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초반기(701년~726년))
(이백의 성씨 논란)
29번째 줄: 29번째 줄:
 
이백은 촉나라 쓰촨 성 쑤이예에서 태어났다. 이백의 촉 시절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것이 알려져 있지 않다. 여기서는 아버지와 성씨, 칼과 관련된 일화, 그리고 도교 공부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이백은 촉나라 쓰촨 성 쑤이예에서 태어났다. 이백의 촉 시절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것이 알려져 있지 않다. 여기서는 아버지와 성씨, 칼과 관련된 일화, 그리고 도교 공부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이백의 성씨 논란====
 
====이백의 성씨 논란====
이백 아버지의 이름은 이객(李客)으로, 일반적으로 원래 그 지역 사람이 아니면서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을 '객'이라고 하는데, '타관 사람' 정도의 의미이다. 관리로 부임했거나 장사를 하기 위해 그 지역에 들어온 사람은 십 여년을 넘게 살았더라도 '객'인 것이다. 아마도 이객은 이런 이유에서 '객'으로 불렸을 것이다. 이 때, 이백의 아버지 이객의 성씨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원래 이씨가 아니었는데 촉 지역에 들어오며 이씨로 바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추측이 있는데, 이객이 본래 호인(胡人), 즉 이민족인 투르크나 혹은 다른 중앙 아시아계 민족이었는데 귀화했다는 추측과, 관헌의 수배를 받거나 원수에게 쫓겨 도주해서 성을 바꾸었다는 추측이 그것이다. 만약 이백의 아버지가 중앙 아시아 출신의 상인이었다고 한다면, 문벌을 중시하는 당시 시대적 상황에 따라 성씨를 이씨라고 말하고 다니는 편이 유리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특히 당시 성씨에 관한 관념은 지금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르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영화 <범죄와의 전쟁>에서 최민식과 하정우가 성씨 하나만으로 연이 맺어졌던 것처럼, 당시 중국에도 그런 풍습이 있었다. 일단 같은 성을 가진 사람이라면 서로 친하게 지내고 상부상조하는 것이다. 이 탓에 이백의 성씨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이백은 평생동안 자신이 농서 이씨, 즉 황실의 친척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백의 경우에는 대체 농서 이씨의 어느 세대에 해당하는지가 불분명했고, 또 이백이 농서 이씨가 아니라 조군 이씨를 보고도 친척이라고 했다거나, 다른 계통의 이씨에게도 '종형' 혹은 '종제'라고 했다고도 한다. <br>
+
이백 아버지의 이름은 이객(李客)으로, 일반적으로 원래 그 지역 사람이 아니면서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을 '객'이라고 하는데, '타관 사람' 정도의 의미이다. 관리로 부임했거나 장사를 하기 위해 그 지역에 들어온 사람은 십 여년을 넘게 살았더라도 '객'인 것이다. 아마도 이객은 이런 이유에서 '객'으로 불렸을 것이다. 이 때, '객' 뿐만 아니라, 이백의 아버지 이객의 성씨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원래 이씨가 아니었는데 촉 지역에 들어오며 이씨로 바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추측이 있는데, 이객이 본래 호인(胡人), 즉 이민족인 투르크나 혹은 다른 중앙 아시아계 민족이었는데 귀화했다는 추측과, 관헌의 수배를 받거나 원수에게 쫓겨 도주해서 성을 바꾸었다는 추측이 그것이다. 만약 이백의 아버지가 중앙 아시아 출신의 상인이었다고 한다면, 문벌을 중시하는 당시 시대적 상황에 따라 성씨를 이씨라고 말하고 다니는 편이 유리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당시 성씨에 관한 관념은 지금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르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영화 <범죄와의 전쟁>에서 최민식과 하정우가 성씨 하나만으로 연이 맺어졌던 것처럼, 당시 중국에도 그런 풍습이 있었다. 일단 같은 성을 가진 사람이라면 서로 친하게 지내고 상부상조하는 것이다. 아마 타지 출신의 상인이 중국에 들어와 살게 된 경우였다면 조금이라도 도움을 받기 편한 선택을 했을 것이다. 당시에는 황실이 이씨였던 만큼 이씨가 가장 흔한 성씨였고, 때문에 다른 성씨가 아닌 황실의 성씨인 농서 이씨를 선택할 수 있다면 삶이 비교적 편해질 것이다. 이 탓에 이백의 성씨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이백은 평생동안 자신이 농서 이씨, 즉 황실의 친척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백의 경우에는 대체 농서 이씨의 어느 세대에 해당하는지가 불분명했고, 또 이백이 농서 이씨가 아니라 조군 이씨를 보고도 친척이라고 했다거나, 다른 계통의 이씨에게도 '종형' 혹은 '종제'라고 했다고도 한다. 즉, 실제로는 이씨가 아닌데 이씨라고 주장하고 다닌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다. <br>
 +
 
 
====칼? 무협?====
 
====칼? 무협?====
 
위호의 「이한림집서」에는 이백이 "젊은 시절 협에 임하며, 여러 사람을 베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 협에 임한다는 것은 사내로서 자존심을 세우거나 폭력으로 고집을 관철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이백이 칼도 휘두르고 사람도 죽여본 호걸이라는 이미지는 이 기록으로 인해 매우 유명하다. 위호는 실제로 이백과 교류했던 사람이므로, 이런 젊은 시절의 이야기를 이백에게 술자리 혹은 다른 자리에서 직접 전해들었을 것이다. 만약 이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이백은 사람도 죽여본 살인자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것이 정말 사실인가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볼만하다. 예를 들어, 이백이 장안에 머물던 시절 불량배에게 둘러 쌓여 곤란을 겪고 있을 때 육조라는 사람이 나타나 불량배들을 쫓아내고 이백을 구해줬던 일화가 있다. 이에 이백이 육조에게 감사의 시를 지어바친 적이 있다. 젊은 시절 검으로 한 두 사람도 아니고 여러 사람을 베어보았다면 검술과 완력이 뛰어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항상 하인과 함께 칼을 지니고 다녔던 이백이 불량배들을 스스로 퇴치하지 못해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면, 과연 검술과 완력이 뛰어난 사내였을까? 물론 정확히 무엇이 진실인지는 알 수 없다. 검술과 완력이 뛰어나고 사람을 죽여본 것이 사실이지만 당시 상황이 여의치 않아 불량배들을 스스로 쫓아내지 못했을 수도 있고, 반대로 불량배들을 스스로 쫓아내지는 못할 만큼 검술과 완력이 뛰어나지 않았고, 그러므로 여러 사람을 죽여본 적이 있다는 말도 거짓말일 수도 있다. 이 일화에서 중요시 해야 할 것은, 이백이 진실이든 거짓말이든 간에 자신이 칼로 사람을 베고 다닌 적이 있다고 말하고 다녔다는 것이다. 이백은 협에 대한 찬양시를 많이 남기기도 했기 때문에, 아마 이런 것을 자랑스레 여기는 사내였음에는 틀림이 없을 것이다. 이백은 항상 하인에게 칼을 가지고 다니게 시켰고, 술자리에서는 이따금씩 검을 들고 칼춤을 추었다고 했으니 말이다.   
 
위호의 「이한림집서」에는 이백이 "젊은 시절 협에 임하며, 여러 사람을 베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 협에 임한다는 것은 사내로서 자존심을 세우거나 폭력으로 고집을 관철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이백이 칼도 휘두르고 사람도 죽여본 호걸이라는 이미지는 이 기록으로 인해 매우 유명하다. 위호는 실제로 이백과 교류했던 사람이므로, 이런 젊은 시절의 이야기를 이백에게 술자리 혹은 다른 자리에서 직접 전해들었을 것이다. 만약 이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이백은 사람도 죽여본 살인자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것이 정말 사실인가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볼만하다. 예를 들어, 이백이 장안에 머물던 시절 불량배에게 둘러 쌓여 곤란을 겪고 있을 때 육조라는 사람이 나타나 불량배들을 쫓아내고 이백을 구해줬던 일화가 있다. 이에 이백이 육조에게 감사의 시를 지어바친 적이 있다. 젊은 시절 검으로 한 두 사람도 아니고 여러 사람을 베어보았다면 검술과 완력이 뛰어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항상 하인과 함께 칼을 지니고 다녔던 이백이 불량배들을 스스로 퇴치하지 못해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면, 과연 검술과 완력이 뛰어난 사내였을까? 물론 정확히 무엇이 진실인지는 알 수 없다. 검술과 완력이 뛰어나고 사람을 죽여본 것이 사실이지만 당시 상황이 여의치 않아 불량배들을 스스로 쫓아내지 못했을 수도 있고, 반대로 불량배들을 스스로 쫓아내지는 못할 만큼 검술과 완력이 뛰어나지 않았고, 그러므로 여러 사람을 죽여본 적이 있다는 말도 거짓말일 수도 있다. 이 일화에서 중요시 해야 할 것은, 이백이 진실이든 거짓말이든 간에 자신이 칼로 사람을 베고 다닌 적이 있다고 말하고 다녔다는 것이다. 이백은 협에 대한 찬양시를 많이 남기기도 했기 때문에, 아마 이런 것을 자랑스레 여기는 사내였음에는 틀림이 없을 것이다. 이백은 항상 하인에게 칼을 가지고 다니게 시켰고, 술자리에서는 이따금씩 검을 들고 칼춤을 추었다고 했으니 말이다.   

2018년 6월 26일 (화) 17:06 판

이백
李白

출생 701년
쓰촨 성
사망 762년
당나라 안후이 성
국적 나라
별칭 자(字)는 태백(太白, 타이바이)
호(號)는 청련거사(靑蓮居士)
별명(別名)은 시선
직업 시 (문학)
종교 도교
주요 작품 산중문답(山中問答)
청평조사(淸平調詞)

이백(701년~762년)은 중국의 시인이다.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다. 촉나라 쓰촨 성 쑤이예 출생이다.
두보와 함께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인으로 꼽힌다. 이 두 사람을 합쳐서 "이두(李杜)"라고 칭하고 이백을 "시선(詩仙)"이라 부른다. 현재 약 1100여 수의 시들이 남아 있다.

생애

초반기(701년~726년)

이백은 촉나라 쓰촨 성 쑤이예에서 태어났다. 이백의 촉 시절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것이 알려져 있지 않다. 여기서는 아버지와 성씨, 칼과 관련된 일화, 그리고 도교 공부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이백의 성씨 논란

이백 아버지의 이름은 이객(李客)으로, 일반적으로 원래 그 지역 사람이 아니면서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을 '객'이라고 하는데, '타관 사람' 정도의 의미이다. 관리로 부임했거나 장사를 하기 위해 그 지역에 들어온 사람은 십 여년을 넘게 살았더라도 '객'인 것이다. 아마도 이객은 이런 이유에서 '객'으로 불렸을 것이다. 이 때, '객' 뿐만 아니라, 이백의 아버지 이객의 성씨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원래 이씨가 아니었는데 촉 지역에 들어오며 이씨로 바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추측이 있는데, 이객이 본래 호인(胡人), 즉 이민족인 투르크나 혹은 다른 중앙 아시아계 민족이었는데 귀화했다는 추측과, 관헌의 수배를 받거나 원수에게 쫓겨 도주해서 성을 바꾸었다는 추측이 그것이다. 만약 이백의 아버지가 중앙 아시아 출신의 상인이었다고 한다면, 문벌을 중시하는 당시 시대적 상황에 따라 성씨를 이씨라고 말하고 다니는 편이 유리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당시 성씨에 관한 관념은 지금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르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영화 <범죄와의 전쟁>에서 최민식과 하정우가 성씨 하나만으로 연이 맺어졌던 것처럼, 당시 중국에도 그런 풍습이 있었다. 일단 같은 성을 가진 사람이라면 서로 친하게 지내고 상부상조하는 것이다. 아마 타지 출신의 상인이 중국에 들어와 살게 된 경우였다면 조금이라도 도움을 받기 편한 선택을 했을 것이다. 당시에는 황실이 이씨였던 만큼 이씨가 가장 흔한 성씨였고, 때문에 다른 성씨가 아닌 황실의 성씨인 농서 이씨를 선택할 수 있다면 삶이 비교적 편해질 것이다. 이 탓에 이백의 성씨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이백은 평생동안 자신이 농서 이씨, 즉 황실의 친척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백의 경우에는 대체 농서 이씨의 어느 세대에 해당하는지가 불분명했고, 또 이백이 농서 이씨가 아니라 조군 이씨를 보고도 친척이라고 했다거나, 다른 계통의 이씨에게도 '종형' 혹은 '종제'라고 했다고도 한다. 즉, 실제로는 이씨가 아닌데 이씨라고 주장하고 다닌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다.

칼? 무협?

위호의 「이한림집서」에는 이백이 "젊은 시절 협에 임하며, 여러 사람을 베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 협에 임한다는 것은 사내로서 자존심을 세우거나 폭력으로 고집을 관철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이백이 칼도 휘두르고 사람도 죽여본 호걸이라는 이미지는 이 기록으로 인해 매우 유명하다. 위호는 실제로 이백과 교류했던 사람이므로, 이런 젊은 시절의 이야기를 이백에게 술자리 혹은 다른 자리에서 직접 전해들었을 것이다. 만약 이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이백은 사람도 죽여본 살인자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것이 정말 사실인가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볼만하다. 예를 들어, 이백이 장안에 머물던 시절 불량배에게 둘러 쌓여 곤란을 겪고 있을 때 육조라는 사람이 나타나 불량배들을 쫓아내고 이백을 구해줬던 일화가 있다. 이에 이백이 육조에게 감사의 시를 지어바친 적이 있다. 젊은 시절 검으로 한 두 사람도 아니고 여러 사람을 베어보았다면 검술과 완력이 뛰어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항상 하인과 함께 칼을 지니고 다녔던 이백이 불량배들을 스스로 퇴치하지 못해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면, 과연 검술과 완력이 뛰어난 사내였을까? 물론 정확히 무엇이 진실인지는 알 수 없다. 검술과 완력이 뛰어나고 사람을 죽여본 것이 사실이지만 당시 상황이 여의치 않아 불량배들을 스스로 쫓아내지 못했을 수도 있고, 반대로 불량배들을 스스로 쫓아내지는 못할 만큼 검술과 완력이 뛰어나지 않았고, 그러므로 여러 사람을 죽여본 적이 있다는 말도 거짓말일 수도 있다. 이 일화에서 중요시 해야 할 것은, 이백이 진실이든 거짓말이든 간에 자신이 칼로 사람을 베고 다닌 적이 있다고 말하고 다녔다는 것이다. 이백은 협에 대한 찬양시를 많이 남기기도 했기 때문에, 아마 이런 것을 자랑스레 여기는 사내였음에는 틀림이 없을 것이다. 이백은 항상 하인에게 칼을 가지고 다니게 시켰고, 술자리에서는 이따금씩 검을 들고 칼춤을 추었다고 했으니 말이다. 25세나 26세까지 동암자(東巖子)라는 선인과 쓰촨 성의 산들을 오르며 도교를 수양하였다.
25세나 26세에 고향을 떠나 강남(江南)을 여행하였으며, 몰락한 귀족의 자제들과 어울렸다.

구직기(726년~742년)

장안에서의 한림원 생활(742~744)

742년 43세에 현종의 칙령을 받아 한림공봉(翰林供奉)의 자리에 올라가게 되어 수도인 장안(長安)에 머물렀으나 자신의 적성과는 맞지 않는 따분함으로 44세에 사직하였다.

유랑기(744~755)

두보와의 여행(744~745)

사직 후에 자신의 친구이자 시(詩)적 라이벌인 두보와 함께 낙양에서 산둥까지 여행하였다.

안사의 난 이후(755~762)

54세에 다시 강남으로 돌아와 56세에 현종의 16번째 아들인 영왕 인(永王 璘)의 군대에 참여하였으나 영왕의 군대가 숙종에 의해 반란군으로 지목되어 군대에 함께 있던 이백도 지금의 구이저우 성인 야랑(夜郞)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759년 다행히도 삼협(三峽) 부근까지 갔을 때에 숙종의 은사(恩赦)를 받아 다시 강남으로 돌아왔다.
760년 가을부터는 강남의 각지를 유람하였고, 2년 뒤 762년에 안후이 성 당도(安徽省 當塗)의 현령(縣令)이었던 종숙 이양빙(李陽冰)의 집에서 사망하였다.

작품

대표적으로 산중문답(山中問答)과 청평조사(淸平調詞)가 있다. 그는 절구와 고시를 특기로 한 시인으로서 그의 시는 스케일이 크고 자유분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 <<이백(영원한 대자연인)>>, 안치, 신하윤 외 옮김, 이끌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