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제타스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비문의 해독)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br> <br>
 
<br> <br>
 
=비문의 해독=
 
=비문의 해독=
프랑스의 학자들은 이집트에서 보내온 로제타 스톤의 탁본을 이용해 그리스어 비문을 번역했다. 그리스어의 변역에 의하면 이 비석의 비문은 하나의 포고령으로서 알렉산더 대왕 사망이후 이집트를 통치하게 된 프톨레미 왕조의 프톨레미 5세(Ptolemy V, Epiphanes, 203-181 B.C.)의 치적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 그 당시 12세인 프톨레미 5세의 통치 6년째인 기원전 196년에 멤피스(Memphis)의 프타흐(Ptah) 신전에 집결한 이집트의 모든 성직자들의 모임에서 결정된 그의 치적들을 기록한 것이다. 비문은 그리스어로 먼저 쓰고 그것을 이집트 고대 그림문자와 그의 필기체로 번역을 한 것을 한 비석에 옮겨놓은 것이다.10) 비문의 주요내용은 그의 6년 동안의 재임기간에 선왕 프톨레미 4세의 실정을 극복하고 반란을 진압했고 나아가 육군과 해군의 전력증강을 위하여 많은 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국가를 반석 위에 올려놓았다는 것이다. 또한 많은 백성들의 세금을 감면해주고 죄수들을 석방하고 군인들에게 푸짐한 하사금을 내리고 법과 질서를 바로 잡았다는 칭송과 과거의 종교적인 행사를 부활했고 성직자들의 특권과 재정적 특혜를 복원시켰다는 내용
+
프랑스의 학자들은 이집트에서 보내온 로제타 스톤의 탁본을 이용해 그리스어 비문을 번역했다. 그리스어의 변역에 의하면 이 비석의 비문은 하나의 포고령으로서 알렉산더 대왕 사망이후 이집트를 통치하게 된 프톨레미 왕조의 프톨레미 5세(Ptolemy V, Epiphanes, 203-181 B.C.)의 치적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 그 당시 12세인 프톨레미 5세의 통치 6년째인 기원전 196년에 멤피스(Memphis)의 프타흐(Ptah) 신전에 집결한 이집트의 모든 성직자들의 모임에서 결정된 그의 치적들을 기록한 것이다. 비문은 그리스어로 먼저 쓰고 그것을 이집트 고대 그림문자와 그의 필기체로 번역을 한 것을 한 비석에 옮겨놓은 것이다. 비문의 주요내용은 그의 6년 동안의 재임기간에 선왕 프톨레미 4세의 실정을 극복하고 반란을 진압했고 나아가 육군과 해군의 전력증강을 위하여 많은 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국가를 반석 위에 올려놓았다는 것이다. 또한 많은 백성들의 세금을 감면해주고 죄수들을 석방하고 군인들에게 푸짐한 하사금을 내리고 법과 질서를 바로 잡았다는 칭송과 과거의 종교적인 행사를 부활했고 성직자들의 특권과 재정적 특혜를 복원시켰다는 내용
 
이다. 그 결의에 의하면 이러한 비석을 그 당시 이집트에 있는 1등, 2등, 3등 신전 모두에 건립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마지막 문장에는 이 포고령을 비석에 먼저 이집트 그림문자로 기록하고 다음은 이집트 토속문자인 데모틱(demotic)으로 마지막으로 그리스어로 기록한다라는 조건이 명시되어 있었다. <br>  
 
이다. 그 결의에 의하면 이러한 비석을 그 당시 이집트에 있는 1등, 2등, 3등 신전 모두에 건립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마지막 문장에는 이 포고령을 비석에 먼저 이집트 그림문자로 기록하고 다음은 이집트 토속문자인 데모틱(demotic)으로 마지막으로 그리스어로 기록한다라는 조건이 명시되어 있었다. <br>  
 
이와 같은 그리스어 비문의 해독은 그 당시 학계에 이집트문자의 해독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는 큰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그리스문자를 해독한 후 학자들은 다음으로 이집트 문자에 관심을 가졌다. 그들이 보기에 하나는 고대 그림문자이고 다른 하나는 문자들을 연결해서 쓰는 다른 글씨인 것 같았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많은 사람들이 로제타 스톤은 3개의 다른 글로 기록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추후 토마스 영(Thomas Young)에 의해서 밝혀지지만 토속문자는 그림문자를 간소화하여 연결해서 쓰는 같은 글이었다. 그
 
이와 같은 그리스어 비문의 해독은 그 당시 학계에 이집트문자의 해독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는 큰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그리스문자를 해독한 후 학자들은 다음으로 이집트 문자에 관심을 가졌다. 그들이 보기에 하나는 고대 그림문자이고 다른 하나는 문자들을 연결해서 쓰는 다른 글씨인 것 같았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많은 사람들이 로제타 스톤은 3개의 다른 글로 기록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추후 토마스 영(Thomas Young)에 의해서 밝혀지지만 토속문자는 그림문자를 간소화하여 연결해서 쓰는 같은 글이었다. 그
27번째 줄: 27번째 줄:
 
샹폴리옹(1790-1832)은 프랑스 남서부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친은 서점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는 다섯 살 때 벌써 글을 읽었고 열 살 때는 아랍어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토마스 영은 그림글씨의 탁본을 보면서 거기에 심취되었고 성장한 후 그것을 해독해 보겠다고 결심했다. 17세가 되었을 때 그는 벌써 영어, 독어, 이탈리아어뿐만 아니라 그리스어, 히브리어, 페르시아어 등을 구사하게 되고 곧 이어서 이집트 기독교인들의 언어인 콥틱(Coptic)어를 배웠다. 그의 생각엔 비록 콥틱어가 대부분 그리스 알
 
샹폴리옹(1790-1832)은 프랑스 남서부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친은 서점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는 다섯 살 때 벌써 글을 읽었고 열 살 때는 아랍어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토마스 영은 그림글씨의 탁본을 보면서 거기에 심취되었고 성장한 후 그것을 해독해 보겠다고 결심했다. 17세가 되었을 때 그는 벌써 영어, 독어, 이탈리아어뿐만 아니라 그리스어, 히브리어, 페르시아어 등을 구사하게 되고 곧 이어서 이집트 기독교인들의 언어인 콥틱(Coptic)어를 배웠다. 그의 생각엔 비록 콥틱어가 대부분 그리스 알
 
파벳으로 표기되지만 그래도 고대 이집트문자의 잔재가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 믿었다. 1807년 학교를 졸업한 샹폴리옹은 파리로 옮겨서 몇 해전 로제타 비문을 해독하려다 실패한 사시(Sylvestre de Sacy)와 함께 연구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경제적인 문제로 글렌노블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교편을 잡았다. 여가를 이용하여 그는 이집트문자 해독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않고 열심히 노력하였지만 큰 진척이 없었다. 왜냐하면 그도 그 이전의 여러 연구자와 같이 그림들이 어떠한 의미를 지닌 것이지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일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1822년에 돌연 본인의 주장을 바꾸어 그림들이 발음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그의 경쟁자들은 이러한 그의 변화가 토마스 영의 연구논문을 읽고 난 후라고 했으나 그는 독자적으로 그러한 결과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br>
 
파벳으로 표기되지만 그래도 고대 이집트문자의 잔재가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 믿었다. 1807년 학교를 졸업한 샹폴리옹은 파리로 옮겨서 몇 해전 로제타 비문을 해독하려다 실패한 사시(Sylvestre de Sacy)와 함께 연구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경제적인 문제로 글렌노블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교편을 잡았다. 여가를 이용하여 그는 이집트문자 해독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않고 열심히 노력하였지만 큰 진척이 없었다. 왜냐하면 그도 그 이전의 여러 연구자와 같이 그림들이 어떠한 의미를 지닌 것이지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일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1822년에 돌연 본인의 주장을 바꾸어 그림들이 발음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그의 경쟁자들은 이러한 그의 변화가 토마스 영의 연구논문을 읽고 난 후라고 했으나 그는 독자적으로 그러한 결과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br>
계속해서 이름을 해독해 나가던 그는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고대 이집트 그림문자는 발음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어떤 글자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이중성을 알아냈다. 이와 같은 그의 발견이 1824년 파리에서 한 권의 책(Precis due Systeme Hieroglyphique)으로 발간되었다. 이 책에서 그는 이집트 문자는 한 단어나 한 문장에 동시에 발음과 뜻을 가진 글자를 병행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그의 주장은 사실로 확인되었고 사시, 토마스 영 등으로 이어지는 장기간에 걸친 이집트문자 해독의 노력이 결실을 보게 되었다. 그간 추측과 의문에 쌓여있던 수많은 이집트 피라미드와 무덤의 벽화뿐만 아니라 파피루스의 문자들이 해독되었고 고대 이집트인들의 생활을 연구하는데 획기적인 성과를 보게 되었다.  
+
계속해서 이름을 해독해 나가던 그는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고대 이집트 그림문자는 발음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어떤 글자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이중성을 알아냈다. 이와 같은 그의 발견이 1824년 파리에서 한 권의 책(Precis due Systeme Hieroglyphique)으로 발간되었다. 이 책에서 그는 이집트 문자는 한 단어나 한 문장에 동시에 발음과 뜻을 가진 글자를 병행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그의 주장은 사실로 확인되었고 사시, 토마스 영 등으로 이어지는 장기간에 걸친 이집트문자 해독의 노력이 결실을 보게 되었다. 그간 추측과 의문에 쌓여있던 수많은 이집트 피라미드와 무덤의 벽화뿐만 아니라 파피루스의 문자들이 해독되었고 고대 이집트인들의 생활을 연구하는데 획기적인 성과를 보게 되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35번째 줄: 33번째 줄:
 
* 박찬기, 「로제타 스톤(Rosetta Stone)과 이집트 알파벳」, 韓國中東學會, 2004, 235-262
 
* 박찬기, 「로제타 스톤(Rosetta Stone)과 이집트 알파벳」, 韓國中東學會, 2004, 235-262
 
* 손주영, 송경근, 『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09. 4. 30
 
* 손주영, 송경근, 『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09. 4. 30
 +
 +
[[분류:중국문자]]

2016년 12월 24일 (토) 08:20 기준 최신판

개요

로제타 석("Rosetta Stone" by © Hans Hillewaert. Licensed under CC BY-SA 4.0 via Wikimedia Commons.)

보나파르트의 이집트 원정 기간 동안 로제타 근처에서 쥴리앙 요새의 기초 공사가 진행되고 있던 1799년 7월, 공병 부관 부샤르는 상형문자, 민용문자 그리고 그리스어가 새겨진 커다란 돌을 발견하는데, 이 돌은 본래 신전 경내에 있다가 요새를 만드는 데 다시 사용된 것이었다. 돌의 가운데 부분 문장은 곧바로 상형문자의 초서체라는 가능성이 제시되었고, 상형문자 해독에 도움이 되는 유물로 여겨졌다. 실제로 그리스어로 씌어진 문장은 샹폴리옹이 이집트 문자를 해독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샹폴리옹은 원본을 보지는 못했는데, 그 이유는 1801년 이집트에 있던 프랑스 군대가 항복함에 따라 로제타석이 영국인의 손에 넘어갔기 때문이었다. 이 돌은 현재 런던의 대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검은 현무암으로 된 이 돌의 기원은 원래 로제타가 아니라 나일 강의 델타 지류에 위치한 도시인 사이스의 신전이었다. 원문에 따르면 이 돌은 신전 안의 프톨레마이오스 5세의 조상 근처에 놓여 있었다. 이것은 프톨레마이오스 5세 재위 4년(기원전 196. 3. 27)에 만들어진 멤피스 법령을 옮겨쓴 것으로, 나라 안의 다른 신전에 있던 여러 판본들도 현재까지 남아 있다. 당시 멤피스에서 열린 종교 회의에 모인 나라 전역에서 온 사제들은 세금의 면제와 감면, 신성 동물에 대한 예우, 신전의 완공, 반란의 진압 등 왕의 공덕과 왕이 국가와 특히 신전에 베푼 은혜를 찬양했다.

멤피스 법령은 카노푸스 법령처럼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전형적인 것으로, 이집트 성직자와 라지드 왕조 사이의 연루 및 협력 관계를 보여준다. 이집트 성직자는 신전들 안에 왕의 조상을 건립할 것을 결정했고 왕을 기리기 위한 축제를 주관했다.

발굴 배경

알렉산드리아에서 약 56km 떨어진 로제타(Rosetta)지역의 성 줄리언요새(Fort St. Julien)에서 진지를 구축하던 프랑스군인들이 폐허가 된 옛 성을 헐어내는 중에 1799년 8월 석판형태의 돌비석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 크기는 길이가 3피트 9인치고 넓이가 2피트 4.5인치이며 두께가 11인치였다. 발견 당시 비석 상단부의 좌우와 우측하단부가 떨어져 나간 상태였다. 작업군인들이 혹시나 떨어져나간 조각을 찾을 희망으로 인근구역은 조사했으나 찾지 못했다. 그들은 이 흑색 현무암(black basalt)비석을 조심스러이 포장하여 카이로에 있는 프랑스학자들의 임시 연구소로 수송했다. 종군 학자들이 관찰해본 결과 이 비석이 그리스어뿐만 아니라 고대 이집트문자가 함께 있는 첫 비석이었기에 대단한 관심을 끌었다. 일단 학자들은 이 돌을 발견된 장소의 이름을 따서 로제타 스톤(Pierre de Rosette)이라고 명명했다. 그들은 이 비문을 잉크및 석회로 된 탁본을 떠서 프랑스에 있는 그리스어 전문가에게 보내서 번역을 하게 했다.
이러한 와중에 1801년 봄 영국군이 알렉산드리아 근처에 상륙했고 오토만 원정군이 시리아를 거쳐서 이집트로 진격해 오고 있었다. 그해 6월 카이로는 오토만군에 함락되고 프랑스군은 알렉산드리아로 후퇴했다. 이들은 후퇴하면서 그 동안 이집트에서 수집했던 모든 유물들과 함께 로제타 비석도 가지고 갔다. 영국군에 포위된 프랑스군은 그해 9월 영국군에 항복했다. 항복협정의 한 조건으로 영국군은 그 동안 프랑스학자들이 수집한 이집트의 유물들을 모두 그들에게 인도하기를 요구했다. 그러나 프랑스학자들은 강력히 반대했고, 특히 프랑스군 총 책임자인 메노우(Gen. Menouw) 장군은 로제타 스톤은 그의 개인적 소유라고 주장했다. 오랜 시간의 협상 후 절충적인 해결방법으로, 프랑스학자들이 많은 부분의 유물을 소유하는 대신 로제타 스톤은 영국군에 인계되었다.

비문의 해독

프랑스의 학자들은 이집트에서 보내온 로제타 스톤의 탁본을 이용해 그리스어 비문을 번역했다. 그리스어의 변역에 의하면 이 비석의 비문은 하나의 포고령으로서 알렉산더 대왕 사망이후 이집트를 통치하게 된 프톨레미 왕조의 프톨레미 5세(Ptolemy V, Epiphanes, 203-181 B.C.)의 치적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 그 당시 12세인 프톨레미 5세의 통치 6년째인 기원전 196년에 멤피스(Memphis)의 프타흐(Ptah) 신전에 집결한 이집트의 모든 성직자들의 모임에서 결정된 그의 치적들을 기록한 것이다. 비문은 그리스어로 먼저 쓰고 그것을 이집트 고대 그림문자와 그의 필기체로 번역을 한 것을 한 비석에 옮겨놓은 것이다. 비문의 주요내용은 그의 6년 동안의 재임기간에 선왕 프톨레미 4세의 실정을 극복하고 반란을 진압했고 나아가 육군과 해군의 전력증강을 위하여 많은 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국가를 반석 위에 올려놓았다는 것이다. 또한 많은 백성들의 세금을 감면해주고 죄수들을 석방하고 군인들에게 푸짐한 하사금을 내리고 법과 질서를 바로 잡았다는 칭송과 과거의 종교적인 행사를 부활했고 성직자들의 특권과 재정적 특혜를 복원시켰다는 내용 이다. 그 결의에 의하면 이러한 비석을 그 당시 이집트에 있는 1등, 2등, 3등 신전 모두에 건립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마지막 문장에는 이 포고령을 비석에 먼저 이집트 그림문자로 기록하고 다음은 이집트 토속문자인 데모틱(demotic)으로 마지막으로 그리스어로 기록한다라는 조건이 명시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그리스어 비문의 해독은 그 당시 학계에 이집트문자의 해독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는 큰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그리스문자를 해독한 후 학자들은 다음으로 이집트 문자에 관심을 가졌다. 그들이 보기에 하나는 고대 그림문자이고 다른 하나는 문자들을 연결해서 쓰는 다른 글씨인 것 같았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많은 사람들이 로제타 스톤은 3개의 다른 글로 기록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추후 토마스 영(Thomas Young)에 의해서 밝혀지지만 토속문자는 그림문자를 간소화하여 연결해서 쓰는 같은 글이었다. 그 리스어 비문의 내용으로 보아 당시 학자들은 이집트문자들이 그리스어 내용과 동일한 내용일 것이라 추측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렇게 추측을 할 뿐 누구도 이집트문자를 해독할 수는 없었다. 그후 많은 학자들에 의한 시행착오를 겪은 결과 고대 이집트그림문자가 발음을 나타내는 알파벳의 원리에 의해서 사용되었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해독이 가능해졌다.

해독 과정

이 비석이 발견되기 전까지 수많은 서구의 고대 이집트연구자들이 이집트 문자를 중국의 한자와 같은 상형문자로 인식하고 그림들의 의미를 연관지어서 해석을 하려고 시도했었다. 심지어 어떤 학자들은 중국과 이집트를 연관하여 서로가 식민지관계에 있었을 지도 모른다고 추측했다. 이와 같은 잘못된 접근방법으로 피라미드, 오벨리스크(obelisk), 왕실무덤, 파피루스 등의 그림글씨를 해석하는 많은 책과 논문이 나왔다. 현재의 시각으로 보면 언어학적 또는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는 상상에 불과했다. 왜 이러한 현상이 그렇게 오랜 기간 지속되었을까? 대부분의 학자들이 그들의 고정관념인 상형문자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하고 그림의 뜻으로 글자의 의미를 해석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비록 나폴레옹의 이집트원정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그 부산물로 발견하게 된 로제타 스톤은 수세기 동안 가지고 있던 고대 이집트문자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올바른 접근을 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게 되었다.

토마스 영(Thomas Young)

토마스 영(Thomas Young, 1773-1829)

로제타 스톤은 1802년 영국으로 수송되었고 그 당시 국왕 조지3세(George III)의 명에 의하여 대영 박물관에 안치되었다. 또한 많은 탁본을 만들어서 관심 있는 학자들이 이용할 수 있게 했다. 1814년 그 중 한 탁본이 토마스 영(Thomas Young, 1773-1830))에게 전달이 되었다. 그는 두 살 때 글을 읽을 수 있었고 20세에는 약 12개 국어를 습득했을 정도로 천재적인 기질을 타고 났다. 이집트문자해독에 관심을 가진 그는 모든 일을 제치고 비문 해독에 집중하였다. 그는 프랑스의 사시와 그의 제자들의 연구결과를 읽었고 그들과 같이 처음에 데모틱 비문에서 시작했다. 그도 프랑스학자들처럼 그리스어 비문의 단어들과 데모틱 비문의 그와 같은 의미의 글자 그룹들을 분리해서 알파벳을 찾는 방법을 동원했으나 곧 벽에 부딪치고 말았다. 이와 같이 난관에 봉착하자 그는 데모틱 대신 그림문자에 관심을 돌렸다. 이전에 여러 학자들이 이집트 그림문자의 해독을 시도했으나 대부분이 이집트문자를 일종의 상형문자로 생각하고 그림의 뜻에 준해서 해독을 하려고 시도하다 실패했다. 예를 들면 사자의 그림은 사자와 연관된 의미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었다. 사자의 용맹성, 힘, 동물의 왕 등으로 해독을 시도했었다. 그러나 데모틱과 그림문자를 비교하면서 토마스 영은 그림이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phonetic symbol)’ 일 가능성이 있다는 추측을 하게되었다. 세심한 비교결과 그는 왕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구의 맨 앞의 ‘ㅁ’ 과 같은 모형이 프톨레미(Ptolemy)의 첫 글자인 ‘P’ 발음을 나타내는 발음기호일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고 계속 비교한 결과 T, O, L, M 등의 그림문자 알파벳을 찾을 수 있었다. 그는 이와 같은 그의 연구결과를 1818년 대영백과사전(Encyclopaedia Britannica)에 발표했다. 그후 그는 계속해서 비문의 다른 이름과 내용들을 해독하려고 노력했으나 더 이상의 별 다른 진전이 없었다.

장 샹폴리옹(Jean-Francois Champollion)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Jean-François Champollion, 1790-1832)

샹폴리옹(1790-1832)은 프랑스 남서부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친은 서점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는 다섯 살 때 벌써 글을 읽었고 열 살 때는 아랍어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토마스 영은 그림글씨의 탁본을 보면서 거기에 심취되었고 성장한 후 그것을 해독해 보겠다고 결심했다. 17세가 되었을 때 그는 벌써 영어, 독어, 이탈리아어뿐만 아니라 그리스어, 히브리어, 페르시아어 등을 구사하게 되고 곧 이어서 이집트 기독교인들의 언어인 콥틱(Coptic)어를 배웠다. 그의 생각엔 비록 콥틱어가 대부분 그리스 알 파벳으로 표기되지만 그래도 고대 이집트문자의 잔재가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 믿었다. 1807년 학교를 졸업한 샹폴리옹은 파리로 옮겨서 몇 해전 로제타 비문을 해독하려다 실패한 사시(Sylvestre de Sacy)와 함께 연구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경제적인 문제로 글렌노블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교편을 잡았다. 여가를 이용하여 그는 이집트문자 해독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않고 열심히 노력하였지만 큰 진척이 없었다. 왜냐하면 그도 그 이전의 여러 연구자와 같이 그림들이 어떠한 의미를 지닌 것이지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일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1822년에 돌연 본인의 주장을 바꾸어 그림들이 발음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그의 경쟁자들은 이러한 그의 변화가 토마스 영의 연구논문을 읽고 난 후라고 했으나 그는 독자적으로 그러한 결과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계속해서 이름을 해독해 나가던 그는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고대 이집트 그림문자는 발음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어떤 글자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이중성을 알아냈다. 이와 같은 그의 발견이 1824년 파리에서 한 권의 책(Precis due Systeme Hieroglyphique)으로 발간되었다. 이 책에서 그는 이집트 문자는 한 단어나 한 문장에 동시에 발음과 뜻을 가진 글자를 병행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그의 주장은 사실로 확인되었고 사시, 토마스 영 등으로 이어지는 장기간에 걸친 이집트문자 해독의 노력이 결실을 보게 되었다. 그간 추측과 의문에 쌓여있던 수많은 이집트 피라미드와 무덤의 벽화뿐만 아니라 파피루스의 문자들이 해독되었고 고대 이집트인들의 생활을 연구하는데 획기적인 성과를 보게 되었다.

참고문헌

  • 창해 편집부, 『ABC북 맛보기 사전』, 도서출판상해, 2012, 6.
  • 박찬기, 「로제타 스톤(Rosetta Stone)과 이집트 알파벳」, 韓國中東學會, 2004, 235-262
  • 손주영, 송경근, 『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09.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