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대학》과 《중용》은 원래 각각 《예기(禮記)》 속의 한 편(編)이었으나, 유교 교설의 뛰어난 개론으로서 주목되어 주자(朱子)가 그것을...)
 
(출처)
 
3번째 줄: 3번째 줄:
 
주자가 여기에 베푼 주석 가운데 《대학장구(大學章句)》 《논어집주(論語集注)》 《맹자집주(孟子集注)》 《중용장구(中庸章句)》는 그의 다른 여러 주석과 함께 신주(新注)로 불리며, 한(漢) ·당(唐)의 고주(古注)에 비해 새로운 학문의 전개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당(唐) 이전의 오경(五經)을 대신해서 주자 이후에는 사서가 유학의 중심을 차지하고 유행되어, 나중에 한국에서는 사서오경이라 하면 중국의 고전 및 문화의 상징으로서 받아들여졌다.
 
주자가 여기에 베푼 주석 가운데 《대학장구(大學章句)》 《논어집주(論語集注)》 《맹자집주(孟子集注)》 《중용장구(中庸章句)》는 그의 다른 여러 주석과 함께 신주(新注)로 불리며, 한(漢) ·당(唐)의 고주(古注)에 비해 새로운 학문의 전개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당(唐) 이전의 오경(五經)을 대신해서 주자 이후에는 사서가 유학의 중심을 차지하고 유행되어, 나중에 한국에서는 사서오경이라 하면 중국의 고전 및 문화의 상징으로서 받아들여졌다.
  
 +
 +
《대학》과 《중용》은 원래 각각 《예기(禮記)》 속의 한 편(編)이었으나, 유교 교설의 뛰어난 개론으로서 주목되어 주자(朱子)가 그것을 빼내어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라 부르고, 사서야말로 공문(孔門)의 사제전수(師弟傳授)의 도통(道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주자에 의해 사서가 등장하기 전까지 중국의 철학은 불교가 중심적이었다. 특히 수나라와 당나라 때 불교가 절정을 이루었다. 하지만 송나라에 이르러 불교의 폐해가 심해지자 불교에 대한 비판정신이 심화되었고 불교를 대체할 수 있는 사상과 철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사서가 등장하게 되었다.
 +
 +
주자가 여기에 베푼 주석 가운데 《대학장구(大學章句)》 《논어집주(論語集注)》 《맹자집주(孟子集注)》 《중용장구(中庸章句)》는 그의 다른 여러 주석과 함께 신주(新注)로 불리며, 한(漢) ·당(唐)의 고주(古注)에 비해 새로운 학문의 전개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당(唐) 이전의 오경(五經)을 대신해서 주자 이후에는 사서가 유학의 중심을 차지하고 유행되어, 나중에 한국에서는 사서오경이라 하면 중국의 고전 및 문화의 상징으로서 받아들여졌다.
  
 
==출처==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
두산백과

2018년 6월 25일 (월) 20:24 기준 최신판

《대학》과 《중용》은 원래 각각 《예기(禮記)》 속의 한 편(編)이었으나, 유교 교설의 뛰어난 개론으로서 주목되어 주자(朱子)가 그것을 빼내어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라 부르고, 사서야말로 공문(孔門)의 사제전수(師弟傳授)의 도통(道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주자에 의해 사서가 등장하기 전까지 중국의 철학은 불교가 중심적이었다. 특히 수나라와 당나라 때 불교가 절정을 이루었다. 하지만 송나라에 이르러 불교의 폐해가 심해지자 불교에 대한 비판정신이 심화되었고 불교를 대체할 수 있는 사상과 철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사서가 등장하게 되었다.

주자가 여기에 베푼 주석 가운데 《대학장구(大學章句)》 《논어집주(論語集注)》 《맹자집주(孟子集注)》 《중용장구(中庸章句)》는 그의 다른 여러 주석과 함께 신주(新注)로 불리며, 한(漢) ·당(唐)의 고주(古注)에 비해 새로운 학문의 전개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당(唐) 이전의 오경(五經)을 대신해서 주자 이후에는 사서가 유학의 중심을 차지하고 유행되어, 나중에 한국에서는 사서오경이라 하면 중국의 고전 및 문화의 상징으로서 받아들여졌다.


《대학》과 《중용》은 원래 각각 《예기(禮記)》 속의 한 편(編)이었으나, 유교 교설의 뛰어난 개론으로서 주목되어 주자(朱子)가 그것을 빼내어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라 부르고, 사서야말로 공문(孔門)의 사제전수(師弟傳授)의 도통(道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주자에 의해 사서가 등장하기 전까지 중국의 철학은 불교가 중심적이었다. 특히 수나라와 당나라 때 불교가 절정을 이루었다. 하지만 송나라에 이르러 불교의 폐해가 심해지자 불교에 대한 비판정신이 심화되었고 불교를 대체할 수 있는 사상과 철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사서가 등장하게 되었다.

주자가 여기에 베푼 주석 가운데 《대학장구(大學章句)》 《논어집주(論語集注)》 《맹자집주(孟子集注)》 《중용장구(中庸章句)》는 그의 다른 여러 주석과 함께 신주(新注)로 불리며, 한(漢) ·당(唐)의 고주(古注)에 비해 새로운 학문의 전개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당(唐) 이전의 오경(五經)을 대신해서 주자 이후에는 사서가 유학의 중심을 차지하고 유행되어, 나중에 한국에서는 사서오경이라 하면 중국의 고전 및 문화의 상징으로서 받아들여졌다.

출처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