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ChineseWiki
Leem3650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6월 24일 (일) 16:56 판 (정치사상)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비자

출생 B.C 280
사망 B.C 233
관련 활동 법가


한비자는 전국 시대 말기에 활약한 법가 사상가이다. 그는 현실적이고도 엄격한 법률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사상을 펼쳤다. 그의 정치이론은 진(秦)나라와 한(漢)나라가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한비자는 한나라의 왕족으로 태어났으며 순자에게 배웠다. 그는 한나라에서 왕에게 자주 충언을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한비자는 그의 능력을 진(秦)나라의 정(政)에게 인정받아 진나라로 초대받았으나 이사(李斯)에게 시기로 음모를 받아 죽게된다.

일생

한비(기원전 약 280년 - 233년)는 전국시대 한나라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그의 출생 연대는 불분명하며, 청년 시절을 어떻게 보냈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없다. 그는 유년시절을 옛 정나라의 수도에서 보냈다. 그는 정나라에서의 경험을 『한비자』에 담기도 한다. 정나라 사람들은 논쟁을 즐겨 이를 이론화하고 따라서 현실을 망각하기 일쑤였는데, 어렸을 때를 정나라에서 보냈던 한비 또한 정나라 사람의 기질을 물려받는다. 가이즈카 시게키는 논쟁을 즐겼던 한비가 법률 지상주의 정치학에 이끌렸던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
한비는 순자에게서 사서육경을 배웠으며, 스승인 순자의 성악설에 빠져들게 된다. 그는 순자의 영향을 받아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는 당시 사회와 완벽히 반대되는 주장이었고 자신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을 짐작한 그는 속세를 떠나 산으로 들어간다. 진왕 영정(진시황)은 한비를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고자 노력하며 한을 침공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그러나 한비는 순자의 제자로서 함께 공부했던 이사의 모략으로 감옥에 갇히고 49세에 자살로 삶을 끝낸다.

중심사상

인성론

한비자는 순자에게 배웠기에 순자와 마찬가지로 성악설을 주장한다. 하지만 순자의 성악설과는 다른 점이 있다. 순자는 인간은 악하나 예에 의한 교정으로 착해질 수 있다고 말한다. 악은 선으로 개조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반면에, 한비는 인성은 이익을 좋아하지만 변화할 수 없으며 이익에 대한 선호는 인간의 본능과 관련된 것이라 보았다. 한비의 성악설에서는 '성'과 '심' 모두 이익을 추구하고 이 둘은 결합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 순자의 인성론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한비는 인간을 법과 술에 의해 다스려야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본래 모두 이해 타산적이며 악한 존재이기 때문에 이해관계에 따라서만 행동한다. 도덕적 규범에 따를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을 통치하기 위해서는 강력하고 단호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강력하고 단호한 체계가 바로 법과 술이다. 한비에 따르면 악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고려하는 인간들이 모여서 하는 정치는 각자의 이익을 나열하는데 있다. 그의 인성론에는 부자유친, 군신유의 등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이해타산적인 개인만 존재할 뿐이다. 그의 정치철학은 인간을 비판적이고 냉소적으로 바라본다고 할 수 있다.

역사관

한비는 변혁을 통해 과거로 돌아가자고 주장하는 복고주의를 반대했다. 그는 생산 발전과 인구 증가에 따라 인간의 관계가 변모한다고 여겼다. 그런데 극단적 성악설을 주장하는 한비는 인간의 쟁탈심리를 본능적인 욕구에서 찾지 않았다. 그는 경제적 요인, 인구의 증가 등에서도 그 요인을 찾았다. 또한, 한비는 역사가 흐르고 시대가 변화하면서 그에 맞추어 정치 역시 변해야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러한 사상은 당시 사회의 개혁에 큰 바탕이 되었다.

사회관

한비는 유가에서의 윤리를 부정적으로 보았고, 그는 자신의 생각을 국가 간의 관계에 투영시켰다. 그는 당시 사회 혼란을 초래한 원인으로 정전제에서 사전제로의 변화로 인한 경대부들의 몰락과 상호 쟁탈을 꼽았다. 그의 인성관에서 보았듯, 사람들이 상호 쟁탈하는 원인은 사리사욕을 채우려는 인간의 이기심 때문이다. 인간들이 상호 쟁탈하게끔 내버려두면 사회는 혼란의 도가니로 빠지기 십상이다. 따라서 이 쟁탈을 중간에서 조정할 중재자가 필요하다. 한비는 '법'이 상호 쟁탈의 중재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사리에 반대되는 것이 공리이고, 공리를 대표하는 것이 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비는 사리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진나라와 한비

당시 국제정세

한비의 정치사상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당시 한나라 주변의 국제정세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전국시대 말기에는 서쪽의 진나라와 북쪽의 조나라가 대립하였고, 그후에 두 국가의 장평결전에서 조나라가 패배하고 진시황이 천하 통일을 하게 된다. 당시 진나라의 파죽지세에 이웃나라인 한나라는 자연스레 위협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또 다른 이웃나라였던 위나라는 진나라의 속국이 되는 협약을 체결하게 된다. 한나라와 진나라는 국교를 체결하는데, 당시 한나라 사람들은 진나라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한비자』 제2편 「존한」에서는 한나라를 "진나라에 예속되어 조세를 납부하고 노역에 복무하기로는 어느 군현을 가릴 것이 없는 데다가, 진나라의 앞잡이가 되어 천하의 원한을 사고, 그 단물은 전부 진나라에 빨려 들어간다"라고 묘사한다. 하지만 이러한 한나라 백성들의 개인적인 감정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는 소국이었기에 진나라의 보호를 받을 수밖에 없는 처지였다. 보호를 넘은 예속은 진나라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 한비는 이러한 상황에서 한나라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진시황과 한비

참고문헌

가이즈카 시게키, <<한비자 교양 강의>>, 이목 역, 돌베개, 2012
고재욱, 「한비자의 정치사상 연구」, 인문과학연구, 12, 2004.
위키피디아 '한비'
임건순, <<제자백가 공동체를 말하다>>, 서해문집, 2014 ISBN 978-89-74836-80-1
종청한, <<50인으로 읽는 중국사상>>, 임태홍 역, 무우수, 2007 ISBN 978-89-91334-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