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만주어의 쇠퇴)
9번째 줄: 9번째 줄:
 
한글은 획이 추가됨에 따라 의미가 바뀌는 자질문자(資質文字)다. 만주어 또한 한글의 자질문자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br>
 
한글은 획이 추가됨에 따라 의미가 바뀌는 자질문자(資質文字)다. 만주어 또한 한글의 자질문자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br>
 
밑에 자모음 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a'의 경우, 점이 하나 추가되면 'e'가 되고 'o'또한 점이 추가되면 'u'가 된다. 't'는 점이 추가됨에 따라 'd'가 되고, 'k'는 점 하나가 추가되면 'g'가 되고, 속이 빈 동그라미 '。'가 추가되면 'h'가 된다.   
 
밑에 자모음 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a'의 경우, 점이 하나 추가되면 'e'가 되고 'o'또한 점이 추가되면 'u'가 된다. 't'는 점이 추가됨에 따라 'd'가 되고, 'k'는 점 하나가 추가되면 'g'가 되고, 속이 빈 동그라미 '。'가 추가되면 'h'가 된다.   
 +
 +
==창제배경==
 +
창제 배경은 한글의 창제배경과 유사하다. 누르하치는 국가의 기반을 다지고 세력을 확장하면서 기존의 몽골문자를 따라 쓰던 방식에서 벗어나 여진어에 맞게 개량된 문자를 원했다. 처음 누르하치가 박사인 어르더니에게 만주문자를 만들라고 했을 때, 이들은 예로부터 써오던 몽골문자를 어떻게 바꾸냐고 반대하였다. 하지만 세종대왕이 말한 '나랏 말씀이 중국과 달라'처럼 누르하치는 여진족의 언어가 몽골과 다른데 어찌 몽골문자를 쓰냐며 창제를 강행하였다.
  
 
==만주어의 쇠퇴==
 
==만주어의 쇠퇴==

2018년 12월 2일 (일) 16:01 판

개요

자금성의 건청문. 한자와 만주어가 같이 병기되어 있다.

만주어는 청나라 만주족이 사용하던 언어로서 1599년 여진 부락을 통합하고 국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누르하치가 창제한 문자이다. 만주문자는 몽골 문자와 함께 위구르 문자, 소그드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는 물론 더 멀리는 라틴 문자, 이집트 문자 등과도 같은 계통의 문자라고 알려져 있으며 만주족 문화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음은 물론, 만주족이 통치체제를 정비하고 중원에 들어가 패권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밑거름이 되었다.
만주문자는 몽골문자를 본떠 만들어졌는데, 몽골어와 소리체계가 달라 표기 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만주문자가 만들어 진지 30여 년 후 1632년, 다하이[達海]라는 학자가 초기 만주 문자를 개량하여 점(∙)과 동그라미(∘)를 더하여 만주어의 소리를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게 된다.
만주족의 전신인 여진족은 오늘 날의 만주지역에서 활동한 민족이다. 이 만주지역에는 다양한 북방 민족들이 거주하였는데 이들을 크게 묶어 퉁구스족이라고 하고 이들 민족이 사용했던 언어를 만주퉁구스어파로 분류한다. 이 계통에 해당하는 어파는 11개로 크게 북부 퉁구스어군과 남부 만주어군으로 나뉘며, 전자는 어원어, 어웡키어, 솔론어, 네기달어가 포함되고 후자에는 나나이어, 월타어, 울치어, 우디허어, 오로치어, 만주어, 시버어가 포함된다. [1]

특징

만주 문자는 과거 한문이 그럤던 것처럼 위에서 아래로 세로로 쓰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된다. 만주문자를 공부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은 같은 글자라도 단어에서 어디에 놓이느냐 따라(즉, 단독으로 쓰이느냐, 어두, 어중, 어말에 쓰이느냐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다. 이는 만주문자가 단순히 한자가 아니라 아랍문자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2] 때문에 표음문자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알파벳과 같은 완전한 형태의 음소 단위 문자가 아니라, 음절 문자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모음은 총 6개, 자음은 19개이다. 또한 일본의 가타카나처럼 외래어의 음을 표기하기 위해 특수문자 10개가 있다. 때문에 총 35개의 자모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글은 획이 추가됨에 따라 의미가 바뀌는 자질문자(資質文字)다. 만주어 또한 한글의 자질문자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밑에 자모음 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a'의 경우, 점이 하나 추가되면 'e'가 되고 'o'또한 점이 추가되면 'u'가 된다. 't'는 점이 추가됨에 따라 'd'가 되고, 'k'는 점 하나가 추가되면 'g'가 되고, 속이 빈 동그라미 '。'가 추가되면 'h'가 된다.

창제배경

창제 배경은 한글의 창제배경과 유사하다. 누르하치는 국가의 기반을 다지고 세력을 확장하면서 기존의 몽골문자를 따라 쓰던 방식에서 벗어나 여진어에 맞게 개량된 문자를 원했다. 처음 누르하치가 박사인 어르더니에게 만주문자를 만들라고 했을 때, 이들은 예로부터 써오던 몽골문자를 어떻게 바꾸냐고 반대하였다. 하지만 세종대왕이 말한 '나랏 말씀이 중국과 달라'처럼 누르하치는 여진족의 언어가 몽골과 다른데 어찌 몽골문자를 쓰냐며 창제를 강행하였다.

만주어의 쇠퇴

1911년 청나라가 멸망한지 100여년이 흘렀다. 이후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집권한 뒤, 현재 만주어는 사실상 사어死语에 가깝다. 중국의 만주족 인구는 1000만명 가까이 되지만 이 중에 만주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은 매우 드믈다. [흑룡강성]에 삼가자촌三家子村에 거주하고 있는 고령의 노인들만이 완벽한 만주어를 구사할 수 있고, 신강新疆 찹차르 시버족 자치현의 일부 시버족은 만주어의 방언이라는 시버어를 구사할 수 있다. 이는 수십년이 지났음에서 대부분이 조선어를 구사할 수 있는 조선족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모음

만주어의 모음은 총 6개로, a, e, i, o, u, ū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출처 :『초급 만주어』, 박문사

a

모은 a는 한국어의 '아'와 비슷하다.

e

모은 e는 한국어의 '어'와 비슷하다.

i

모음 i는 한국어의 '이'와 비슷하다.

o

모음 o는 한국어의 '오'와 비슷하다.

u

모음 u는 한국어의 '우'와 비슷하다.

ū

모은 ū의 정확한 발음은 추측될 뿐이다. 대부분 자음 g, k, h의 뒤에 나타난다.


자음

사진출처 : 『초급 만주어』, 박문사
사진출처 : 『초급 만주어』, 박문사

n

자음 n은 한국어의 'ㄴ'과 유사하다.

k

자음 k는 한국어의 'ㅋ'과 유사하다. 단어 안에서 음절 끝에 쓰이는 k는 한국어의 받침'ㄱ'과 비슷하다.

g

자음 g는 한국어의 'ㄱ'과 유사하다.

h

자음 h는 한국어의 'ㅎ'과 유사하다. 유일하게 동그라미가 있는 글자이다.

b

자음 b은 한국어의 'ㅂ'과 유사하다.

p

자음 p는 한국어의 'ㅍ'과 유사하다.

s

자음 s는 한국어의 'ㅅ'과 유사하다.

š

자음 š는 발음기호 ʃ 의 발음과 유사하다.

t

자음 t는 한국어의 'ㅌ'와 유사하다.



d

자음 d는 한국어의 'ㄷ'와 유사하다.

l

자음 l는 한국어의 'ㄹ'와 유사하다.

m

자음 m는 한국어의 'ㅁ'와 유사하다.

c

자음 c는 한국어의 'ㅊ'와 유사하다.

j

자음 j는 한국어의 'ㅈ'와 유사하다.

y

자음 y는 모음 a, e, o, u, ū와 결합한다. 영어와 유사하다.

r

자음 r은 영어의 'r'과 유사하다. 어두의 형태망 있을 뿐, 실제로 어두에 오지 않는다.

f

자음 f는 영어의 'f'와 유사하다.

w

자음 w는 모음 a,e와 결합한다.

ng

자음 ng는 어두형태가 없으며 따라서 어두에 위치하지 않는다.






특수문자

만주문자에서 특수문자는 만주어 고유 발음에는 없는 외래어, 당시로는 한어나 몽골어 인명과 지명 등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사진출처 : 『초급 만주어』, 박문사



























참고자료

(http://munja.yonsei.ac.kr/archives/archives_02_1_14.php)

이선애 지음,『초급 만주어』, 박문사

  1. 이선애 지음,『초급 만주어』, 박문사
  2. 이선애 지음,『초급 만주어』, 박문사p.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