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문

ChineseWiki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금문 대우정 부분, 강왕(康王)이 귀족인 우(盂)에게 하사하고 칙서를 내린 내용

개요

금문(金文)은 주나라(周) 시기에 만들어진 상형문자로 청동기에 제작되거나 새겨진 문자를 말한다. 상나라 시기에도 족휘(族徽, 부족을 상징하는 문양)를 비롯한 문자들이 청동기에 주조되었으며 춘추전국시대에도 많은 금문이 제작되었었지만, 일반적으로 학계에서 언급하는 금문은 서주(西周) 시기의 금문을 말한다. 청동기의 대표적인 제기인 정(鼎)과 악기인 종(鐘)에 주로 새겨졌기 때문에 종정문(鐘鼎文)이라고도 부른다.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청동기 주조물에 주로 새겨졌던 금문의 특성상 내용은 주로 제왕의 업적을 기리는 기록과 관직의 임명 등을 담고 있으나 무왕(武王)의 상나라 정벌기 같은 역사적인 사건도 기록하고 있어 학술적인 연구가치가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학술적 의의로 금문은 그 형태가 갑골문과 유사하여 갑골문 해석에 여러 가지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유사한 상형문자임에도 갑골문과 금문은 서체와 내용적인 측면에서 많은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우선 갑골문 서체의 경우 칼로세긴 듯 날카롭고 각지며 가느다란 모양새이지만 금문의 서체는 더 굵고 둥글둥글한 서체이다. 또한, 동물의 뼈를 매개체로 삼았던 갑골문보다 글자 수나 내용이 더 증가하는데 모공정에 새겨진 명문은 그 자수가 491자에 달한다고 한다.

금문의 역사적 발전과정

周의 등장과 함께 태동한 금문

주나라는 현대 중국의 산시 성 지역에 있었던 국가로 일찍부터 서북부 유목민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문화적 융합력을 갖춘 나라였으나 상나라보다 문화적으로나 기술적 수준이 떨어지는 국가였다. 그러나 동이족과의 오랜 전투로 인해 피폐해진 상나라의 상황을 틈타 목야의 전투를 통해 商을 몰락시키고 중원의 지배자가 된다. 周가 商의 뒤를 이어 막 중원의 지배자가 되었을 때 가장 먼저 해결해야 됐던 문제는 바로 ‘商과의 문화적 수준차이 ’였다. 당시 주족(周族)이 사용했으리라 예상되는 문자의 수는 약 1,350여 자에 불과했지만, 상나라가 사용했던 갑골문의 수는 6,000여 자를 넘기고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역량 차이를 극복하고자 주나라의 권력층은 상나라의 지식인들을 양분하여 한쪽은 도읍지에 거주시키고 다른 한쪽은 周의 옛 근거지인 서부지역으로 이주시키면서 상나라의 문화 및 지식 역량을 흡수 전파하고자 하였다. 또한 무왕(武王)이 자신의 아버지에게 (文)이라는 시호를 붙이면서 본격적으로 무(武)의 사회에서 문(文)의 사회로 나아갈 기틀을 잡게 된다.

적국의 문자를 제국의 문자로 채택하다

역사적으로 수많은 정복자가 함락한 국가들의 언어와 문자를 바꾸고자 하였지만, 주나라의 경우 정반대로 적국인 상나라의 문자 갑골문을 공식적인 문자로 채택하였다. 그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먼저 상나라의 통치 기간이 길어 중원 주변의 국가들이 이미 갑골문 사용에 익숙해져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했다. 다른 한편으로 기존 상나라의 문자 시스템을 대체할만한 노하우와 대안이 당시의 주문화에는 없었다는 점이 가장 뼈아픈 이유였을 것이다. 갑골문을 공식 문자로 채택한 주나라의 결정은 훗날 중국이 역사적으로 분열을 반복하면서도 항상 하나의 문자와 문화를 중심으로 다시 통일될 수 있는 원심력을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비록 갑골문을 공식 문자로 채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주나라는 자신들만의 독특한 문화적 색채에 대한 창조를 시도하는데 그것이 금문이다. 상대(商代)의 갑골문이 주로 거북이의 뼈나 소의 넓적다리를 매개체로 사용하였다면, 주나라는 청동 매개체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물론 상나라 역시 청동기 문자를 사용하였지만 주로 부족의 명칭을 나타내는 표식 등에 사용하였으면 서체 또한 상형의 색채가 짙었다. 반면에 주나라의 금문은 갑골문의 상형성을 대거 부호화하였으며 갑골문의 선을 단순화하여 서체의 가변성을 높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금문은 갑골문을 계승함과 동시에 문자가 새겨지는 매개체와 글꼴 면에 있어서 갑골문과는 차별화된 문자로 발전해나가게된다. 周 시기의 금문 역시 여전히 회화적 색채를 띠지만 갑골문보다 더 규격화되고 정형화되면서 한자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볼 수 있다.

갑골문과 금문의 차이

앞서서 갑골문과 금문의 차이점을 어느 정도 언급하였지만, 이는 문자의 표면적인 형상에 관한 변화이며 더 근본적인 변화는 문자의 사용방식과 그 위상의 변화라 할 수 있겠다. 먼저 商代에 사용된 갑골문 주요 목적은 제사이며 이는 인간을 위한 도구가 아닌 신을 위한 도구였다고 볼 수 있다. 반면 금문의 경우 이 또한 제사에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권력자의 정치적 선전과 사람과 사람 또는 국가와 국가 간의 약속을 기록하는 데 중점적으로 사용되면서 신을 위해 사용되던 문자가 주나라의 금문을 기점으로 인간을 위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그 목적성의 변화가 형태의 변화보다 더 핵심적인 차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주나라의 금문이 점차 권력의 상징화 및 숭배의 대상이 되면서 초기에 갑골문을 기반으로 통일되었던 문자의 형태가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각 지역 또는 개인이 미학적인 관점에서 독창적인 문자 형태 창조를 추구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그간 문자를 통해 교류하던 지역 간의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독창적인 문자 창조의 유행은 춘추시대에 들어서면서 더욱더 가속되며, 진시황이 다시 중원을 통일하고 문자를 재정비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창조적 파괴행위 속에서도 단 한 가지의 원칙은 지켜졌는데 그것이 바로 사각형 구조라는 큰 틀의 유지이다.


[1] [2]

[3]

  1. <漢字의 역사를 따라걷다>, 김경일 저, 바다출판사
  2. 쉽게 이해하는 중국문화, 김태만, 김창경, 박노종, 안승웅, 다락원
  3.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공상철, 다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