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

ChineseWiki
Impeccable13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6월 3일 (금) 17:22 판 (교류)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 문서는 현재 누군가가 작성 중입니다. 편집 충돌이 발생하면 소중한 문서 기여가 날아감으로 잠시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문서작성이 완료되신 분은 편집이 완료되면 제발 이 틀을 때어주시기 바랍니다.

개관

실크로드는 인류문명의 교류가 진행된 통로, 즉 고대에 비단무역을 계기로 하여 중국과 서역 각국의 정치·경제·문화를 이어준 육해 교통로의 총칭이다. 독일의 지리학자 리히트호펜에 의해 '실크로드'가 명명되었고, 이는 우리말로 '비단길'이라고 하기도 한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학계에서는 선행 연구성과를 토대로 오아시스로의 동·서단을 각각 중국 동쪽의 한국과 로마까지 연장했을 뿐 아니라, 실크로드의 포괄범위를 크게 확대하였다. 즉 유라시아 대륙의 북방 초원지대를 지나는 초원로와 지중해부터 중국남해에 이르는 남해로까지 포함시켜 동서를 관통하는 이른바 ‘3대 간선‘으로 그 개념을 확대하였다. 이는 각각 초원로, 오아시스로와 해로이다. 여기에 유라시아 남북을 관통하는 마역로(馬易路), 라마로(喇嘛路), 불타로(佛陀路), 호박로(琥珀路), 메소포타미아로의 5대 지선까지 그 개념이 확대되어 나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동서남북으로 거미줄처럼 뻗어간 교통망을 통해 동서문명은 종횡무진으로 교류하였고 여려 갈래의 간선과 지선으로 이루어진 망상적 교통망을 통틀어 실크로드라고 부른다.

배경

실크로드가 처음 열린 것은 전 한(前漢:BC 206~AD 25) 때이다. 한 무제(武帝)는 대월지·오손과 같은 나라와 연합하여 중국 북방 변경지대를 위협하고 있던 흉노를 제압하고 서아시아로 통하는 교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2차례에 걸쳐 장건을 중앙 아시아로 파견했다. 장건의 원정을 계기로 당시 서역이라고 칭해지던 중앙 아시아 및 서방 각지와 사절을 교환하게 되었고, 여러 문물이 왕래하게 되었다. 당시에 실크로드는 남·북 양 도로 나뉘어 있었다. 중국의 서쪽 관문이었던 위먼관(玉門關)과 양관(陽關)을 기점으로 하여, 하나는 로프노르 호 남안의 미란으로부터 쿤룬 산맥의 북쪽을 지나 야르칸드에 이른 후 파미르 고원을 넘어 아프가니스탄 북부로 나가는 남로(南路)였고, 또 하나는 투루판(吐魯蕃)에서 톈산 산맥 남쪽을 지나 카슈가르에서 파미르를 넘어 페르가나로 가는 북로(北路)였다. 남로에는 다시 야르칸드의 동쪽에서 서남쪽으로 파미르 고원을 넘어 인도 북쪽으로 가는 길도 있었다. 전한 때에는 반초(班超)가 서역으로 출사(出使)하여 전한말 이래 중단되었던 서역과의 관계를 개선시켰고, 나아가 AD 97년 감영(甘英)을 대진국(大秦國, 로마)으로 파견했다. 감영은 결국 로마까지는 가지 못했지만 파르티아와 시리아 및 페르시아 만까지 갔다옴으로써 실크로드의 서쪽 끝을 연장시키고 중국인들의 서아시아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주었다.

실크로드를 통한 교역이 가장 활발하던 시기는 당대(唐代:618~907)였다. 당시 중국 북방에서는 돌궐이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고 중원을 위협했을 뿐만 아니라 실크로드를 통한 교역에도 큰 장애가 되었다. 마침 돌궐이 동·서 양국으로 분열되고 서돌궐에 내란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당 태종은 군대를 파견하여 서돌궐을 제압했다. 이무렵 로프노르 호 일대의 건조화(乾燥化)가 진행되어 남도의 이용도가 낮아졌고, 북도는 둔황에서 북상하여 하미(哈密)를 경유해 투루판에서 카슈가르로 향하는 길(톈산 남로)과 톈산 산맥 북쪽을 지나는 길(톈산 북로)이 주로 이용되었다. 태종은 구자(龜玆, 한대의 서역국가)와 북정(北庭, 짐사)에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와 북정도호부(北庭都護府)를 설치하여 톈산 남·북로를 관장하게 했다. 이후로는 비단 무역을 비롯한 동서무역이 활발히 전개되었고, 소그디아나(서투르키스탄)를 본거지로 하는 소그드 상인이 중개무역상으로 활약했다. 9세기 무렵에는 당의 세력이 쇠퇴하는 가운데 북아시아에서 이주해온 위구르족과 서쪽에서 진출해온 이슬람 상인이 그들을 대신했다. 송대 이후로는 광저우(廣州)를 지나 스리랑카·파르티아·홍해를 지나 카이로에 도달한 후 다시 이곳을 거쳐 시리아로 가는 해상 실크로드가 발전했다. 이와 함께 육로는 점차 쇠퇴해갔다.

구분

실크로드 3대 간선과 5대 지선

총길이 6,400㎞에 달하는 실크로드는 중국 중원(中原)지방에서 시작하여 허시후이랑(河西回廊)을 가로질러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북변을 따라 파미르 고원, 중앙 아시아 초원, 이란 고원을 지나 지중해 동안과 북안에 이른다.

이것을 지형적 특성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그중 동쪽 부분은 중원에서 둔황(敦煌)까지 이르는 구간, 역대에 장안(長安, 현 서안 또는 뤄양)을 기점으로 했고, 허시후이랑이 중요한 길목이었다. 중앙 부분은 둔황 서쪽에서 파미르 고원 동쪽까지이며, 이 길은 타클라마칸 사막에 가로막혀 사막 남쪽(쿤룬산맥 북쪽)과 사막 북쪽(톈산산맥 남쪽)으로 가는 두 길로 나뉜다.

서쪽 부분도 중앙 부분과 마찬가지로 남·북의 두 갈래가 있어서 남로는 파미르 고원의 쿠시쿠르간에서 서쪽으로 쿠샨 왕국에 이르고, 여기서부터는 뱃길로 천축(天竺, 인도 옛 이름)에 들어갈 수 있다. 인더스 강을 따라 내려가 아라비아 해와 홍해로 들어가서 지중해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까지 이른다. 북로는 강거(康居, 漢魏시대 중앙 아시아의 키르기스 평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투르크계 유목민족국가)에서 서쪽으로 이란을 지나 곧장 지중해와 로마로 이어지는 길이다. 이 길은 거의 수천 리로 이어져 지금의 러시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등 10여 개 국가를 거쳐간다. 이 세 부분 가운데 동쪽 부분은 역사적으로 변화가 크지 않았지만 중앙과 서쪽 부분은 많은 변화가 있었다.

3대 간선

제2차 세계대전 후 선행 연구성과를 토대로 학계는 오아시스로의 동서단을 각각 중국 동쪽의 한국과 로마까지 연장했을 뿐 아니라, 실크로드의 포괄범위를 크게 확대하였다. 즉 유라시아 대륙의 북방 초원지대를 지나는 초원로와 지중해부터 중국남해에 이르는 남해로까지 포함시켜 동서를 관통하는 이른바 ‘3대 간선‘으로 그 개념을 확대한 것이다. 문명교류의 동서 통로를 '간선'이라고 칭하면서 '3대 간선'으로 명명되었고 이는 각각 초원로, 오아시스로해로를 가리킨다.

5대 지선

3대 간선을 제외하고도 지리적으로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및 아메리카를 동서로 이어주는 많은 샛길과 유라시아의 남북을 관통하는 교류통로가 병존하였다. 문명교류의 동서 통로는 ‘간선’, 남북 통로는 ‘지선’이라고 한다. 지선은 대표적으로 5개로 나뉘며 고대에서 중세까지 유라시아 대륙을 대표하는 교류의 통로였다. 남북 지선은 지형적인 공통성을 찾아볼 수 없었기에 주로 교류나 교역을 했던 특징을 살려 각 지선의 이름을 짓게 되는데 '5대 지선'은 각각 마역로(馬易路), 라마로(喇嘛路), 불타로(佛陀路), 호박로(琥珀路), 메소포타미아로이다.

교류

실크로드 소그드상인

장건이 서역을 처음 개척한 이래 중국의 역대 왕조는 중앙아시아 및 서아시아 여러 나라와 끊임없이 사절을 교환했고, 민간인들의 왕래도 활발해졌다. 또한 사신과 민간인의 잦은 왕래는 문물과 문화의 교류를 촉진시켰다. 서역이라는 국교가 열리게 되면서 중국을 방문한 외국 상인들에 의해 진귀한 물품과 문물이 유입되었다. 비단, 향료, 화약, 종이 등이 당시 가장 활발하게 교류되던 생산품이었다. 加强了中国西北边疆和内地各族人民之间政治、经济、文化上的牢固联系。通过丝绸之路,葡萄、胡桃、石榴、香料、药材、胡椒、宝石、玻璃、骏马、狮子等特产以及音乐舞蹈、天文历法和基督教、佛教、伊斯兰教等文化,从新疆或经新疆传入中原内地;同时,内地的丝绸、漆器、铁器、火药、金银器皿、瓷器、桃、梨等物产以及造纸、冶炼、火药制造等技术,也传入新疆并经新疆传往西方,对人类文明的发展产生了极其深远的影响。丝绸之路沟通了中国与亚、欧各国的联系,促进了东西方文化的交流和发展。(번역)실크로드는 중국의 서북 지역과 각 민족간의 정치, 경제, 문화를 더욱 탄탄하게 하였다. 비단길을 통해 포도, 호두, 석류, 향류, 약재, 후추, 보석, 유리, 준마, 사자 등의 특산물과 음악, 무용, 천문법,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 등의 문화 등이 신장웨이우얼자치구에서 중원 지방으로 들어왔다. 그와 동시에 중원의 비단, 칠기, 철기, 화약, 금은식기, 도자기, 복숭아, 배 등의 생산물과 종이 제조법, 제련기술, 화약제조법 등의 기술이 신장웨이우얼자치구로 들어왔다. 이는 인류문명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실크로드는 중국과 아시아, 유럽의 각 나라와의 교류를 촉진시켜서 동서문화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종교적인 면에서도 실크로드는 중국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에는 많은 구법승들이 경전을 구하러 실크로드를 따라 인도로 들어갔고, 각국에서 불교를 지원하는 풍조에 힘입어 많은 인도 승려들이 경전을 가지고 중국에 들어왔다. 당대에는 불교가 이미 상당한 세력을 형성했고, 현장(玄奘)의 역경사업이 이루어진 후에는 중국 고유의 유교·도교함께 당대의 3대 사상 중 하나가 되었다. 중국 불교가 발전하게 된 데에는 인도와 중국을 연결시켜준 실크로드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다. 불교 이외에도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와 마니교, 로마에서 이단시되었던 네스토리우스교(景敎), 이슬람교 등도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에 전해졌다. 또한 당대의 장안에는 페르시아인을 비롯해 적지 않은 수의 서역인들이 거주하게 되면서 호복(胡服)·호모(胡帽)·호악(胡樂)·호무(胡舞)·호병(胡餠) 등 각종 호풍(胡風)을 유행시켰다. 서역의 문물이 중국 사회에 전파되는 한편, 중국의 주철(鑄鐵) 기술, 양잠, 제지법 등이 서방으로 전달되었다.

이러하듯 실크로드는 상업 면에서 뿐만 아니라 다방면적으로 동서문화의 교류라는 면에서 역사적으로 큰 의의를 가지고 있었다.

가치

丝绸之路的历史昭示我们,尽管在人类社会的早期,受生产力发展水平低下的制约,“鸡犬之声相闻,老死不相往来”是一种较为普遍的社会形态,但之所以如此,很大程度上是出于无奈,并且,就是在这种无奈之中,我们的先祖也没有放弃在不断扩大交流领域这个方面的努力。现代考古发现告诉我们,早在远古时期,虽然人类面对着难以想象的天然艰险的挑战,但欧亚大陆东西之间,在尼罗河流域、两河流域、印度河流域和黄河流域之北的草原上,仍然存在着一条由许多不连贯的小规模贸易路线大体衔接而成的草原之路。这充分说明,远古时代的人类,也许说不出“经济互补、实现双赢”之类的现代经济学词汇,但他们却明白通过扩大交流范围,便可以获取更大经济利益的道理。


丝绸之路对西方人在文化层面上的最大的意义,是中国文化和科技的许多精华通过丝绸之路被介绍到西方,包括天文、医学、音乐、建筑等各个领域的知识,其中最重要、最著名的,则是古代中国四大发明中的三项:造纸、印刷和火药。西方人在接受了中国的上述技术发明后,迅速加以改进並超越了他们的中国老师。在15世纪后的历史中,西方的文化传播和军事征服,在很大程度上凭借了这些技术。可以说,四大发明改变了世界历史的进程,而四大发明通過丝绸之路的传播,则是其得以发挥世界性影响的前提。从这个角度讲,丝绸之路使中国特有的文化成果传入西方的意义,是怎样強调也不为过的。

신실크로드

신실크로드

중국은 시진핑 정부가 주도하는 1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핵심과제를 지역경제 발전으로 정하고, 이를 위한 실천 방안으로 '일대일로(一帶一路)'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일대일로'는 육상과 해상 실크로드를 결합한 거대 경제벨트 구축안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산업구조조정, 에너지 안보와 국방 강화 등 중국의 핵심 전략을 응축하고 있는 중요 국가 정책이다. 과거 서역과 중국의 무역로 였던 '실크로드'와 명나라 정화의 해상 원정길의 영광을 재현한다는 의미에서 ‘신실크로드’ 경제권으로 불린다. '일대일로' 구상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3년 9월 7일 카자흐스탄의 한 대학 강연에서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만들어 공동 번영과 협력의 시대를 열자"로 제안한 것으로 시작됐다. 한 달 뒤인 10월 3일 시 주석은 인도네시아 국회 연설에서 해양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에 아세안 국가의 협력을 제안하면서 '일대일로' 구상의 윤곽이 잡혔다. 신실크로드 경제벨트의 육상 노선은 중국의 중서부 주요성(省)인 산시(陝西)·간쑤(甘肅)·칭하이(青海)·닝샤(寧夏)·신장(新疆)을 관통하고, 러시아·카자흐스탄·벨라루스·폴란드를 거쳐 독일까지 이어진다. 이를 위해 시진핑 주석은 중국~독일을 연결하는 위신어우(渝新歐) 철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로 불리는 해상 경제벨트는 중국에서 출발해 동남아시아(싱가포르·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와 몰디브 등 인도양을 거쳐, 유럽에 이르는 해상 무역로 건설이 핵심이다.

의의

始于两千多年前的中国古代“海上丝绸之路”,开辟和记载了中国与世界的友好往来、繁荣商贸经济的辉煌文明历史。站在新的历史起点,21世纪“海上丝绸之路”的战略构想源于历史,但超越历史,具有新的时代内涵和重要战略意义。 发挥中国引擎作用、体现大国担当。中国以自己独特的发展道路迅速崛起,取得了举世瞩目的发展成就,成为世界经济发展的重要引擎,国际地位和影响力显著提升。共建21世纪“海上丝绸之路”,是实现中华民族伟大复兴的“中国梦”和推动世界和平发展的重要载体,为亚洲和世界提供了发展机遇,诠释了中国在全球化与区域经济一体化中作为一个大国的责任和胸怀。 扩大对外开放、构建开放新格局。当今世界经贸格局深入调整,全球市场、资源等方面的竞争日益激烈,贸易保护主义重新抬头,美国等发达国家试图通过制订新的国际经贸规则主导世界经济。国内改革处于攻坚期和深水区,经济发展进入爬坡过坎转型、提质增效升级的新阶段。共建21世纪“海上丝绸之路”,是新形势下有效应对挑战、开创高水平对外开放新格局的重要途径,有利于统筹国内国际两个市场、两种资源,推动开放向深度拓展,进一步提升我国对外开放水平。 加强区域合作、拓展经济战略空间。当今世界经济全球化发展迅猛,各国间相互合作日益紧密,利益交融更加深入,加强区域合作、实现共赢发展成为大势所趋。共建21世纪“海上丝绸之路”,是深化我国与东盟区域合作,携手建设更为紧密的中国—东盟命运共同体的重要平台,有利于通过构建横跨亚非欧的海上经济带,影响世界经济版图,拓展我国经济发展战略空间,为我国经济持续发展提供新的动力。 谋划周边新型外交、营造周边安全环境。近年来由于中国的快速崛起以及2008年国际金融危机引发的深层次影响,国际格局发生明显变化,随着美国重心东移重返亚洲,周边地区不确定因素和安全隐患增加。而周边是我国外交的首要,是我国安身立命之所、发展繁荣之基。共建21世纪“海上丝绸之路”,是新形势下贯彻落实“亲、诚、惠、容”新型周边外交理念、加强经略周边、维护周边和平稳定的重要抓手,有利于加强与周边国家合作,谋求利益共同点和交汇点,打造周边命运共同体,营造总体有利于我国的周边环境。 助力南海开发、加快建设海洋强国。我国既是陆地大国,也是海洋大国,建设海洋强国是实现中华民族伟大复兴“中国梦”的重要组成部分。南海占我国海洋面积的2/3,蕴藏着丰富的油气、矿产、生物、渔业和旅游资源,是我国重要特殊战略地位的海区、南部安全屏障和海上战略通道,南海开发事关我国重大战略利益。但历史形成的南海争端问题成为制约南海开发的主要障碍,特别是近年来由于美国的介入,南海问题呈扩大化、国际化、复杂化的态势。共建21世纪“海上丝绸之路”,是助推南海开发、加快实施海洋强国战略的重要支撑,有利于我国在南海问题上与周边国家求同化异,以经济合作淡化领土主权争端、扩大共同利益,维护我南海权益,推动海洋强国的建设。


참고자료

1)『실크로드학』, 정수일 저, 창작과 비평사, 2001

2)『바다의 실크로드』, 양승윤 저, 청아출판사, 2003

3)『문명의 루트 실크로드』, 정수일 저, 효형출판, 2002

4)「신실크로드 경제벨트의 추진 전략과 의의」, 왕은위, 2016

5)「丝绸之路的历史地理背景及其当代意义」, 葛剑雄, 2015

6)「关于共建21世纪“海上丝绸之路”战略构想的思考」, 赵莉莎,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