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5번째 줄: 35번째 줄:
  
 
# 아츠지 데츠치, 『한자의 역사』, 학민사, 1999
 
# 아츠지 데츠치, 『한자의 역사』, 학민사, 1999
# 양동숙, 『그림으로 배우는 중국문자학, 차이나하우스, 2001
+
# 양동숙, 『그림으로 배우는 중국문자학』, 차이나하우스, 2001
  
 
===학술논문===
 
===학술논문===

2020년 12월 22일 (화) 23:47 판

대우정(大盂鼎)

대우정.jpg

대우정은 서주 초기의 청동기를 대표하는 것 중 하나로, 청대(淸代) 도광년간(道光年間, 1821~50)에 주(周)를 건국한 부족이 본래 살았던 기산(岐山:섬서성 소재)의 기슭에서 발견된 정()인데, 높이 102.1cm, 상부의 구경 78.4cm, 무게 153.5kg인 웅장한 것이다. 우정(盂鼎), 전우정(全盂鼎)이라고도 부른다.

읍신곽씨(邑紳郭氏), 주광성(周廣盛), 좌종당(左宗堂), 번조음(藩祖荫) 등의 사람들이 차례로 소장하다가 1951년 번씨(藩氏) 후손인 번달연(藩達捐)이 국가에 기증하여 상해박물관에 진열되었으며, 현재는 중국역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기물의 동그란 배 부분 밑으로 3개의 다리가 이어져 있고 정의 입구 아래쪽에는 야수의 문양이 둘러져 있다. 3개의 다리 각 윗부분에는 호랑이 얼굴 문양이 있으며, 아래쪽에는 두 개의 선으로 활 문양이 새겨져 있어 단정하면서도 장중한 분위기를 뿜어낸다.

현재 알려져 있는 주대(周代)의 정(鼎) 가운데에는 가장 큰 것인데, 중일전쟁으로 수많은 문물이 전화를 피해 골짜기로 옮겨졌을 때도 대우정은 너무 무거워 땅 속에 묻었다가 전쟁이 끝난 뒤 다시 파내었다는 일화가 있다.[1]


대우정(大盂鼎)의 명문(銘文)

大盂鼎銘文 일부

제작 시기는 주(周)가 건국되고, 곧이어 싸움도 멎고 나라 힘이 가장 충실했던 강왕(康王) 시대(B.C 1000년 경)로 추정되며, 시대의 기풍을 반영했는지 그것은 정말 힘이 넘쳐흘러 보는 이를 압도하는 박력있는 정(鼎)이다.

대우정(大盂鼎)의 내벽에는 거침없는 필치로 쓴 19행, 모두 291자가 되는 긴 글이 새겨져 있으며, 강왕이 뛰어난 장군이었던 우(盂:사람 이름)에게 조상의 관직을 잇도록 명하고, 수레, 말, 옷가지 등과 함께 모두 1,700명이 넘는 백성을 준 기념으로 우(盂)가 이 정(鼎)을 만들었다고 적혀 있다. 이는 서주 전기의 정치 사회를 엿볼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특히“丕顯文王受天佑大命(찬란한 문왕은 천명을 가지고 하늘의 도움을 얻으셨고)”과 “粵我其遹省先王受民受疆土。(나는 선덕을 따르고 선왕은 하늘의 백성과 강역을 받아들이셨다)”는 구절을 통해 주대 사람들은 상대의 의식을 대부분 그대로 계승하고 있으며 그 중 “천명관”과 “덕치”는 노예제도가 존재했던 주대 상류계층들에게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천명사상(天命思想)

이 명문(銘文)은 실제로 임금이 신하에게 내린 책명(策命:관직이나 토지를 주는 사령)을 그대로 실어놓은 것이므로 역사학적인 면에서는 서주(西周) 초기의 역사를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이 명문이 지닌 자료적인 가치는 거기에 머물지 않고 한편으로는 중국사상사의 중요한 주제인 천명사상(天命思想)이 나타난 가장 오래된 것이어서 사상사 연구에서도 값진 것이다.

명문 첫머리의 1절(도판의 첫째줄 밑에서 두번째 글자부터 둘째줄에 걸쳐)에 "비현(丕顯:위대)한 문왕(文王)은 하늘[天]이 가진 대명(大命)을 받아" 위로부터 아래까지 음주에 광분하는 부패한 은(殷)을 토벌하였다고 기술한 부분이 있다.

은을 멸망시키고 주왕조(周王朝)를 세운 문왕(및 그의 아들 武王)은 하늘로부터 땅을 다스리라는 사명을 받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땅을 다스리는 사람이 덕을 잃고 인간사회의 질서가 없을 때에는, 하늘은 다른 성현에게 땅을 다스리는 사명을 주고 하늘을 대신하여 백성을 지배하게 한다는 생각의 발단이다.

은(殷)에서는 모든 행위는 신탁(神託)을 얻어 행하였으며, 인간의 운명은 절대적인 신에 의해 지배되었으나, 주(周)는 인간이 실천하는 정치의 선악에 의해 천명이 좌우된다고 생각하여 은(殷)에 대한 탈권과 자기 통치를 이론화했다.

주의 통치사상은 뒤에 공자(孔子)가 창시한 유학(儒學)의 중심사상이 되었고, 천명사상은 역대 정치사상의 흐름으로도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 중대한 이념이었는데, 이 대우정(大盂鼎)의 명문으로 그런 사고방식이 이미 주대(周代) 초기에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1. 아츠지 데츠치, 『한자의 역사』, 학민사, 1999
  2. 양동숙, 『그림으로 배우는 중국문자학』, 차이나하우스, 2001

학술논문

박은미, 「西周時期 冊命 銘文 연구 -<大盂鼎>,<宜侯夨簋>,<虎簋蓋>,<班簋>, <靜簋>,<蔡簋>,<三年師兌簋> 考釋을 중심으로 -」,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 아츠지 데츠치, 『한자의 역사』, 학민사, p.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