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시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기 신석기 시대)
(배리강문화)
3번째 줄: 3번째 줄:
 
전기 신석기 시대는 사회적 특징으로 구별하면 대략 모계 씨족 사회의 말기에 해당한다. 문헌상의 기록과 비교하면 삼황 시기의 전기에 해당하고, 신화 시기의 전반기에 해당한다. 고고학상의 유물의 연대 측정 결과에 의하면 대략 기원전 6000-3000년에 해당한다. 주요 문화로는 배리강문화, 앙소문화, 하모도문화, 세석기 문화, 기하문양도기문화 등이 있다.
 
전기 신석기 시대는 사회적 특징으로 구별하면 대략 모계 씨족 사회의 말기에 해당한다. 문헌상의 기록과 비교하면 삼황 시기의 전기에 해당하고, 신화 시기의 전반기에 해당한다. 고고학상의 유물의 연대 측정 결과에 의하면 대략 기원전 6000-3000년에 해당한다. 주요 문화로는 배리강문화, 앙소문화, 하모도문화, 세석기 문화, 기하문양도기문화 등이 있다.
 
====[[배리강문화]]====
 
====[[배리강문화]]====
기원전6~5천년<br>
+
기원전6~5천년.<br>
 
1977년 하남성 신정현 배리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배리강문화는 대략 기원전5500년에서 4900년 사이의 농업 취락 유적지로서 집터, 아궁이, 도요지가 있고 석기, 도기, 골기 도구 및 생활 용품이 출토되었다. 석기는 농기구 위주이고 경작과 수확하는 도구, 즉 돌도끼, 돌삽, 돌낫과 양식을 가공하는 도구, 즉 돌 절구판, 돌 절구봉이 포함되었다. 도요지의 발견은 도기 제조업이 이미 일정한 규모에 이르렀음을 증명하고 있다. 도기는 진흙을 재료로 하는 홍도 위주이고, 모래가 섞인 홍도가 그 다음이다. 도기는 술잔, 사발, 쟁반, 단지, 항아리 등이 있다. 이것으로 7-800년 전에 중원 지역에는 이미 비교적 안정적인 농업과 정착 생활이 출현하였고, [[粟]](조)재배를 위주로 하는 밭농사 단계에 진입했음을 알 수 있다.  <ref> 김영환, 《중국의 역사와 사회문화 고대편》, 남서울대학교 출판국, 2012, P.38</ref>
 
1977년 하남성 신정현 배리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배리강문화는 대략 기원전5500년에서 4900년 사이의 농업 취락 유적지로서 집터, 아궁이, 도요지가 있고 석기, 도기, 골기 도구 및 생활 용품이 출토되었다. 석기는 농기구 위주이고 경작과 수확하는 도구, 즉 돌도끼, 돌삽, 돌낫과 양식을 가공하는 도구, 즉 돌 절구판, 돌 절구봉이 포함되었다. 도요지의 발견은 도기 제조업이 이미 일정한 규모에 이르렀음을 증명하고 있다. 도기는 진흙을 재료로 하는 홍도 위주이고, 모래가 섞인 홍도가 그 다음이다. 도기는 술잔, 사발, 쟁반, 단지, 항아리 등이 있다. 이것으로 7-800년 전에 중원 지역에는 이미 비교적 안정적인 농업과 정착 생활이 출현하였고, [[粟]](조)재배를 위주로 하는 밭농사 단계에 진입했음을 알 수 있다.  <ref> 김영환, 《중국의 역사와 사회문화 고대편》, 남서울대학교 출판국, 2012, P.38</ref>
  

2017년 12월 22일 (금) 14:19 판

신석기 시대

전기 신석기 시대

전기 신석기 시대는 사회적 특징으로 구별하면 대략 모계 씨족 사회의 말기에 해당한다. 문헌상의 기록과 비교하면 삼황 시기의 전기에 해당하고, 신화 시기의 전반기에 해당한다. 고고학상의 유물의 연대 측정 결과에 의하면 대략 기원전 6000-3000년에 해당한다. 주요 문화로는 배리강문화, 앙소문화, 하모도문화, 세석기 문화, 기하문양도기문화 등이 있다.

배리강문화

기원전6~5천년.
1977년 하남성 신정현 배리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배리강문화는 대략 기원전5500년에서 4900년 사이의 농업 취락 유적지로서 집터, 아궁이, 도요지가 있고 석기, 도기, 골기 도구 및 생활 용품이 출토되었다. 석기는 농기구 위주이고 경작과 수확하는 도구, 즉 돌도끼, 돌삽, 돌낫과 양식을 가공하는 도구, 즉 돌 절구판, 돌 절구봉이 포함되었다. 도요지의 발견은 도기 제조업이 이미 일정한 규모에 이르렀음을 증명하고 있다. 도기는 진흙을 재료로 하는 홍도 위주이고, 모래가 섞인 홍도가 그 다음이다. 도기는 술잔, 사발, 쟁반, 단지, 항아리 등이 있다. 이것으로 7-800년 전에 중원 지역에는 이미 비교적 안정적인 농업과 정착 생활이 출현하였고, (조)재배를 위주로 하는 밭농사 단계에 진입했음을 알 수 있다. [1]

앙소문화

기원전5~3천년

하모도문화

기원전6~5천년
절강성 여요현 하모도에서 발견된 문화를 하모도 문화라고 한다. 7000년 전의 논농사 유물(즉 낱알, 벼 줄기, 벼 잎), 물소와 사슴의 어깨뼈를 이용하여 만든 농기구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당시의 농업이 쟁기 경작의 단계에 진입했음을 알 수 있다.

세석기문화

기하문양 도기 문화

중기 신석기 시대

용산문화

제가문화

대문구문화

양저문화

후기 신석기 시대

염제

황제

태호

구이

요순

  1. 김영환, 《중국의 역사와 사회문화 고대편》, 남서울대학교 출판국, 2012, P.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