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골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3갑골문의 발견시기와 과정)
7번째 줄: 7번째 줄:
  
 
===1.2갑골에 새겨진 이유===
 
===1.2갑골에 새겨진 이유===
거북의 등은 둥근 반구형 모습으로 하늘을 나타내고, 편평한 배딱지는 대지는 편평하다는 고대 중국인들의 생각과 흡사하다. 거북의 배딱지는 중국인의 우주관을 담을 亞형을 닮아 있어 상대인들은 우중의 실제상황인 亞와 거북의 모습을 동일시 하였다. 여기서 亞는 우주의 중심을 의미한다. 상왕조 귀족들의 무덤이나 묘실, 상왕실과 관계되는 친족, 귀족 등의 족휘를 나타내는 청동기 금문에 '亞'의 형태가 나타나 있다. 상왕조가 이처럼 '亞'를 표기한 것은 우주의 중심인 '아'가 바로 상나라라고 생각 했기 때문이다.
+
거북의 등은 둥근 반구형 모습으로 하늘을 나타내고, 편평한 배딱지는 대지는 편평하다는 고대 중국인들의 생각과 흡사하다. 거북의 배딱지는 중국인의 우주관을 담을 亞형을 닮아 있어 상대인들은 우중의 실제상황인 亞와 거북의 모습을 동일시 하였다. 여기서 亞는 우주의 중심을 의미한다. 상왕조 귀족들의 무덤이나 묘실, 상왕실과 관계되는 친족, 귀족 등의 족휘를 나타내는 청동기 금문에 '亞'의 형태가 나타나 있다. 상왕조가 이처럼 '亞'를 표기한 것은 우주의 중심인 '아'가 바로 상나라라고 생각 했기 때문이다.<br>
 
또 하나의 이유는 거북도 '亞'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신성한 신탁을 기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거북은 예로부터 장수하고 신성한 동물로 여겨져 신비의 영물로 인정받았다. 중국 고대신화에서 인간을 창조한 것으로 알려진 여와(女娲)라는 여신이 하늘을 떠받치기 위해 거북의 발을 이용했다는 기록이 거북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다. 상나라는 원시시대의 유목생활에서 농경시대로 넘어가는 단계에 있었다. 따라서 주변의 소규모 부족들을 규합하고 통일시키려면 강력한 제재수단이 필요했기 때문에 신탁에 의지를 하였다. 그 때 거북은 신탁을 받는 도구로서 채택되었다.
 
또 하나의 이유는 거북도 '亞'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신성한 신탁을 기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거북은 예로부터 장수하고 신성한 동물로 여겨져 신비의 영물로 인정받았다. 중국 고대신화에서 인간을 창조한 것으로 알려진 여와(女娲)라는 여신이 하늘을 떠받치기 위해 거북의 발을 이용했다는 기록이 거북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다. 상나라는 원시시대의 유목생활에서 농경시대로 넘어가는 단계에 있었다. 따라서 주변의 소규모 부족들을 규합하고 통일시키려면 강력한 제재수단이 필요했기 때문에 신탁에 의지를 하였다. 그 때 거북은 신탁을 받는 도구로서 채택되었다.
  
 
===1.3갑골문의 발견시기와 발견과정===
 
===1.3갑골문의 발견시기와 발견과정===
갑골문은 1899년 당시 베이징의 국립도서관의 관장격인 국자감 좨주(察酒)였던 왕의영(王懿榮)에 의해 발견됐다. 당시 금석학자(金石學者)였던 왕의영은 병에 걸려 약재를 사서 병을 치료하고 있었다. 한약방에서 조제해 온 약재에는 '용골(龍骨)'이라는 뼈 조각이 있었다. 그런데 그 '용골'이라는 뼈에는 자신이 연구하던 금문과 비슷한 문자의 흔적을 발견했다.그는 바로 한약방에 '용골'을 판매한 약재상을 소개해 달라고 요청했다. 얼마 후 한약방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산동(山東)의 골동상 범유경(范維卿)은 12관의 '용골', 즉 갑골을 가지고 베이징의 왕의영을 찾아왔다. 왕의영은 그 갑골에 새겨진 문자를 보고 감정한 결과 금문보다 훨씬 앞선 상나라 시대의 문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왕의영은 1900년에도 범유경와 조집제(趙執齊)로부터 수천 편의 갑골을 구입했다. 그러나 왕의영은 그해 사망을 했고, 그가 갖고 있있던 갑골은 그의 제자인 유악(劉鶚)이 입수했다. 유악은 1903년 왕의영으로부터 전해들은 갑골에 대한 이야기와 갑골편을 선별해 <철운장귀(鐵雲藏龜)>라는 최초의 갑골문에 관한 책을 펴냈다.  
+
갑골문은 1899년 당시 베이징의 국립도서관의 관장격인 국자감 좨주(察酒)였던 왕의영(王懿榮)에 의해 발견됐다. 당시 금석학자(金石學者)였던 왕의영은 병에 걸려 약재를 사서 병을 치료하고 있었다. 한약방에서 조제해 온 약재에는 '용골(龍骨)'이라는 뼈 조각이 있었다. 그런데 그 '용골'이라는 뼈에는 자신이 연구하던 금문과 비슷한 문자의 흔적을 발견했다.그는 바로 한약방에 '용골'을 판매한 약재상을 소개해 달라고 요청했다. 얼마 후 한약방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산동(山東)의 골동상 범유경(范維卿)은 12관의 '용골', 즉 갑골을 가지고 베이징의 왕의영을 찾아왔다. 왕의영은 그 갑골에 새겨진 문자를 보고 감정한 결과 금문보다 훨씬 앞선 상나라 시대의 문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왕의영은 1900년에도 범유경와 조집제(趙執齊)로부터 수천 편의 갑골을 구입했다. 그러나 왕의영은 그해 사망을 했고, 그가 갖고 있있던 갑골은 그의 제자인 유악(劉鶚)이 입수했다. 유악은 1903년 왕의영으로부터 전해들은 갑골에 대한 이야기와 갑골편을 선별해 <철운장귀(鐵雲藏龜)>라는 최초의 갑골문에 관한 책을 펴냈다.<br>
그 이후 라진옥(羅振玉),왕국유(王國維),동작빈(董作賓),곽말약(郭沫若)이라는 네 명의 '갑골 4당'에 의해 상나라의 문화와 갑골무나의 고석(考釋)이 이뤄졌다. 이로써 갑골문은 중국의 고대 문명을 밝히는 확실한 증거가 되었다. 지금까지 약 16만 편에 달하는 갑골편이 발굴 되었다. 중복된 글자를 제외하고 약 5천여 자가 사용되었는데 이 중 약 1천여 자가 확실하게 고석(考釋)되었다.
+
그 이후 라진옥(羅振玉),왕국유(王國維),동작빈(董作賓),곽말약(郭沫若)이라는 네 명의 '갑골 4당'에 의해 상나라의 문화와 갑골무나의 고석(考釋)이 이뤄졌다. 이로써 갑골문은 중국의 고대 문명을 밝히는 확실한 증거가 되었다. 지금까지 약 16만 편에 달하는 갑골편이 발굴 되었다. 중복된 글자를 제외하고 약 5천여 자가 사용되었는데 이 중 약 1천여 자가 확실하게 고석(考釋)되었다.<br>
 
19세기 말 중국 은허에서는 농부들이 자신의 밭에서 나오는 용골, 즉 갑골을 파상풍, 학질 등의 약재로 팔아 소득을 올렸다. 뼈에 어떤 흔적(갑골문자)이 있으면 값이 싸 약재상에서 구입을 하지 않기 떄문에 일부러 이를 지워서 팔기도 했다고 한다.
 
19세기 말 중국 은허에서는 농부들이 자신의 밭에서 나오는 용골, 즉 갑골을 파상풍, 학질 등의 약재로 팔아 소득을 올렸다. 뼈에 어떤 흔적(갑골문자)이 있으면 값이 싸 약재상에서 구입을 하지 않기 떄문에 일부러 이를 지워서 팔기도 했다고 한다.

2016년 12월 3일 (토) 20:47 판

갑골문(甲骨文)은 지금으로부터 약 3,300년 전 상나라(B.C.1600~B.C.1046)후기 은허(殷墟) 시기에 사용됐던 문자로서 최초의 한자 원형이다. 갑골문은 귀갑수골(龜甲獸骨)의 약칭이다. 갑(甲)은 거북의 뼈를 의미하고 골(骨)은 짐승의 뼈를 의미한다. 여기에 새겨진 문자를 갑골문이라고 한다.

갑골문.jpg

갑골문의 특징

1.1갑골문의 명칭

글자를 새겼다는 의미에서 계문(契文),은게(殷契),갑골각사(甲骨刻辭)라고 하고, 점을 친다는 의미에서 복사(卜辭),은허복사(殷墟卜辭)라고 한다. 또한 점을 친 사람을 정인(貞人)이라하여 정복문자(貞卜文字)라고도 부른다. 출토된 지역의 이름을 따서는 은허문자(殷墟文字),은허서계(殷墟書契)로도 불린다.

1.2갑골에 새겨진 이유

거북의 등은 둥근 반구형 모습으로 하늘을 나타내고, 편평한 배딱지는 대지는 편평하다는 고대 중국인들의 생각과 흡사하다. 거북의 배딱지는 중국인의 우주관을 담을 亞형을 닮아 있어 상대인들은 우중의 실제상황인 亞와 거북의 모습을 동일시 하였다. 여기서 亞는 우주의 중심을 의미한다. 상왕조 귀족들의 무덤이나 묘실, 상왕실과 관계되는 친족, 귀족 등의 족휘를 나타내는 청동기 금문에 '亞'의 형태가 나타나 있다. 상왕조가 이처럼 '亞'를 표기한 것은 우주의 중심인 '아'가 바로 상나라라고 생각 했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거북도 '亞'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신성한 신탁을 기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거북은 예로부터 장수하고 신성한 동물로 여겨져 신비의 영물로 인정받았다. 중국 고대신화에서 인간을 창조한 것으로 알려진 여와(女娲)라는 여신이 하늘을 떠받치기 위해 거북의 발을 이용했다는 기록이 거북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다. 상나라는 원시시대의 유목생활에서 농경시대로 넘어가는 단계에 있었다. 따라서 주변의 소규모 부족들을 규합하고 통일시키려면 강력한 제재수단이 필요했기 때문에 신탁에 의지를 하였다. 그 때 거북은 신탁을 받는 도구로서 채택되었다.

1.3갑골문의 발견시기와 발견과정

갑골문은 1899년 당시 베이징의 국립도서관의 관장격인 국자감 좨주(察酒)였던 왕의영(王懿榮)에 의해 발견됐다. 당시 금석학자(金石學者)였던 왕의영은 병에 걸려 약재를 사서 병을 치료하고 있었다. 한약방에서 조제해 온 약재에는 '용골(龍骨)'이라는 뼈 조각이 있었다. 그런데 그 '용골'이라는 뼈에는 자신이 연구하던 금문과 비슷한 문자의 흔적을 발견했다.그는 바로 한약방에 '용골'을 판매한 약재상을 소개해 달라고 요청했다. 얼마 후 한약방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산동(山東)의 골동상 범유경(范維卿)은 12관의 '용골', 즉 갑골을 가지고 베이징의 왕의영을 찾아왔다. 왕의영은 그 갑골에 새겨진 문자를 보고 감정한 결과 금문보다 훨씬 앞선 상나라 시대의 문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왕의영은 1900년에도 범유경와 조집제(趙執齊)로부터 수천 편의 갑골을 구입했다. 그러나 왕의영은 그해 사망을 했고, 그가 갖고 있있던 갑골은 그의 제자인 유악(劉鶚)이 입수했다. 유악은 1903년 왕의영으로부터 전해들은 갑골에 대한 이야기와 갑골편을 선별해 <철운장귀(鐵雲藏龜)>라는 최초의 갑골문에 관한 책을 펴냈다.
그 이후 라진옥(羅振玉),왕국유(王國維),동작빈(董作賓),곽말약(郭沫若)이라는 네 명의 '갑골 4당'에 의해 상나라의 문화와 갑골무나의 고석(考釋)이 이뤄졌다. 이로써 갑골문은 중국의 고대 문명을 밝히는 확실한 증거가 되었다. 지금까지 약 16만 편에 달하는 갑골편이 발굴 되었다. 중복된 글자를 제외하고 약 5천여 자가 사용되었는데 이 중 약 1천여 자가 확실하게 고석(考釋)되었다.
19세기 말 중국 은허에서는 농부들이 자신의 밭에서 나오는 용골, 즉 갑골을 파상풍, 학질 등의 약재로 팔아 소득을 올렸다. 뼈에 어떤 흔적(갑골문자)이 있으면 값이 싸 약재상에서 구입을 하지 않기 떄문에 일부러 이를 지워서 팔기도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