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8번째 줄: 28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파일:5. 거연한간.PNG|150픽셀|왼쪽|링크=거연한간]]
+
[[파일:동파문자섬네일2.PNG|150픽셀|왼쪽|링크=동파문자]]
'''[[거연한간]]'''(居延漢簡)은 중국 간쑤성 북서부의 어지나 강 유역에서 발굴된 [[]]나라 시대의 1만여 편의 문서들을 통틀어 일컫는 것으로, 현전 가장 이른 시기의 문서는 기원 전 102년([[전한]] [[무제|漢武帝]] 태초太初 3), 가장 늦은 것은 기원 후 30년([[후한]] 光武帝 건무建武 6)의 것이다. 어지나강은 黑河라고도 하며, 간쑤성(감숙성甘肅省) 장액시(張掖市)에서 발원하여 내몽고자치주(內蒙古自治州]의 아라산맹(阿拉善盟) 액제납기(額濟納旗)를 거쳐 거연해로 흐른다. 여기서 ‘거연’에 ‘거연海’라는 이명이 있는 것은 곳이 염호이기 때문이다. 초승달 모양으로 된 하나의 호수였으나 오늘날은 동과 서 두 개로 나뉘어 있다.
+
중국 운남성 서북부 리장지역의 [[나시족]](Naxi,納西)들이 사용하는 '''[[동파문자]]'''(東巴文字), [[동파문자|납서문자]](納西文字), [[동파문자|동파문]] 혹은 [[동파문자|돔바문]](영어: Dongba Symbols)라 불리는 상형문자는 현재까지 그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채 사용되고 있다. 이 [[동파문자|동파문]]은 19세기 말엽에 세상에 알려졌으며 모든 자형을 상형의 방법으로 써낸 문자이다. [[나시족]]이 믿는 동파문의 무사(巫師)들이 그들의 경전을 쓰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동파문자]]라고 불리며, 동파문을 한어로 음역하여 ‘森究魯究’하여 ‘斯究魯究’라고 하는데, 원래의 의미와는 아무 상관없는 그저 중국인들의 발음에 의해 한자로 옮긴 ‘가차’의 음에 불과한 음역자이다.
'''[[거연한간|자세히 읽기...]]'''
+
'''[[동파문자|자세히 읽기...]]'''
 
 
 
</div>
 
</div>
  
37번째 줄: 36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파일:바랄 망.png|300픽셀|오른쪽|링크=]]
+
[[파일:오를등.PNG|300픽셀|오른쪽|링크=]]
'''[[]]'''은 본래 회의자이다. [[갑골문]]의 望은 사람이 높은 지면의 작은 흙더미 위에서 고개를 들어 먼 곳을 바라보는 형상이다. [[금문]]의 望자는 달의 모습을 더했다. ‘고개를 들어 밝은 달을 바라보다.’라는 뜻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望의 본뜻은‘고개를 들어 살피다’,‘멀리보다’;높은 곳에 올라 멀리 바라보면서 기다린다는 뜻을 가진다. 그래서 ‘기대하다. 바라다. 소망하다.’‘희망하다. 바라다’ 등의 뜻이 새로 파생되었다. [[소전]] 이후로 望자 모양의 근본이 변화하였다. 원래 눈을 나타내는‘臣’이‘亡(발음을 나타낸다)’을 대체하여 회의자에서 형성자로 바뀌었다.
+
[[갑골문]] [[]]은 양손으로 음식을 담는 용기([[]])를 받쳐들고, 계단에 올라 신과 조상을 받들러 들어간다는 것의 의미이다. 글자 윗부분에 두 발 이 있는데, 이는 빠른 속도로 위를 향해 오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서에서는 두 손을 생략해 없앴는데, 마치 "[[豆]]"를 들고있는 사람이 없는 것 같다. 예서 [[]]의 윗부분을 [[파일:오를등윗부분예서.png|30픽셀]]로 쓸 수 있는 것은 양발의 본래 뜻을 보존하여 지킨 것이다.
+
'''[[|자세히 읽기...]]'''
'''[[|자세히 읽기...]]'''
 
 
</div>
 
</div>
  
46번째 줄: 44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파일:건청문.jpg|150픽셀|왼쪽|링크=만주문자]]
+
[[파일:회남자.jpg|150픽셀|왼쪽|링크=회남자]]
'''[[만주문자]]'''는 [[청]]나라 [[만주족]]이 사용하던 언어로서 1599년 여진 부락을 통합하고 국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누르하치]]가 창제한 문자이다. 만주문자는 몽골 문자와 함께 위구르 문자, 소그드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는 물론 더 멀리는 라틴 문자, 이집트문자 등과도 같은 계통의 문자라고 알려져 있으며 만주족 문화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음은 물론, 만주족이 통치체제를 정비하고 중원에 들어가 패권을 잡을 있도록 하는 데에 밑거름이 되었다.<br>
+
'''『회남자』'''는 기원전 139년 회남왕 [[유안]]이 황실에 입조하여 그의 조카뻘되는 [[한 무제]](武帝)를 알현하며 『내서(內書)』 21편을 헌상한 책으로, 한대(漢代) 초기에 유행한 다양한 사상과 문화 그리고 학문들을 종합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일종의 '백과전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회남자』에는 황로학이라는 사상적 요소와 천문학·지리학·군사학·의학·종교학 등 다양한 요소들이 녹아 있다. 한대 초기의 정치적 상황은 황제 중심으로 천하를 일원화하려는 중앙 집권주의와 지방의 제후들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권익과 자치권을 확보하려는 지방 분권주의가 서로 충돌한 과정이라 볼 있다. 이 과정에서 제후들은 끝까지 몸부림치기도 했지만 결국 죽임을 당하거나 자살하는 수밖에 없었다. 『회남자』를 저술한 회남왕 유안이나 그의 아버지 유장 역시 그 희생자들이었다. 『회남자』는 바로 한 제국 초기에 나타난 이런 정치적 갈등 구조 속에서 탄생한 저작이라고 할 있다.
만주문자는 몽골문자를 본떠 만들어졌는데, 몽골어와 소리체계가 달라 표기에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만주문자가 만들어 진지 30여 년 후 1632년, 다하이[達海]라는 학자가 초기 만주 문자를 개량하여 점(∙)과 동그라미(∘)를 더하여 만주어의 소리를 정확하게 표기할 있게 된다
 
 
<br/>
 
<br/>
'''[[만주문자|자세히 읽기...]]'''
+
'''[[회남자|자세히 읽기...]]'''
 
</div>
 
</div>
 
<!-- 중국의 인물-->
 
<!-- 중국의 인물-->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파일:허신상.PNG|150px|왼쪽|링크=허신]]
+
[[파일:방상씨1.jpeg|150px|왼쪽|링크=방상씨]]
'''[[허신]]'''(許愼)은 『[[설문해자]]』를 집필한 [[후한]] 시대의 학자이다. 허신의 이름은 신愼이며 자字는 숙중叔重인데, 같은 ‘공손하게 삼감’이라는 의미를 지닌 중重을 자字로 한 것이다. 또한, 신愼과 중重 사이에는 ‘신중’이라는 어휘가 있어 글자 사이에 밀접성이 있기도 하다. 허신은 여남 소릉의 사람이다. 여남은 군의 이름인데, 기록에 따르면 여남군에는 37개의 성(집락)이 속하여 있었다. 소릉은 그 성 가운데 하나를 말한다. 현재의 허난성 옌청현, 카이펑에서 남남서로 약 1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
'''[[방상씨]]'''(放相氏)는 중국 고대 민간 신앙의 신이며 동시에 악귀를 몰아내는 직관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역병을 물리치고 액막이를 하는 신을 의미한다. 방상씨는 곰의 가죽을 뒤집어쓰고, 황금빛의 네 눈에, 검은 저고리와 붉은 치마를 입고, 창과 방패를 들고서 나라의 역병을 쫓아낸다. 궁정에서 방상씨가 역귀를 몰아내는 의식을 중국어로 ‘대나(大傩)’라고 한다. 주례(周禮)》에 따르면 방상씨는 곰가죽을 뒤집어쓰고, 황금빛을 띤 네 눈에 검은 저고리 붉은 치마를 입고 창을 들고 방패를 가지고서 백예(百隷)를 거느리고 철에 따라 '나'를 행하면서 집안을 뒤져 역귀를 몰아내었다고 한다.
허신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후한서·유림전』에 1백여 글자로 간단하게 적혀있다.  
+
'''[[방상씨|자세히 읽기...]]'''
'''[[허신|자세히 읽기...]]'''
 
 
</div>
 
</div>
  

2019년 12월 25일 (수) 22:57 판

위키로고배경.png
중국학 위키백과 SinoWiki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의 중국학 위키백과 SinoWiki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4월 20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1,939개가 실려 있습니다.
동파문자섬네일2.PNG

중국 운남성 서북부 리장지역의 나시족(Naxi,納西)들이 사용하는 동파문자(東巴文字), 납서문자(納西文字), 동파문 혹은 돔바문(영어: Dongba Symbols)라 불리는 상형문자는 현재까지 그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채 사용되고 있다. 이 동파문은 19세기 말엽에 세상에 알려졌으며 모든 자형을 상형의 방법으로 써낸 문자이다. 나시족이 믿는 동파문의 무사(巫師)들이 그들의 경전을 쓰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동파문자라고 불리며, 이 동파문을 한어로 음역하여 ‘森究魯究’하여 ‘斯究魯究’라고 하는데, 원래의 의미와는 아무 상관없는 그저 중국인들의 발음에 의해 한자로 옮긴 ‘가차’의 음에 불과한 음역자이다. 자세히 읽기...

오를등.PNG

갑골문 은 양손으로 음식을 담는 용기()를 받쳐들고, 계단에 올라 신과 조상을 받들러 들어간다는 것의 의미이다. 글자 윗부분에 두 발 이 있는데, 이는 빠른 속도로 위를 향해 오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서에서는 두 손을 생략해 없앴는데, 마치 ""를 들고있는 사람이 없는 것 같다. 예서 의 윗부분을 오를등윗부분예서.png로 쓸 수 있는 것은 양발의 본래 뜻을 보존하여 지킨 것이다. 자세히 읽기...

회남자.jpg

『회남자』는 기원전 139년 회남왕 유안이 황실에 입조하여 그의 조카뻘되는 한 무제(武帝)를 알현하며 『내서(內書)』 21편을 헌상한 책으로, 한대(漢代) 초기에 유행한 다양한 사상과 문화 그리고 학문들을 종합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일종의 '백과전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회남자』에는 황로학이라는 사상적 요소와 천문학·지리학·군사학·의학·종교학 등 다양한 요소들이 녹아 있다. 한대 초기의 정치적 상황은 황제 중심으로 천하를 일원화하려는 중앙 집권주의와 지방의 제후들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권익과 자치권을 확보하려는 지방 분권주의가 서로 충돌한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후들은 끝까지 몸부림치기도 했지만 결국 죽임을 당하거나 자살하는 수밖에 없었다. 『회남자』를 저술한 회남왕 유안이나 그의 아버지 유장 역시 그 희생자들이었다. 『회남자』는 바로 한 제국 초기에 나타난 이런 정치적 갈등 구조 속에서 탄생한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자세히 읽기...

방상씨1.jpeg

방상씨(放相氏)는 중국 고대 민간 신앙의 신이며 동시에 악귀를 몰아내는 직관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역병을 물리치고 액막이를 하는 신을 의미한다. 방상씨는 곰의 가죽을 뒤집어쓰고, 황금빛의 네 눈에, 검은 저고리와 붉은 치마를 입고, 창과 방패를 들고서 나라의 역병을 쫓아낸다. 궁정에서 방상씨가 역귀를 몰아내는 의식을 중국어로 ‘대나(大傩)’라고 한다. 주례(周禮)》에 따르면 방상씨는 곰가죽을 뒤집어쓰고, 황금빛을 띤 네 눈에 검은 저고리 붉은 치마를 입고 창을 들고 방패를 가지고서 백예(百隷)를 거느리고 철에 따라 '나'를 행하면서 집안을 뒤져 역귀를 몰아내었다고 한다. 자세히 읽기...

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

중국역사사전로고.png

중국문화사1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

중국인물사전로고1.png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인물 관련 종합사전

중국어 유행어 사전 : 연도별 중국어 유행어를 정리한 사전
중국 인문지리사전 : 중국의 인문지리에 종합 백과사전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여기에서 볼 수 있다.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
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