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원 울루스의 사회와 문화)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원나라| ]]
 
[[분류:원나라| ]]
 
==개요==
 
==개요==
[[파일:카안_울루스.png|300픽셀|가운데|섬네일]]
+
[[파일:카안_울루스.png|300픽셀|오른쪽|섬네일]]
: 이 문서에서 다루는 것은 모든 몽골 울루스의 역사가 아닌, 중국과 몽골 초원을 중심으로 하는 칸 울루스, 대원의 역사를 중심으로 한다. 칸 울루스와 대원 성립 이전의 역사는 [[예케 몽골 울루스 - 대몽골국]] 문서를 참조할 것
+
쿠빌라이가 1271년 수립한 중국과 몽골 초원지대, 그리고 만주와 연해주 지역을 기반으로 한 몽골족 왕조. 쿠빌라이가 칸의 자리를 놓고 계승 전쟁을 펼치는 와중에 다른 형제들과 가문들의 자치권을 인정해주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이 위의 그림과 같은 범위였다. 쿠빌라이는 이 지역의 국호를 대원(몽골 말로는 다이온 예케 몽골 울루스, 대원대몽골국)이라 붙이고 지금의 북경인 대도와 카라코룸을 중심으로 이 지역들을 다스렸다.
  
 
==몽골인의 입장에서 본 대원 울루스==
 
==몽골인의 입장에서 본 대원 울루스==
 +
대원 울루스는 몽골인들의 정복에 의해 성립되었고, 기존에는 중국이 아니었던 부분까지 포함하고 있는, 세계적인 대국가였다. 대원의 칸들은 스스로를 초원 지대의 칸이자 모든 울루스들의 칸인 대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비록 다른 울루스들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는 못하더라도 연대가 존재했으며, 이것이 울루스들 사이의 활발한 정치, 경제, 문화적 교류를 촉발시켜 팍스 몽골리카를 탄생시켰다. 대원 울루스는 다양성과 통합을 통해 국제적인 제국을 건설했다. 상인들과 선교사들, 그리고 수많은 여행가들이 동아시아에서 유럽까지 오가면서 문화를 교류하고 상품을 판매하였으며, 기술을 전파했다. 이를 통해 각지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대원 울루스의 역사]]===
 
===[[대원 울루스의 역사]]===
===[[대원 울루스의 사회]]===
 
  
===[[대원 울루스의 문화]]===
+
===[[대원 울루스의 사회와 문화]]===
  
 +
==한인의 입장에서 본 대원==
 +
: 몽골 치하의 한인들은 사회적, 정치적으로 차별받는 존재들이었다. 북중국 지역에 살던 한인과 남중국 지역에 살던 한인인 남인은 가장 낮은 계층의 사람들로 대우받았고, 한인들은 정치적으로 상위 직위에 올라가는 것이 불가능했다. 과거 제도는 대원의 후반기에나 시행되엇으며, 선발 인원도 적고 불리했다. 그리하여 지식인들의 사회적 위치가 낮아지면서 한인들의 사회와 문화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서민 문화가 꽃피었으며, 몽골인들의 후원 아래 각종 공연이 발전하고 원곡이라고 불리는 장르가 발전했다. 그러나 한인들은 몽골 제국 전역에 퍼지고 있던 문화들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를 지키는 일이 우선시했다다. 몽골의 정복과 군사적 위협에 대해 보수적으로 대응했던 것이다.
 +
===[[대원의 한인 역사]]===
  
=== 원대의 문학 ===
+
===[[대원의 한인 사회]]===
: 원대에는 과거제가 거의 시행되지 않았으므로 한족 지식인들은 거의 발붙일 곳이 없었다. 그리고 유생 역시 가장 천시 받는 존재였다. 결국 지식인들은 문학 창작 활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 이런 상황에서 지식인들은 금나라에서 생기기 시작한 곡을 이어받아 새로운 문학으로 발전시킨다. 본래 중국의 전해지던 민간 가요에 가사를 섞어 부르는 설창 혹은 강창의 형식이 금대와 원대에 계속해서 발전했다. 마침내 원대 들어서 정립된 새로운 형식의 시인 산곡과 새로운 형식의 희곡인 잡극이 성행했다. 산곡과 잡극의 경우 음악적인 성격 면에서 유사하지만, 산곡은 서정적인 짧은 노래 중심이라면, 잡극은 여러 곡의 산곡이 모여 이루어진 투수로 일정한 이야기를 연출하는 것이다. 원곡의 대표적인 작가들은 대부분 대도를 중심으로 한 북방 사람들로써, 관한경, 백박, 마치원 등의 인물들이 있다.
+
 
 +
===[[대원의 한인 문화]]===
  
 
==인물==
 
==인물==
39번째 줄: 43번째 줄:
  
 
==참고도서==
 
==참고도서==
* 김호동,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
* 김호동,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 토마스 바필드, 위태로운 변경,
+
* 토마스 바필드, 『위태로운 변경』
* 김호동,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
* 김호동,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 조관희, 『조관희 교수의 중국사 강의』, 궁리
 
* 조관희, 『조관희 교수의 중국사 강의』, 궁리
 
* 신성곤·윤혜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 신성곤·윤혜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47번째 줄: 51번째 줄:
 
* 김종래, 『유목민 이야기』, 꿈엔들
 
* 김종래, 『유목민 이야기』, 꿈엔들
 
* 박한제 외 3명,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 사계절
 
* 박한제 외 3명,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 사계절
* 김학주, 중국 문학사
+
* 김학주, 『중국 문학사』
 
* 데이비드 O.모건, 『몽골족의 역사』, 권용철 역, 모노그래프, 2012.
 
* 데이비드 O.모건, 『몽골족의 역사』, 권용철 역, 모노그래프, 2012.
 
* 라시드 앗 딘, 『칸의 후예들』, 김호동 역, (주)사계절, 2005.
 
* 라시드 앗 딘, 『칸의 후예들』, 김호동 역, (주)사계절, 2005.
 +
* 마르코 폴로, 김호동 역, 『동방견문록』, 사계절
 +
* 패트리샤 버클리 에브리,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중국사』, 시공사
 +
* 발레리 한센, 신성곤 역, 『열린 제국: 중국, 고대-1600』, 까치
  
 
==관련 문서==
 
==관련 문서==
 
*[[몽골]]
 
*[[몽골]]
 
*[[쿠릴타이]]
 
*[[쿠릴타이]]

2016년 6월 27일 (월) 17:34 기준 최신판

개요

카안 울루스.png

쿠빌라이가 1271년 수립한 중국과 몽골 초원지대, 그리고 만주와 연해주 지역을 기반으로 한 몽골족 왕조. 쿠빌라이가 칸의 자리를 놓고 계승 전쟁을 펼치는 와중에 다른 형제들과 가문들의 자치권을 인정해주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이 위의 그림과 같은 범위였다. 쿠빌라이는 이 지역의 국호를 대원(몽골 말로는 다이온 예케 몽골 울루스, 대원대몽골국)이라 붙이고 지금의 북경인 대도와 카라코룸을 중심으로 이 지역들을 다스렸다.

몽골인의 입장에서 본 대원 울루스

대원 울루스는 몽골인들의 정복에 의해 성립되었고, 기존에는 중국이 아니었던 부분까지 포함하고 있는, 세계적인 대국가였다. 대원의 칸들은 스스로를 초원 지대의 칸이자 모든 울루스들의 칸인 대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비록 다른 울루스들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는 못하더라도 연대가 존재했으며, 이것이 울루스들 사이의 활발한 정치, 경제, 문화적 교류를 촉발시켜 팍스 몽골리카를 탄생시켰다. 대원 울루스는 다양성과 통합을 통해 국제적인 제국을 건설했다. 상인들과 선교사들, 그리고 수많은 여행가들이 동아시아에서 유럽까지 오가면서 문화를 교류하고 상품을 판매하였으며, 기술을 전파했다. 이를 통해 각지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대원 울루스의 역사

대원 울루스의 사회와 문화

한인의 입장에서 본 대원

몽골 치하의 한인들은 사회적, 정치적으로 차별받는 존재들이었다. 북중국 지역에 살던 한인과 남중국 지역에 살던 한인인 남인은 가장 낮은 계층의 사람들로 대우받았고, 한인들은 정치적으로 상위 직위에 올라가는 것이 불가능했다. 과거 제도는 대원의 후반기에나 시행되엇으며, 선발 인원도 적고 불리했다. 그리하여 지식인들의 사회적 위치가 낮아지면서 한인들의 사회와 문화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서민 문화가 꽃피었으며, 몽골인들의 후원 아래 각종 공연이 발전하고 원곡이라고 불리는 장르가 발전했다. 그러나 한인들은 몽골 제국 전역에 퍼지고 있던 문화들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를 지키는 일이 우선시했다다. 몽골의 정복과 군사적 위협에 대해 보수적으로 대응했던 것이다.

대원의 한인 역사

대원의 한인 사회

대원의 한인 문화

인물

칭기스 일족의 주요 인물 계보도

  • 칭기스 칸(太祖, 1206-1227)
  • 우구데이 (太宗, 1229-1241)
  • 구육 (定宗, 1246-1248)
  • 뭉케 (憲宗, 1251-1259)
  • 쿠빌라이 (世祖, 세첸 카안, 1260-1294)
  • 티무르 (成宗, 울제이투 카안, 1294-1307)
  • 카이샹 (武宗, 쿨룩 카안, 1307-1311)
  • 아유르바르와다 (仁宗, 부얀투 카안, 1311-1320)
  • 시데발라 (英宗, 게겐 카안, 1320-1323)
  • 이순 티무르 (泰政帝, 1323-1328)
  • 아라기박 (1328)
  • 코실라 (明宗, 쿠툭투 카안, 1329)
  • 툭 티무르 (文宗, 자야투 카안, 1328-1332)
  • 이린지발 (寧宗, 1332)
  • 토곤 티무르 (順帝, 우하투 카안, 1333-1370)
  • 아유르시리다라 (1370-1378)
  • 투쿠스 티무르 (1379-1388)

참고도서

  • 김호동,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 토마스 바필드, 『위태로운 변경』
  • 김호동,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 조관희, 『조관희 교수의 중국사 강의』, 궁리
  • 신성곤·윤혜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 박문호의 자연과학 세상, 『몽골』, (주)엑셈
  • 김종래, 『유목민 이야기』, 꿈엔들
  • 박한제 외 3명,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 사계절
  • 김학주, 『중국 문학사』
  • 데이비드 O.모건, 『몽골족의 역사』, 권용철 역, 모노그래프, 2012.
  • 라시드 앗 딘, 『칸의 후예들』, 김호동 역, (주)사계절, 2005.
  • 마르코 폴로, 김호동 역, 『동방견문록』, 사계절
  • 패트리샤 버클리 에브리,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중국사』, 시공사
  • 발레리 한센, 신성곤 역, 『열린 제국: 중국, 고대-1600』, 까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