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 /링크 모음 -->
 
<!-- /링크 모음 -->
 
</div>
 
</div>
 
 
<!-- 본문 왼쪽 -->
 
<!-- 본문 왼쪽 -->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60%; height: 100%;">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60%; height: 100%;">
 +
 
<!-- 오늘의 알찬 글-->
 
<!-- 오늘의 알찬 글-->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파일:금문1.jpg|100픽셀|왼쪽|링크=금문]]
+
[[파일:dayuejin.jpg|200픽셀|왼쪽|링크=대약진운동]]
'''[[금문]]'''(金文)주나라(周) 시기에 만들어진 상형문자로 청동기에 제작되거나 새겨진 문자를 말한다. 상나라 시기에도 족휘(族徽, 부족을 상징하는 문양)를 비롯한 문자들이 청동기에 주조되었으며 춘추전국시대에도 많은 금문이 제작되었었지만, 일반적으로 학계에서 언급하는 금문은 서주(西周) 시기의 금문을 말한다. 청동기의 대표적인 제기인 정(鼎)과 악기인 종(鐘)에 주로 새겨졌기 때문에 종정문(鐘鼎文)이라고도 부른다.<br />
+
'''[[대약진운동]]'''은 1958~1960년 마오쩌둥이 소련식 공업화가 초래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도한 생산력 증대 운동이다. 제1차 5개년계획 공업화의 결과로 경제적인 발전에는 성공했으나 사회적 불평등, 도농격차, 이데올로기의 쇠퇴 등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도시의 공업화를 통해 경제적 낙후를 극복하고 사회주의∙공산주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사회주의∙공산주의 사회 건설과 멀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58년 1월 28일 최고국무회의에서 마오쩌둥이 대약진운동의 사상적 기원이 되는 [[연속혁명론]]을 제창하면서, 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 사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혁명인 대약진운동이 시작되었다.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청동기 주조물에 주로 새겨졌던 금문의 특성상 내용은 주로 제왕의 업적을 기리는 기록과 관직의 임명 등을 담고 있으나 무왕(武王)의 상나라 정벌기 같은 역사적인 사건도 기록하고 있어 학술적인 연구가치가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br>
+
 
'''[[금문|자세히 읽기...]]'''
+
'''[[대약진운동|자세히 읽기...]]'''
  
 
</div>
 
</div>
38번째 줄: 38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파일:입 엽.png|400픽셀|왼쪽|링크=]]
+
[[파일:엎드릴 복.png|400픽셀|오른쪽|링크=]]
금문의 葉자 상부의 세 개의 점은 곧 수목의 가지위에 있는 잎의 형태이다. 소전의 葉자에 艹를 더하여, 葉자 자체가 초목의 특질을 가지고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간체의 叶자는 하나의 음편을 사용한 가차자이다. <br />
+
고대 중국인들은 고([[蠱]])라는 주술력이 부정한 일을 일으킨다고 믿었는데 이런 사악한 기운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후각이 예민한 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믿었다. 이에 무덤이나 건물을 지을 때 바닥에 개를 죽여서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을 [[伏]]이라고 했다. 『[[사기|史記]]· 秦本紀』의 "처음으로 복(伏)을 한다. 개를 가지고 고(蠱)를 막는다"에서 복이란 계절마다 행하는 의례이며 초복, 삼복이란 의례를 행하는 시기를 지칭한다. [[갑골문]]에는 개를 희생으로 사용한 예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상제를 제사지는 類, 개의 고기를 태우는 [[然]], 개의 희생을 받아서 신이 만족한다는 [[厭]]과 같은 글자에 개(犬)가 포함된 것이다.<br />
叶의 본래 글자인 葉를 봐도 어떻게 나뭇잎을 의미하는지 쉽게 이해하기 힘들다. 그러나 고대한자를 보면 분명히 나뭇잎들이 그려져 있다. 나뭇가지 끝에 매달려 있는 잎 세 개와 나뭇가지 세 개를 그려놓은 모양이다. 가지와 나뭇잎이 많은 것을 세 개씩만 그려 많다는 의미를 표현했다.
+
'''[[|자세히 읽기...]]'''
 
 
'''[[|자세히 읽기...]]'''
 
 
</div>
 
</div>
  
48번째 줄: 46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파일:厉害了我的哥2.PNG|150픽셀|왼쪽|링크=厉害了我的哥]]
+
[[파일:광군제.PNG|150픽셀|왼쪽|링크=광군제]]
'''[[厉害了我的哥]]'''는 “대단해, 우리형”이라는 의미로, 상대를 칭찬할 때 쓰는 인터넷 신조어이다.<br/>
+
'''[[광군제]]'''는 중국에서 11월 11일을 뜻하는 말로, 중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이 이루어지는 날을 말한다. 독신을 뜻하는 숫자 '1'이 네 번 겹치는 11월 11일, 솔로들을 겨냥해 중국 상인들이 할인 판매에 나선 것이 중국 최대 쇼핑 시즌으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함께 세계 최대 할인행사 중 하나이다. <br/>
“厉害了(대단하다)”와 “我的哥(우리형)”이 합쳐진 말로써, 상대방을 칭찬할 때 자주 사용하고 존중의 의미가 담겨 있다. 2016년에 시작되어 현재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인터넷 용어이고, 주로 게임 상에서 많이 사용된다.여기서 친분이 없는 사람에게도 “哥(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칭찬하는 이유는 “哥(형)”이라는 단어가 상대방을 칭찬할 때 중국에서 관행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br/>
+
광군제에서 광군(光棍)’은 중국어로 배우자나 애인이 없는 싱글을 뜻하는 단어이다. 1993년 중국 난징(南京)대 대학생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br/>
 
<br/>
 
<br/>
'''[[厉害了我的哥|자세히 읽기...]]'''
+
'''[[광군제|자세히 읽기...]]'''
 
</div>
 
</div>
 
 
<!-- 중국의 인물-->
 
<!-- 중국의 인물-->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파일:창힐.jpeg|150픽셀|왼쪽|링크=창힐]]
+
[[파일:신농.jpeg|150픽셀|왼쪽|링크=신농]]
'''[[창힐]]'''(倉頡)은 한자를 창제했다고 전해지는 전설시대의 인물로 [[황제]](黄帝)의 사관(史官)으로 전해진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황제의 사관인 창힐은 조수의 발자국을 보고 문양에 따라 실물을 구별할 수 있으며  처음으로 서계(書契)를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br />창힐은 네개의 눈을 가졌다고 전해진다. 보통 사람보다 뛰어난 관찰력을 통해 새나 짐승의 발자국을 보고 한자를 발명했다는 점에서 눈이 네 개라는 전설이 생겼고 이러한 전설이 후세에 전해져 후한시대 화상석(畫像石)이나 훨씬 더 후대에 그려진 그림에서도 눈이 네 개로 묘사되고 있다. <br/>
+
[[신농]]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남방을 다스리던 신이다. 소의 머리를 한 반인반수로 염제(炎帝)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며,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인간에게 농사를 본격적으로 알린 것이 있다. 그래서 이름(神農)이 농사()의 ()인 듯하다. 원래는 염제와 신농은 별개의 신이었지만, 세본(世本)에서부터 동일시하여 이 해석이 널리 퍼졌다. 당시엔 사냥이 주요 생계 수단이라 인구 부양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식물을 대량으로 농사짓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먹을 수 있는 식물과 없는 식물을 구분하고자 신농은 스스로 실험체를 자처했다. 당연히 독초를 먹은 적도 많았으나, 다행히 차를 알게 된 후부터는 웬만한 독초에는 몸이 상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어느날 단장초(斷腸草)라는, 이름대로 창자가 끊어진다는 독초를 먹고 미처 해독도 하기 전에 죽었다는 전설도 있다.  
'''[[창힐|자세히 읽기...]]'''
+
'''[[신농|자세히 읽기...]]'''
</div>
 
 
 
<!--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div><div id="mp-itn"></div>
 
[[파일:중국어문화학과십년사.png|300픽셀|왼쪽|링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2018년은 서울시립대학교가 100주년이 되는 동시에 중국어문화학과도 1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현재 우리 대학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 100년사를, 우리 학과 역시 10년사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10년의 역사를 어느 한 개인이 집필하는 것보다는 모두의 지혜와 추억을 모아 집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여기]]에 공동 집필의 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중국어문화학과 구성원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문서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br/>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공동집필에 참여하기...]]'''
 
 
</div>
 
</div>
  
110번째 줄: 98번째 줄:
 
<div id="mp_participation"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background-color: #eef6ff;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participation"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background-color: #eef6ff;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수업 자료실]]</div><big>'''[[수업 자료실|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big>''':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br>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수업 자료실]]</div><big>'''[[수업 자료실|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big>''':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br>
 +
'''2018년 2학기 수업자료실'''
 +
*[[중국문자의이해]]
  
'''2017년 2학기 수업자료실'''
+
'''2018년 1학기 수업자료실'''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7년 2학기 강의|문화로읽는중국문자]]
+
*[[중국문화사1]]
  
'''2017년 1학기 수업자료실'''
 
*[[중국문화사1 (2017년 1학기)|중국문화사1]]
 
*[[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2017년 1학기)|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중국인문지리(2017년 1학기)|중국인문지리]]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br>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6년 2학기 강의|문화로읽는중국문자]]
 
*[[중국명문감상 2016년 2학기 강의|중국명문감상]]
 
*[[중국언어문화콘텐츠실습 2016년 2학기 강의|중국언어문화콘텐츠실습]]
 
*[[인물로보는근현대중국사회 2016년 2학기 강의|인물로보는근현대중국사회]]
 
  
 
</div>
 
</div>
 
 
<!-- /본문 오른쪽 -->
 
<!-- /본문 오른쪽 -->
 
</div>
 
</div>
 +
<!-- /본문 -->
  
<!-- /본문 -->
 
 
<!-- 바닥글 -->
 
<!-- 바닥글 -->
 
<div id="mp_footer" style="clear: both; height: 100%; overflow: auto; font-size: small;">
 
<div id="mp_footer" style="clear: both; height: 100%; overflow: auto; font-size: small;">
136번째 줄: 115번째 줄:
 
<div id="mp_sisterProjects" class="mp_outer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sisterProjects" class="mp_outer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커뮤니티]]</div>
 
<div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커뮤니티]]</div>
[[파일:중문과 커뮤니티.png|300픽셀|왼쪽|링크=http://chineseagora.uos.ac.kr/]]<br/>
+
[[파일:중문과 커뮤니티.png|300픽셀|왼쪽|링크=http://chineseagora.uos.ac.kr/]]
 +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big>'''학과 소개</bi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br/>
 +
[[사람들|<big>'''사람들</big>''']]  중국어문화학과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  <br/>
 +
[[학과 활동|<big>'''학과 활동</big>''']]  {{색|red|[[답사|학술 답사]]  [[학술제]]  [[C-Camp]]  [[C-Café]]  [[교환학생]]  [[소모임|학과 소모임]]}}<br/>
 +
</div>
  
 +
<!-- 본문 왼쪽 -->
 +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60%; height: 100%;">
 +
<!--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div><div id="mp-itn"></div>
 +
[[파일:중국어문화학과십년사.png|300픽셀|왼쪽|링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
2018년은 서울시립대학교가 100주년이 되는 동시에 중국어문화학과도 1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현재 우리 대학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 100년사를, 우리 학과 역시 10년사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10년의 역사를 어느 한 개인이 집필하는 것보다는 모두의 지혜와 추억을 모아 집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여기]]에 공동 집필의 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중국어문화학과 구성원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문서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br/>
 +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공동집필에 참여하기...]]'''
 +
</div>
 +
<!-- /본문 왼쪽 -->
 +
</div>
  
 +
<!-- 본문 오른쪽 -->
 +
<div id="mp_contentsR" style="width: 40%; height: 100%; float: right;">
 +
<!-- 공지-->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공지</div><div id="mp-itn"></div>
 +
[[파일:2018 중국어문화학과 교육과정.png|300픽셀|왼쪽|링크=수업 자료실]]
 +
2018년 개정된 새로운 중국어문화학과 교육과정을 소개합니다 . <br />
  
 +
'''[[수업 자료실|개정된 2018년 교육과정 자세히 보기...]]'''
 +
</div>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big>'''학과 소개</bi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br/>
+
<!-- /본문 오른쪽 -->
 
 
*[[사람들|<big>'''사람들</big>''']]  중국어문화학과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  <br/>
 
 
 
*[[학과 활동|<big>'''학과 활동</big>''']]  {{색|red|[[답사|학술 답사]]  [[학술제]]  [[C-Camp]]  [[C-Café]]  [[교환학생]]  [[소모임|학과 소모임]]}}<br/>
 
 
 
*[[교환학생|<big>'''교환학생 정보</big>''']]  교환학생에 대한 거의 모든 정보 <br/>
 
 
 
*[[학생회 |<big>'''중국어문화학과 학생회</big>''']]  중국어문화학과 학생회 활동을 위한 열린 공간 <br/>
 
 
</div>
 
</div>
 
+
<!-- /바닥글 -->
 
 
</div><!-- /바닥글 -->
 

2018년 9월 18일 (화) 13:00 판

위키로고배경.pn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중국언어문화 전문 위키백과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4월 18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1,939개가 실려 있습니다.
Dayuejin.jpg

대약진운동은 1958~1960년 마오쩌둥이 소련식 공업화가 초래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도한 생산력 증대 운동이다. 제1차 5개년계획 공업화의 결과로 경제적인 발전에는 성공했으나 사회적 불평등, 도농격차, 이데올로기의 쇠퇴 등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도시의 공업화를 통해 경제적 낙후를 극복하고 사회주의∙공산주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사회주의∙공산주의 사회 건설과 멀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58년 1월 28일 최고국무회의에서 마오쩌둥이 대약진운동의 사상적 기원이 되는 연속혁명론을 제창하면서, 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 사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혁명인 대약진운동이 시작되었다.

자세히 읽기...

엎드릴 복.png

고대 중국인들은 고()라는 주술력이 부정한 일을 일으킨다고 믿었는데 이런 사악한 기운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후각이 예민한 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믿었다. 이에 무덤이나 건물을 지을 때 바닥에 개를 죽여서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을 이라고 했다. 『史記· 秦本紀』의 "처음으로 복(伏)을 한다. 개를 가지고 고(蠱)를 막는다"에서 복이란 계절마다 행하는 의례이며 초복, 삼복이란 그 의례를 행하는 시기를 지칭한다. 갑골문에는 개를 희생으로 사용한 예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상제를 제사지는 類, 개의 고기를 태우는 , 개의 희생을 받아서 신이 만족한다는 과 같은 글자에 개(犬)가 포함된 것이다.
자세히 읽기...

광군제.PNG

광군제는 중국에서 11월 11일을 뜻하는 말로, 중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이 이루어지는 날을 말한다. 독신을 뜻하는 숫자 '1'이 네 번 겹치는 11월 11일, 솔로들을 겨냥해 중국 상인들이 할인 판매에 나선 것이 중국 최대 쇼핑 시즌으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함께 세계 최대 할인행사 중 하나이다.
광군제에서 광군(光棍)’은 중국어로 배우자나 애인이 없는 싱글을 뜻하는 단어이다. 1993년 중국 난징(南京)대 대학생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자세히 읽기...

신농.jpeg

신농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남방을 다스리던 신이다. 소의 머리를 한 반인반수로 염제(炎帝)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며,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인간에게 농사를 본격적으로 알린 것이 있다. 그래서 이름(神農)이 농사(農)의 신(神)인 듯하다. 원래는 염제와 신농은 별개의 신이었지만, 세본(世本)에서부터 동일시하여 이 해석이 널리 퍼졌다. 당시엔 사냥이 주요 생계 수단이라 인구 부양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식물을 대량으로 농사짓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먹을 수 있는 식물과 없는 식물을 구분하고자 신농은 스스로 실험체를 자처했다. 당연히 독초를 먹은 적도 많았으나, 다행히 차를 알게 된 후부터는 웬만한 독초에는 몸이 상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어느날 단장초(斷腸草)라는, 이름대로 창자가 끊어진다는 독초를 먹고 미처 해독도 하기 전에 죽었다는 전설도 있다. 자세히 읽기...

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

중국역사사전로고.png

중국문화사1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

중국인물사전로고1.png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인물 관련 종합사전

중국 역사 고사성어 사전 :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만들어진 고사성어 종합사전
중국어 유행어 사전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중국어 유행어를 정리한 사전
중국 인문지리사전 : 중국의 인문지리에 대한 종합 백과사전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여기에서 볼 수 있다.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
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2018년 2학기 수업자료실

2018년 1학기 수업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