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3번째 줄: 13번째 줄:
 
  }}
 
  }}
 
==개요==
 
==개요==
소무(蘇武)는 중국 한나라 무제(武帝)의 신하이다. 자는 자경(子卿)이다. 활동분야는 정치이고, 별치은 관내후이다.
+
소무(蘇武)는 중국 한나라 무제(武帝)의 신하이다. 자는 자경(子卿)이다. 활동분야는 정치이고, 별칭은 관내후이다.
 
==생애==
 
==생애==
 
소무는 BC140년에 전한 중기 군인인 위위 소건(蘇建)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소건이 벼슬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소무 형제가 모두 관리직에 올랐고 소무는 점차 출세하여 궁궐의 정원인 이원(樲園)의 책임자가 되었다.
 
소무는 BC140년에 전한 중기 군인인 위위 소건(蘇建)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소건이 벼슬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소무 형제가 모두 관리직에 올랐고 소무는 점차 출세하여 궁궐의 정원인 이원(樲園)의 책임자가 되었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헤어지며 서로에게 보내는 시===
 
===헤어지며 서로에게 보내는 시===
 
  <big>'''與蘇武詩 其三 <소무에게 주는 세 번째 시>'''</big>
 
  <big>'''與蘇武詩 其三 <소무에게 주는 세 번째 시>'''</big>
- 李陵(이릉)
+
''' - 李陵(이릉)'''
 
  攜手上河梁 (서로 손을 이끌며 다리에 오르는데)
 
  攜手上河梁 (서로 손을 이끌며 다리에 오르는데)
 
  游子暮何之 (떠나는 사람 저녁 늦게 어디로 가는가)
 
  游子暮何之 (떠나는 사람 저녁 늦게 어디로 가는가)
59번째 줄: 59번째 줄:
  
 
  <big>'''蘇武別陵詩(소무가 이별하며 이릉에게 주는 시)'''</big>
 
  <big>'''蘇武別陵詩(소무가 이별하며 이릉에게 주는 시)'''</big>
  - 蘇武(소무)
+
  '''- 蘇武(소무)'''
 
  雙鳧俱北飛 (두마리 오리가 함께 북녘을 날다가)
 
  雙鳧俱北飛 (두마리 오리가 함께 북녘을 날다가)
 
  一鳧獨南翔 (한 마리만 홀로 남쪽으로 날아가네)
 
  一鳧獨南翔 (한 마리만 홀로 남쪽으로 날아가네)

2019년 6월 17일 (월) 01:15 판

소무(蘇武)

출생 B.C 140
두릉현(杜陵縣)
사망 B.C 60
국적 전한
별칭 관내후
부모 소건

개요

소무(蘇武)는 중국 한나라 무제(武帝)의 신하이다. 자는 자경(子卿)이다. 활동분야는 정치이고, 별칭은 관내후이다.

생애

소무는 BC140년에 전한 중기 군인인 위위 소건(蘇建)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소건이 벼슬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소무 형제가 모두 관리직에 올랐고 소무는 점차 출세하여 궁궐의 정원인 이원(樲園)의 책임자가 되었다.

소무는 한나라 무제가 내린 포로 교환의 임무를 맡아 사절단을 이끌고 흉노땅에 들어갔다가 내란에 휘말려 체포되는 변을 겪는다.

흉노왕 선우(單于)는 소무가 결백을 주장하며 굴복을 거부하자 격노하여 저멀리 북해의 변으로 추방하면서 숫양이 새끼를 낳으면 귀국을 허락하겠다는 말도 안 되는 명을 내려 끝까지 돌아오지지 못하게 했다.

소무는 그곳으로 추방당하여 들쥐와 풀뿌리로 연명하다 양을 키우면서 힘든 나날을 보내지만 꿋꿋하게 자신의 절의를 지키며 살아가게 된다.

소무가 양을 키우는 모습 중국사이트.jpg


이릉과 소무

이릉(李陵)과 소무(蘇武)는 중국 한나라 무제(武帝)의 신하로 동시대를 살아갔던 인물인데 서로가 살아간 인생의 모습은 매우 달랐지만 서로를 이해하고 교류하면서 흥미롭고 가슴아픈 이야기를 남겨 후대에 좋은 이야기 소재가 되고, 감동을 전해주고 있다.

소무가 흉노땅에 들어가 잡혀버리고, 이릉은 소무가 흉노땅으로 들어간 다음해 무제의 명을 받아 흉노 토벌의 장수가 되어 5,000의 병사를 이끌고 출정하여 훙노의 5만 병사들을 대적하여 용감하게 잘 싸웠으나 끝내 중과부적으로 참패하고 포로가 된다.

이 소식을 들은 무제가 격노하여 이릉의 일가를 몰살시키는 형벌을 내렸고 이릉도 이 소식을 전해듣고 분노와 슬픔으로 절망하게 되는데 흉노왕 선우가 그를 빈객으로 후하게 대접하자 마음을 돌려 흉노 땅에서 적응하며 살아가게 된다.

이릉이 선우의 명을 받아 소무를 찾아가면서 두사람의 관계는 시작된다.

이릉이 소무에게 주연을 베풀고 위로하면서 ‘선우가 나를 보내 그대를 설득하여 데리고 오라 하였네.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은데(인생여조로 人生如朝露) 그대도 이제 그만 고생하고 나와 함께 가도록 하세’ 라고 설득하였지만 소무가 거절하자 이릉은 그냥 혼자서 돌아가야만 했다.

그러나 이릉은 소무의 궁핍한 생활을 딱하게 여겨 소무를 도와주고 소무는 고생을 덜며 양치기 생활을 계속하였고 두사람은 서로 다른 인생길을 가면서도 마음을 열고 교류하며 지내게 되었다.

세월이 흘러 무제가 죽고 소제(昭帝)가 즉위하여 흉노 땅에 특사를 파견하고 이 특사의 노력으로 소무는 풀려나 19년 만에 한나라로 돌아가게 되고 이릉에게도 같이 귀국할 것을 권하지만 이릉은 거절하고 흉노땅에 그대로 남아 살아가게 된다.

이릉은 귀국하는 소무와 만나 석별의 정을 나누면서 서로가 시를 지어 자신의 심경을 주고받고 또 소무의 귀국 후에도 서로를 그리워하면서 교신을 하게 된다

헤어지며 서로에게 보내는 시

與蘇武詩 其三 <소무에게 주는 세 번째 시>

- 李陵(이릉)

攜手上河梁 (서로 손을 이끌며 다리에 오르는데)
游子暮何之 (떠나는 사람 저녁 늦게 어디로 가는가)
徘徊蹊路側 (좁은 길가를 서성이며 배회하며)
悢悢不能辭 (한스럽고 한스러워 말을 잇지 못하네)
行人難久留 (가는 사람은 오래 머물 수 없어)
各言長相思 (서로가 늘 잊지 말자 하네)
安知非日月 (어찌 해와 달만이 아님을 알리오)
弦望自有時 (스스로 차고 기우는 때가 있음을)
努力崇明德 (밝은 덕을 모시기로 노력하고)
皓首以爲期 (백발이 돼도 만날 것을 기약하네)


蘇武別陵詩(소무가 이별하며 이릉에게 주는 시)
- 蘇武(소무)
雙鳧俱北飛 (두마리 오리가 함께 북녘을 날다가)
一鳧獨南翔 (한 마리만 홀로 남쪽으로 날아가네)
子當留斯館 (그대는 마땅히 옛집에 머물겠지만)
我當歸故鄕 (나는 어쩔 수 없이 고향으로 돌아가리)
一別如秦胡 (한번 헤어지면 진과 호로 갈라서니)
會見何渠央 (다시 만남은 멀기만 하구려)
愴恨切中懷  (슬픔으로 마음은 찢어져 나가)
不覺淚霑裳 (눈물이 옷깃에 젖는데도 알지 못하네)
願子長努力 (원컨데 그대는 항상 노력하여)
言笑莫相忘 (서로 잊지 말자 웃으면서 말해주시게)

참고자료

오피니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