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Dhaakdi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6일 (화) 20:23 판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과 금문의 降자는, 앞뒤로 놓인 두 발이 높은 산비탈(高坡)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모...)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내려갈 강.png

갑골문과 금문의 降자는, 앞뒤로 놓인 두 발이 높은 산비탈(高坡)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모양과 같다. 降의 본래 뜻은 높은 곳에서 아래를 향해 가는 것을 가리키므로, 陟(오를 척)과 대립된다. 뜻이 파생되어 착륙(降落), 줄이다(降低), (정도나 수준이)낮아지다(下降)를 가리키게 되었다. 또 뜻이 파생되어 폄하하고 억누르다(貶抑)란 뜻이 되었다. 동시에, 降자를 동사로 쓸 땐 ‘xiáng’으로 읽기도 하는데, 이 때엔 항복, 투항의 뜻으로 쓰인다.

[강림(降臨)] 도착하다 [강수(降水)] 비내리다

[강심상종(降心相從)] 자신을 억누르고 남을 따르다.

[항용복호(降龍伏虎)] 용과 호랑이를 항복하게 한다. 능력이 큼을 형용한다.

文化

설문해자에서는 “降은, 내려가는 것이다. 阜(언덕 부)를 따르고, 夅(내릴 강)의 소리다.“ 이라 풀고 있다.

降은 회의자다. 아래 그림에서 갑골문, 금문 자형을 보면 한 쪽은 흙산을 올라가는 계단 모양인 阜고, 다른 한 쪽은 두 발을 나타낸 夅다. 발로 계단을 끼고 올라 흙산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것으로써 降자의 뜻을 나타낸 것이다.

갑골문의 왼쪽 변의 阜(언덕 부)의 원래 의미는, 지세가 층층으로 중첩되어 있는 언덕이나 절벽, 낭떠러지였다. 혹은 阜를 사다리로 보기도 한다. 고대의 사다리는 나무줄기에 갈라진 틈을 파서 마치 계단처럼 오르내리기에 편리했기 때문이다. 이는 낭떠러지에 틈을 파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수단이기도 했다.[1]

아래 그림의 금문 5번을 보면, 아래에 ‘止’자가 하나 더해져 있다. 이것은 사실 발을 하나 더 덧붙인 것이다. 소전체에선 두 발의 형상이 이미 변형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예서는 이 소전체의 자형에 근거해 쓴 것이고, 이것이 현재의 자형으로 굳어졌다.

또, 이 글자에 항복의 뜻이 인신된 이유는, 고대에 적에게 항복하여 투항하는 자는 반드시 머리를 숙이고 예를 갖추어야 했기에 ‘내려오다’에서 인신되었기 때문이다.[2]

  1. 김태완, 『허신의 고뇌 창힐의 문자』, 전남대학교출판부, p.145
  2. 김태완, 『허신의 고뇌 창힐의 문자』, 전남대학교출판부, p.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