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가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천가시(千家詩)>의 원제목은 <分門纂類唐宋時賢千家詩選>으로 (宋)대 유극장(劉克藏)이 편집한 아동 계몽서이다. 세상에 많이...)
 
1번째 줄: 1번째 줄:
<[[천가시]](千家詩)>의 원제목은 <分門纂類唐宋時賢千家詩選>으로 [[송]](宋)대 [[유극장]](劉克藏)이 편집한 아동 계몽서이다. 세상에 많이 알려지고 쉬운 내용의 작품들이 대부분으로 아동들이 암송하기에 적절했다. 유극장의 <천가시>는 모두 22권  약 천 이백여 수의 시가 수록되었으며 내용이 번잡하고 중복된 것이 많았다. 이에 [[남송]](南宋)의 [[사방득]](謝枋得)이 칠언절구와 칠언율시 123만을 추려내어 <重定千家诗>편집했다. 명대의 <천가시>는 유극장본과 사방득본 두 가지가 통용되었다. 청대 왕상(王相)이 오언절구와 오언율시 각 40여편을 추려내어 <오언천가시>를 편집하였고 이때부터 <천가시>는 [[맹호연]]의 “春眠不觉晓”부터 시작되었다. <천가시>에 수록된 시는 대부분 당송시대의 명시들로서 <[[삼자경]](三字经)>,<[[백가성]](百家姓)>, <[[천자문]](千字文)>과 함께 "三百千千”이라 불리며 당시 민간에서 가장 널리 통용된 계몽서로 사용되었다. 강희 45년(1706년) 조인(曹寅)이 간행한 <楝亭十二种>에 “后村先生编集”이라는 제목으로  <分门纂类唐宋时贤千家诗选> 12권이 수록되었고 이를 〈时令〉、〈节候〉、〈气候〉、〈昼夜〉、〈百花〉、〈竹木〉、〈天文〉、〈地理〉、〈宫室〉、〈器用〉、〈音乐〉、〈禽兽〉、〈昆虫〉、〈人品〉의 14개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완원(阮元)은 이 책이 유극장의 편집한 것임을 확신하였고 이에 <사고전서>에 <分门纂类唐宋时贤千家诗选>등 175부의 책을 모아 《宛委别藏》으로 편집하여 가경제에게 헌상하였다. 청대에는 또한 <国朝千家诗>,<续千家诗>등에서 청대 시인의 작품만을 수록하였고 민국시기에는 <醒世千家诗>가 간행되기도 했다. 현재 통용되는 <천가시>모두 223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천가시]](千家詩)>의 원제목은 <分門纂類唐宋時賢千家詩選>으로 [[송]](宋)대 [[유극장]](劉克藏)이 편집한 아동 계몽서이다. 세상에 많이 알려지고 쉬운 내용의 작품들이 대부분으로 아동들이 암송하기에 적절했다. 유극장의 <천가시>는 모두 22권  약 천 이백여 수의 시가 수록되었으며 내용이 번잡하고 중복된 것이 많았다. 이에 [[남송]](南宋)의 [[사방득]](謝枋得)이 칠언절구와 칠언율시 123수를 추려내어 <重定千家诗>편집했다. 명대의 <천가시>는 유극장본과 사방득본 두 가지가 통용되었다. 청대 왕상(王相)이 오언절구와 오언율시 각 40여편을 추려내어 <오언천가시>를 편집하였고 이때부터 <천가시>는 [[맹호연]]의 “春眠不觉晓”부터 시작되었다. <천가시>에 수록된 시는 대부분 당송시대의 명시들로서 <[[삼자경]](三字经)>,<[[백가성]](百家姓)>, <[[천자문]](千字文)>과 함께 "三百千千”이라 불리며 당시 민간에서 가장 널리 통용된 계몽서로 사용되었다. 강희 45년(1706년) 조인(曹寅)이 간행한 <楝亭十二种>에 “后村先生编集”이라는 제목으로  <分门纂类唐宋时贤千家诗选> 12권이 수록되었고 이를 〈时令〉、〈节候〉、〈气候〉、〈昼夜〉、〈百花〉、〈竹木〉、〈天文〉、〈地理〉、〈宫室〉、〈器用〉、〈音乐〉、〈禽兽〉、〈昆虫〉、〈人品〉의 14개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청대에는 또한 <國朝千家詩>,<續千家詩>등에서 청대 시인의 작품만을 수록하였고 민국시기에는 <醒世千家詩>가 간행되기도 했다. 현재 통용되는 <천가시>에는 모두 223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2016년 2월 14일 (일) 14:43 판

<천가시(千家詩)>의 원제목은 <分門纂類唐宋時賢千家詩選>으로 (宋)대 유극장(劉克藏)이 편집한 아동 계몽서이다. 세상에 많이 알려지고 쉬운 내용의 작품들이 대부분으로 아동들이 암송하기에 적절했다. 유극장의 <천가시>는 모두 22권 약 천 이백여 수의 시가 수록되었으며 내용이 번잡하고 중복된 것이 많았다. 이에 남송(南宋)의 사방득(謝枋得)이 칠언절구와 칠언율시 123수를 추려내어 <重定千家诗>로 편집했다. 명대의 <천가시>는 유극장본과 사방득본 두 가지가 통용되었다. 청대 왕상(王相)이 오언절구와 오언율시 각 40여편을 추려내어 <오언천가시>를 편집하였고 이때부터 <천가시>는 맹호연의 “春眠不觉晓”부터 시작되었다. <천가시>에 수록된 시는 대부분 당송시대의 명시들로서 <삼자경(三字经)>,<백가성(百家姓)>, <천자문(千字文)>과 함께 "三百千千”이라 불리며 당시 민간에서 가장 널리 통용된 계몽서로 사용되었다. 강희 45년(1706년) 조인(曹寅)이 간행한 <楝亭十二种>에 “后村先生编集”이라는 제목으로 <分门纂类唐宋时贤千家诗选> 12권이 수록되었고 이를 〈时令〉、〈节候〉、〈气候〉、〈昼夜〉、〈百花〉、〈竹木〉、〈天文〉、〈地理〉、〈宫室〉、〈器用〉、〈音乐〉、〈禽兽〉、〈昆虫〉、〈人品〉의 14개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청대에는 또한 <國朝千家詩>,<續千家詩>등에서 청대 시인의 작품만을 수록하였고 민국시기에는 <醒世千家詩>가 간행되기도 했다. 현재 통용되는 <천가시>에는 모두 223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