곁마 참), 駟(사마 사) 등이 그것이다. 이 글자들은 한 대의 수레를 몇 마리의 말이 끄는가, 두 필, 세 필 아니면 네 필인가로 구분하여 만들어 진 것이다. 이 같은 사항은 말을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라 수레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말의 숫자를 표현하고 있다. 수레를 끌거나 모는 한자는 모두 마(馬) 부수에 속해 있으며 거(車) 부수에 속하지 않는다. 馭외에도 驅(몰 구), 馳(달릴 치), 駕(수레 가)등 이 있다. 이처럼 수레는 말에 의해서 견인되는 것이기에 말에 중점을 두어 모두 마(馬) 부수를 따르게 된 것이다. 또한 오늘날 사용되는 대중교통은 말과 전혀 상관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운전을 뜻하는 현대 한어 ‘驾驶(가사, jiàshǐ)’는 편방에 여전히 馬가 포함되어 있다.[2] 이처럼 말은 고대에 다른 어떤 의미보다 ‘교통’의 수단으로서 중요시 여겨졌다.

  1. 이돈주, 《한자․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146
  2. 조선탁, 《중국어 한자의 어원》, 송강호 역, 지식과 교양, 2011, pp.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