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8번째 줄: 28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파일:90后.jpg.JPG|300픽셀|왼쪽|링크=지우링허우(九零后, 90后)]]
+
[[파일:측천특징.JPG|300픽셀|왼쪽|링크=측천문자]]
'''지우링허우'''(九零后, 90后)[[80后]]의 파생어로 이들 역시 외동이 대부분이며, 중국의 정보화시대에 발맞춰 태어난 세대이기 때문에 인터넷 및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미 어느정도 경제 성장의 틀을 잡은 중국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며 과도한 부모님의 애정과 사랑에 독립적이지 못한 편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최근에는 90년대 출생자를 일컫는 지우링허우(九零后, 90后)세대도 본격적인 소비 시장에 가세하고 하고 있다.<br />
+
'''[[측천문자]]'''는 중국 역사의 유일한 여황제인 [[측천무후]](則天武后, 624~705)가 만들고 보급한 문자이다. 측천신자(則天新字) 또는 무후신자(武后新字)라고도 불리는 이 문자는 [[]](唐) 예종(睿宗) 때인 689년 창제, 반포되었으며, 측천무후의 통치기에 사용되었다.<br /> 측천문자는 문자라는 이름이 붙어 있으나, 기존의 한자와 완전히 다른 문자가 아닌 한자의 제자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특수한 한자'라 할 수 있다. 《구당서(舊唐書)》 ‘예문지(藝文志)’에 따르면 측천무후는 새 문자를 보급하기 위해 《자해(字海)》라는 책을 편찬했다고 하지만, 오늘날 이 책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 시기에 만들어진 석각, 비첩, 불경 등을 통해 측천문자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지우링허우(九零后, 90后) |자세히 읽기...]]'''
+
'''[[측천문자 |자세히 읽기...]]'''
  
 
</div>
 
</div>

2017년 6월 27일 (화) 17:47 판

위키로고배경.pn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중국언어문화 전문 위키백과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4월 19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1,939개가 실려 있습니다.
측천특징.JPG

측천문자는 중국 역사의 유일한 여황제인 측천무후(則天武后, 624~705)가 만들고 보급한 문자이다. 측천신자(則天新字) 또는 무후신자(武后新字)라고도 불리는 이 문자는 (唐) 예종(睿宗) 때인 689년 창제, 반포되었으며, 측천무후의 통치기에 사용되었다.
측천문자는 문자라는 이름이 붙어 있으나, 기존의 한자와 완전히 다른 문자가 아닌 한자의 제자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특수한 한자'라 할 수 있다. 《구당서(舊唐書)》 ‘예문지(藝文志)’에 따르면 측천무후는 새 문자를 보급하기 위해 《자해(字海)》라는 책을 편찬했다고 하지만, 오늘날 이 책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 시기에 만들어진 석각, 비첩, 불경 등을 통해 측천문자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자세히 읽기...

걸을 행.png

갑골문, 금문의 行자는 두 개의 가로 세로로 교차하는 큰 길을 형상화한 것이다. 『설문해자』에는 "行은 사람이 걷는 것이다."라고 되어있다. 갑골문과 금문 등의 자형은 서로 비슷하다. 모두 딱 십자로의 형상이다. 소전의 자형의 변화도 크지 않다. 어떤 것은 사람의 형상이 더해져 있는데, 어떤 사람이 위에서 걸어가고 있는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行의 본래 뜻은 道路(도로)를 가리키며, 또한 行走(길을 걷다), ‘보행하다’라는 뜻을 가리킨다. 道路(도로)라는 본래 뜻으로 말미암아, 行(háng)자는 행렬, 업종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또한 行走(길을 걷다)로 말미암아, 行(xíng)자는 또한 흐르다, 전파하다, 겪다, 행위, 사용하다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자세히 읽기...

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
소황제.JPG

소황제(小皇帝)는 1979년 덩샤오핑(鄧小平)이 시작한 독생자녀제(獨生子女制 - 1가구 1자녀 원칙)에 의해 1980년대에 태어난 독생자 층을 이르는 말로 바링허우(80後)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자 아이의 경우에는 소공주(小公主)라고도 한다. 바링허우(80後)의 소황제(小皇帝)는 풍요로운 경제적 기반을 가진 부모의 과보호 속에서 성장하여 사회적 활동량과 소비 수준이 높아 중국의 떠오르는 주류 소비계층으로 대두되었다. 이들은 앞으로 중국의 내수 시장의 소비 주력군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고, 국민 소득에 비해 훨씬 높은 소비력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내 기업이나 해외 진출 기업들은 이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경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세히 읽기...

정충보국을 등에 새기는 악비.jpg

악비(岳飛)는 1103년, 하남성 상주(지금의 하남성 탕음현)에서 가난한 농민 악화(岳和)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비상한 기운을 가졌으며, 30세의 젊은 나이에 이미 송나라의 빼놓을 수 없는 장군이 되었다. 39세의 나이에 재상 진회(秦檜)의 참소로 목숨을 잃기까지 오로지 '중원 복귀, 송조 부흥'이라는 목표만을 가지고 살았다고 전해진다.
악비는 일평생 우국충절을 가슴에 새기며 살았는데 이와 관련한 일화가 있다. 한번에 악비가 전장으로 떠나기전 그의 어머니 요씨(姚氏)가 그를 불러 "나라에 충성하고 백성을 지켜 불의하지 않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당부하며 아들의 등에 '정충보국(精忠報國)'이라는 글자를 새겨주었다. 자세히 읽기...


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

중국역사사전로고.png

중국문화사1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

중국인물사전로고1.png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인물 관련 종합사전

중국 역사 고사성어 사전 :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만들어진 고사성어 종합사전
중국어 유행어 사전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중국어 유행어를 정리한 사전
중국 인문지리사전 : 중국의 인문지리에 대한 종합 백과사전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여기에서 볼 수 있다.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
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2017년 1학기 수업자료실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