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서진의 멸망== 서진의 멸망으로 이끈 중대한 사건은 ‘팔왕의 난’이었다. 당시의 황제 무제 사마염이 죽으면서(290) 내부항쟁이 한꺼번...)
 
(서진의 멸망(265~316))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서진의 멸망==
+
==서진의 멸망(265~316)==
  
서진의 멸망으로 이끈 중대한 사건은 ‘팔왕의 난’이었다. 당시의 황제 무제 사마염이 죽으면서(290) 내부항쟁이 한꺼번에 표면 위로 드러나게 되었다. 여덟 개의 황족이 16년 동안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는데,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흉노, 선비 등 외부세력을 끌어들였다. 황족들의 중원의 정쟁에 무력으로 개입한 변방민족은 마침내 스스로 중원에 정권을 수립하는 데에 이르렀다. 이는 ‘영가의 난’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서진이 멸망한 것이다. 흉노의 대수장 유연을 중심으로 이석을 도읍으로 정하고 흉노건국이라는 대업을 시작했다. (영흥 원년 304) 10월에 유연(劉淵)은 한왕을 칭했고, 연호를 원희로 고쳤다. 그리고 국도를 이석에서 평양으로 옮겼다. 또한 우현왕을 승상으로 바꾸어 한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정권 수립을 진행하였다. 4년 뒤 영가 2년(308)에 유연을 황제로 칭하게 되었다. 흉노의 대수장 유연의 아들 유총에 의해 영가 5년 때 낙양이 함락하고, 이로부터 중국의 북쪽에 오호십육국의 시대가 열렸다.
+
[[서진]]의 멸망으로 이끈 중대한 사건은 [[팔왕의 난]]이었다. 당시의 황제 무제 사마염이 죽으면서(290) 내부항쟁이 한꺼번에 표면 위로 드러나게 되었다. 여덟 개의 황족이 16년 동안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는데,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흉노]], [[선비]] 등 외부세력을 끌어들였다. 황족들의 [[중원]]의 정쟁에 무력으로 개입한 변방민족은 마침내 스스로 [[중원]]에 정권을 수립하는 데에 이르렀다. 이는 [[영가의 난]]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서진]](西晉)이 멸망한 것이다. [[흉노]]의 대수장 [[유연(劉淵)]]을 중심으로 이석을 도읍으로 정하고 [[흉노]]건국이라는 대업을 시작했다. (영흥 원년 304) 10월에 [[유연(劉淵)]]은 한왕을 칭했고, 연호를 원희로 고쳤다. 그리고 국도를 이석에서 평양으로 옮겼다. 또한 우현왕을 승상으로 바꾸어 한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정권 수립을 진행하였다. 4년 뒤 영가 2년(308)에 [[유연(劉淵)]]을 황제로 칭하게 되었다. [[흉노]]의 대수장 [[유연]]의 아들 [[유총]]에 의해 영가 5년 때 [[낙양]]이 함락하고, 이로부터 중국의 북쪽에 [[5호 16국 시대]]가 열렸다.
  
 +
==낙양의 함락(311)==
 +
영가(永嘉) 5년(311), 낙양이 함락되기 직전에도 [[서진]](西晉)의 분위기는 아직 어수선했다. 혜제의 동생인 회제는 동해왕 사마월의 보좌를 받고 있었으나, 두 사람은 사이가 좋지 않았다. 동해왕은 자기
 +
덕분에 회제가 제위에 올랐다며 교만하게 굴었다. 회제와 혜제의 아버지 무제 사마염은 슬하에 26남 9녀를 두었으니, 아들은 회제와 혜제 말고도 더 있었다. 동해왕은 자신이 회제를 황제로 선택해준 것이라고 생각했고 궁정에서는 회제파와 동해왕파가 서로 대립했다.
 +
흉노의 총수 [[유연(劉淵)]]은 낙양을 공격하기 직전에 죽었다. [[흉노]]의 한나라에도 내분은 있었으나 [[유총]](劉總)이 재빨리 수습해서 다시 낙양 공격에 착수했다. 흉노군의 작전은 하남의 여러 지역을 점령해 낙양을 고립시키는 것이었다.
 +
동해왕은 전국에 격문을 보내 낙양을 구해달라고 호소했지만, 원군은 오지 않았다. 애초에 지방에는 정규군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오나라가 항복한 뒤, 무제가 군비를 대폭 삭감한 결과였다.
 +
동해왕은 사방에서 끌어모은 병사를 이끌고 낙양 동쪽에 있는 허창에 주둔했다. 회제는 동해왕이 멋대로 구는 것이 괘씸하여 구희라는 자에게 동해왕을 쳐야 한다는 밀조를 보냈다. 그러나 사자가 붙잡히는 바람에 동해왕이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동해왕은 울분을 참지 못해 몸져누웠고, 그 해 3월 후사를 태위인 왕연에게 부탁하고 항성에서 죽고 말았다.
 +
나라가 기울어가고 있는데도 상황이 이 지경이었다. [[8왕의 난]]은 막을 내렸지만, 다른 내분극의 막이 오르려 하고 있었다. 동해왕과 구희는 원래 의형제를 맺을 만큼 사이가 좋았으나, 동해왕이 구희를 청주자사로 삼아 산동으로 보낸 것이 불화의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
 +
후사를 부탁받은 왕연은 당연히 동해왕파였으나, 그에게 왕조를 끝까지 지키겠다는 열의 따위는 없었고, 그저 고립무원의 낙양에서 탈출할 기회만 엿보고 있었다. 동해왕의 죽음은 그에게 아수라장의 한 가운데서 탈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왕연은 동해왕의 관을 호송하여 동쪽의 동해로 돌아간다는 구실로 황족, 귀족, 명문가 사람들만을 데리고 황제만 남겨둔 채 낙양을 떠났다. 애당초 왕연은 만 명이나 데리고 갈 생각은 없었으나 굶주림과 내분으로 절망한 사람들이 낙양을 버린 것이다. 10만이나 되는 큰 집단이 눈에 띄지 않을 리가 없었고, [[갈]](羯)족의 장군 [[석륵]](石勒)은 고현의 영평성에서 이들을 사로잡았다. 석륵은 황제 유총으로부터 병주 자사에 임명되어 있었다. 정동대장군에 제수되기도 했으나, 어떤 이유인지 석륵은 고사하고 받지 않았다. 석륵은 갈족이 주체가 된 정권 수립을 구상하고 있었던 것이다.
 +
석륵군의 대승으로 끝났고 포로가 된 왕연은 석륵이 묻는 대로 나라가 패한 내막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자신은 국정지도와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태위라고 하면 삼공 중 한사람이니 국방책임자였을 텐데 말이다. ‘젊어서부터 정치에 관심이 없고, 세상사에 관여하지 않았소.” 왕연이 한 말이다. 이에 석륵은 “당신은 젊어서부터 벼슬길에 올라, 이름을 사해에 떨쳤으며, 지금은 중임을 맡았소. 어째서 정치에 관심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단 말이오. 천하를 파괴한 자가 당신이 아니고 누구란 말이오.” 라고 비난했다.
 +
석륵은 흙벽을 무너뜨려 왕연 일행을 깔아 죽였다. 임성왕(任城王) 사마제(司馬濟) 등은 항성에서 가져온 동해왕의 관을 때려부수고 유해를 불태워 버렸다.
 +
석륵이 왕연 일행을 습격한 것은 4월이었으나, 흉노군이 낙양성에 이른 것은 5월이었다. 다음달 6월, 낙양은 맥없이 함락되고, 회제는 사로잡혔으며 태자 사마전 이하 사민 3만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회제의 형인 오왕 사마안의 아들 사마업(司馬鄴)이 장안에서 황제로 추대되어 민제라 불렸으나 최후의 몸부림에 지나지 않았다. 낙양 함락으로 서진이 멸망했다고 보는 편이 정확할 것이다.
  
  
==낙양의함락(311)==
+
[[분류:서진]]
 
 
영가(永嘉) 5년(311), 낙양이 함락되기 직전에도 서진의 분위기는 아직 어수선했다. 혜제의 동생인 회제는 동해왕 사마월의 보좌를 받고 있었으나, 두 사람은 사이가 좋지 않았다. 동해왕은 자기
 
덕분에 회제가 제위에 올랐다며 교만하게 굴었다. 회제와 혜제의 아버지 무제 사마염은 슬하에 26남 9녀를 두었으니, 아들은 회제와 혜제 말고도 더 있었다. 동해왕은 자신이 회제를 황제로 선택해준 것이라고 생각했고 궁정에서는 회제파와 동해왕파가 서로 대립했다.
 
흉노의 총수 유연은 낙양을 공격하기 직전에 죽었다. 흉노의 한나라에도 내분은 있었으나 유총이 재빨리 수습해서 다시 낙양 공격에 착수했다. 흉노군의 작전은 하남의 여러 지역을 점령해 낙양을 고립시키는 것이었다.
 
동해왕은 전국에 격문을 보내 낙양을 구해달라고 호소했지만, 원군은 오지 않았다. 애초에 지방에는 정규군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오나라가 항복한 뒤, 무제가 군비를 대폭 삭감한 결과였다.
 
동해왕은 사방에서 끌어모은 병사를 이끌고 낙양 동쪽에 있는 허창에 주둔했다. 회제는 동해왕이 멋대로 구는 것이 괘씸하여 구희라는 자에게 동해왕을 쳐야 한다는 밀조를 보냈다. 그러나 사자가 붙잡히는 바람에 동해왕이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동해왕은 울분을 참지 못해 몸져누웠고, 그 해 3월 후사를 태위인 왕연에게 부탁하고 항성에서 죽고 말았다.
 
나라가 기울어가고 있는데도 상황이 이 지경이었다. 팔왕의 난은 막을 내렸지만, 다른 내분극의 막이 오르려 하고 있었다. 동해왕과 구희는 원래 의형제를 맺을 만큼 사이가 좋았으나, 동해왕이 구희를 청주자사로 삼아 산동으로 보낸 것이 불화의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
 
후사를 부탁받은 왕연은 당연히 동해왕파였으나, 그에게 왕조를 끝까지 지키겠다는 열의 따위는 없었고, 그저 고립무원의 낙양에서 탈출할 기회만 엿보고 있었다. 동해왕의 죽음은 그에게 아수라장의 한 가운데서 탈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왕연은 동해왕의 관을 호송하여 동쪽의 동해로 돌아간다는 구실로 황족, 귀족, 명문가 사람들만을 데리고 황제만 남겨둔 채 낙양을 떠났다. 애당초 왕연은 만 명이나 데리고 갈 생각은 없었으나 굶주림과 내분으로 절망한 사람들이 낙양을 버린 것이다. 10만이나 되는 큰 집단이 눈에 띄지 않을 리가 없었고, 갈족의 장군 석륵은 고현의 영평성에서 이들을 사로잡았다. 석륵은 황제 유총으로부터 병주 자사에 임명되어 있었다. 정동대장군에 제수되기도 했으나, 어떤 이유인지 석륵은 고사하고 받지 않았다. 석륵은 갈족이 주체가 된 정권 수립을 구상하고 있었던 것이다.
 
석륵군의 대승으로 끝났고 포로가 된 왕연은 석륵이 묻는 대로 나라가 패한 내막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자신은 국정지도와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태위라고 하면 삼공 중 한사람이니 국방책임자였을텐데 말이다. ‘젊어서부터 정치에 관심이 없고, 세상사에 관여하지 않았소.” 왕연이 한 말이다. 이에 석륵은 “당신은 젊어서부터 벼슬길에 올라, 이름을 사해에 떨쳤으며, 지금은 중임을 맡았소. 어째서 정치에 관심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단 말이오. 천하를 파괴한 자가 당신이 아니고 누구란 말이오.” 라고 비난했다.
 
석륵은 흙벽을 무너뜨려 왕연 일행을 깔아 죽였다. 임성왕(任城王) 사마제(司馬濟) 등은 항성에서 가져온 동해왕의 관을 때려부수고 유해를 불태워 버렸다.
 
석륵이 왕연 일행을 습격한 것은 4월이었으나, 흉노군이 낙양성에 이른 것은 5월이었다. 다음달 6월, 낙양은 맥없이 함락되고, 회제는 사로잡혔으며 태자 사마전 이하 사민 3만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회제의 형인 오왕 사마안의 아들 업이 장안에서 황제로 추대되어 민제라 불렸으나 최후의 몸부림에 지나지 않았다. 낙양 함락으로 서진이 멸망했다고 보는 편이 정확할 것이다.
 

2016년 6월 21일 (화) 23:51 기준 최신판

서진의 멸망(265~316)

서진의 멸망으로 이끈 중대한 사건은 팔왕의 난이었다. 당시의 황제 무제 사마염이 죽으면서(290) 내부항쟁이 한꺼번에 표면 위로 드러나게 되었다. 여덟 개의 황족이 16년 동안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는데,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흉노, 선비 등 외부세력을 끌어들였다. 황족들의 중원의 정쟁에 무력으로 개입한 변방민족은 마침내 스스로 중원에 정권을 수립하는 데에 이르렀다. 이는 영가의 난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서진(西晉)이 멸망한 것이다. 흉노의 대수장 유연(劉淵)을 중심으로 이석을 도읍으로 정하고 흉노건국이라는 대업을 시작했다. (영흥 원년 304) 10월에 유연(劉淵)은 한왕을 칭했고, 연호를 원희로 고쳤다. 그리고 국도를 이석에서 평양으로 옮겼다. 또한 우현왕을 승상으로 바꾸어 한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정권 수립을 진행하였다. 4년 뒤 영가 2년(308)에 유연(劉淵)을 황제로 칭하게 되었다. 흉노의 대수장 유연의 아들 유총에 의해 영가 5년 때 낙양이 함락하고, 이로부터 중국의 북쪽에 5호 16국 시대가 열렸다.

낙양의 함락(311)

영가(永嘉) 5년(311), 낙양이 함락되기 직전에도 서진(西晉)의 분위기는 아직 어수선했다. 혜제의 동생인 회제는 동해왕 사마월의 보좌를 받고 있었으나, 두 사람은 사이가 좋지 않았다. 동해왕은 자기 덕분에 회제가 제위에 올랐다며 교만하게 굴었다. 회제와 혜제의 아버지 무제 사마염은 슬하에 26남 9녀를 두었으니, 아들은 회제와 혜제 말고도 더 있었다. 동해왕은 자신이 회제를 황제로 선택해준 것이라고 생각했고 궁정에서는 회제파와 동해왕파가 서로 대립했다. 흉노의 총수 유연(劉淵)은 낙양을 공격하기 직전에 죽었다. 흉노의 한나라에도 내분은 있었으나 유총(劉總)이 재빨리 수습해서 다시 낙양 공격에 착수했다. 흉노군의 작전은 하남의 여러 지역을 점령해 낙양을 고립시키는 것이었다. 동해왕은 전국에 격문을 보내 낙양을 구해달라고 호소했지만, 원군은 오지 않았다. 애초에 지방에는 정규군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오나라가 항복한 뒤, 무제가 군비를 대폭 삭감한 결과였다. 동해왕은 사방에서 끌어모은 병사를 이끌고 낙양 동쪽에 있는 허창에 주둔했다. 회제는 동해왕이 멋대로 구는 것이 괘씸하여 구희라는 자에게 동해왕을 쳐야 한다는 밀조를 보냈다. 그러나 사자가 붙잡히는 바람에 동해왕이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동해왕은 울분을 참지 못해 몸져누웠고, 그 해 3월 후사를 태위인 왕연에게 부탁하고 항성에서 죽고 말았다. 나라가 기울어가고 있는데도 상황이 이 지경이었다. 8왕의 난은 막을 내렸지만, 다른 내분극의 막이 오르려 하고 있었다. 동해왕과 구희는 원래 의형제를 맺을 만큼 사이가 좋았으나, 동해왕이 구희를 청주자사로 삼아 산동으로 보낸 것이 불화의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 후사를 부탁받은 왕연은 당연히 동해왕파였으나, 그에게 왕조를 끝까지 지키겠다는 열의 따위는 없었고, 그저 고립무원의 낙양에서 탈출할 기회만 엿보고 있었다. 동해왕의 죽음은 그에게 아수라장의 한 가운데서 탈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왕연은 동해왕의 관을 호송하여 동쪽의 동해로 돌아간다는 구실로 황족, 귀족, 명문가 사람들만을 데리고 황제만 남겨둔 채 낙양을 떠났다. 애당초 왕연은 만 명이나 데리고 갈 생각은 없었으나 굶주림과 내분으로 절망한 사람들이 낙양을 버린 것이다. 10만이나 되는 큰 집단이 눈에 띄지 않을 리가 없었고, (羯)족의 장군 석륵(石勒)은 고현의 영평성에서 이들을 사로잡았다. 석륵은 황제 유총으로부터 병주 자사에 임명되어 있었다. 정동대장군에 제수되기도 했으나, 어떤 이유인지 석륵은 고사하고 받지 않았다. 석륵은 갈족이 주체가 된 정권 수립을 구상하고 있었던 것이다. 석륵군의 대승으로 끝났고 포로가 된 왕연은 석륵이 묻는 대로 나라가 패한 내막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자신은 국정지도와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태위라고 하면 삼공 중 한사람이니 국방책임자였을 텐데 말이다. ‘젊어서부터 정치에 관심이 없고, 세상사에 관여하지 않았소.” 왕연이 한 말이다. 이에 석륵은 “당신은 젊어서부터 벼슬길에 올라, 이름을 사해에 떨쳤으며, 지금은 중임을 맡았소. 어째서 정치에 관심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단 말이오. 천하를 파괴한 자가 당신이 아니고 누구란 말이오.” 라고 비난했다. 석륵은 흙벽을 무너뜨려 왕연 일행을 깔아 죽였다. 임성왕(任城王) 사마제(司馬濟) 등은 항성에서 가져온 동해왕의 관을 때려부수고 유해를 불태워 버렸다. 석륵이 왕연 일행을 습격한 것은 4월이었으나, 흉노군이 낙양성에 이른 것은 5월이었다. 다음달 6월, 낙양은 맥없이 함락되고, 회제는 사로잡혔으며 태자 사마전 이하 사민 3만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회제의 형인 오왕 사마안의 아들 사마업(司馬鄴)이 장안에서 황제로 추대되어 민제라 불렸으나 최후의 몸부림에 지나지 않았다. 낙양 함락으로 서진이 멸망했다고 보는 편이 정확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