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55번째 줄: 55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파일:신농.jpeg|200픽셀|왼쪽|링크=신농]]
+
[[파일:신농.jpeg|100픽셀|왼쪽|링크=신농]]
 
[[신농]]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남방을 다스리던 신이다. 소의 머리를 한 반인반수로 염제(炎帝)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며,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인간에게 농사를 본격적으로 알린 것이 있다. 그래서 이름(神農)이 농사(農)의 신(神)인 듯하다. 원래는 염제와 신농은 별개의 신이었지만, 세본(世本)에서부터 동일시하여 이 해석이 널리 퍼졌다. 당시엔 사냥이 주요 생계 수단이라 인구 부양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식물을 대량으로 농사짓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먹을 수 있는 식물과 없는 식물을 구분하고자 신농은 스스로 실험체를 자처했다. 당연히 독초를 먹은 적도 많았으나, 다행히 차를 알게 된 후부터는 웬만한 독초에는 몸이 상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어느날 단장초(斷腸草)라는, 이름대로 창자가 끊어진다는 독초를 먹고 미처 해독도 하기 전에 죽었다는 전설도 있다.  
 
[[신농]]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남방을 다스리던 신이다. 소의 머리를 한 반인반수로 염제(炎帝)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며,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인간에게 농사를 본격적으로 알린 것이 있다. 그래서 이름(神農)이 농사(農)의 신(神)인 듯하다. 원래는 염제와 신농은 별개의 신이었지만, 세본(世本)에서부터 동일시하여 이 해석이 널리 퍼졌다. 당시엔 사냥이 주요 생계 수단이라 인구 부양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식물을 대량으로 농사짓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먹을 수 있는 식물과 없는 식물을 구분하고자 신농은 스스로 실험체를 자처했다. 당연히 독초를 먹은 적도 많았으나, 다행히 차를 알게 된 후부터는 웬만한 독초에는 몸이 상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어느날 단장초(斷腸草)라는, 이름대로 창자가 끊어진다는 독초를 먹고 미처 해독도 하기 전에 죽었다는 전설도 있다.  
 
'''[[신농|자세히 읽기...]]'''
 
'''[[신농|자세히 읽기...]]'''

2018년 9월 18일 (화) 12:59 판

위키로고배경.pn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중국언어문화 전문 위키백과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4월 16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1,939개가 실려 있습니다.
Dayuejin.jpg

대약진운동은 1958~1960년 마오쩌둥이 소련식 공업화가 초래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도한 생산력 증대 운동이다. 제1차 5개년계획 공업화의 결과로 경제적인 발전에는 성공했으나 사회적 불평등, 도농격차, 이데올로기의 쇠퇴 등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도시의 공업화를 통해 경제적 낙후를 극복하고 사회주의∙공산주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사회주의∙공산주의 사회 건설과 멀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58년 1월 28일 최고국무회의에서 마오쩌둥이 대약진운동의 사상적 기원이 되는 연속혁명론을 제창하면서, 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 사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혁명인 대약진운동이 시작되었다.

자세히 읽기...

엎드릴 복.png

고대 중국인들은 고()라는 주술력이 부정한 일을 일으킨다고 믿었는데 이런 사악한 기운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후각이 예민한 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믿었다. 이에 무덤이나 건물을 지을 때 바닥에 개를 죽여서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을 이라고 했다. 『史記· 秦本紀』의 "처음으로 복(伏)을 한다. 개를 가지고 고(蠱)를 막는다"에서 복이란 계절마다 행하는 의례이며 초복, 삼복이란 그 의례를 행하는 시기를 지칭한다. 갑골문에는 개를 희생으로 사용한 예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상제를 제사지는 類, 개의 고기를 태우는 , 개의 희생을 받아서 신이 만족한다는 과 같은 글자에 개(犬)가 포함된 것이다.
자세히 읽기...

광군제.PNG

광군제는 중국에서 11월 11일을 뜻하는 말로, 중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이 이루어지는 날을 말한다. 독신을 뜻하는 숫자 '1'이 네 번 겹치는 11월 11일, 솔로들을 겨냥해 중국 상인들이 할인 판매에 나선 것이 중국 최대 쇼핑 시즌으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함께 세계 최대 할인행사 중 하나이다.
광군제에서 광군(光棍)’은 중국어로 배우자나 애인이 없는 싱글을 뜻하는 단어이다. 1993년 중국 난징(南京)대 대학생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자세히 읽기...

신농.jpeg

신농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남방을 다스리던 신이다. 소의 머리를 한 반인반수로 염제(炎帝)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며,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인간에게 농사를 본격적으로 알린 것이 있다. 그래서 이름(神農)이 농사(農)의 신(神)인 듯하다. 원래는 염제와 신농은 별개의 신이었지만, 세본(世本)에서부터 동일시하여 이 해석이 널리 퍼졌다. 당시엔 사냥이 주요 생계 수단이라 인구 부양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식물을 대량으로 농사짓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먹을 수 있는 식물과 없는 식물을 구분하고자 신농은 스스로 실험체를 자처했다. 당연히 독초를 먹은 적도 많았으나, 다행히 차를 알게 된 후부터는 웬만한 독초에는 몸이 상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어느날 단장초(斷腸草)라는, 이름대로 창자가 끊어진다는 독초를 먹고 미처 해독도 하기 전에 죽었다는 전설도 있다. 자세히 읽기...

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

중국역사사전로고.png

중국문화사1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

중국인물사전로고1.png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인물 관련 종합사전

중국 역사 고사성어 사전 :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만들어진 고사성어 종합사전
중국어 유행어 사전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중국어 유행어를 정리한 사전
중국 인문지리사전 : 중국의 인문지리에 대한 종합 백과사전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여기에서 볼 수 있다.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
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2018년 2학기 수업자료실

2018년 1학기 수업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