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Hinako.K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2월 22일 (화) 13:37 판 (語源)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미쁠 부.png

“孚”는 한 아이를 손으로 잡고 있는 모양이다.''의 초문이이다. ('孚'를 '信'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가차 용법이다). [1]
설문해자》에는, “‘孚’은 알이 부화하다는 뜻이다. ‘’와 ‘’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일설에는 미쁘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𤔍’는 ‘古文(고문)’ ‘孚’자인데, ‘𣎼(呆)’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𣎼’는 ‘고문(古文)’ ‘𠈃()’자이며, ‘𠈃’는 또한 성부이다.”라고 설명된다. [2]

文化

‘孚’자에서 잡혀 있는 아이는 바로 포로이다. 옛날에는 전쟁에서 이긴 자가 왕왕 상대방의 아이들을 포로로 삼았던 것이다. 어떤 경우 갑골문은 길을 의미하는 요소를 포함하기도 했는데, 이것은 행위가 길에서 일어난 것을 나타낸다. 《역경》에는 “길에 포로들이 있다(有孚在道).”라는 구절이 있으며, 포로들이 길에 끌려나와 일을 하는 것이 보편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어린 아이는 저항할 힘이 거의 없어서 묶거나 구속할 필요가 없었으며, 도망가지 않고 일했다. 반면, 어른이는 끈 등으로 저항하지 못하게 제한할 필요가 있었는데, 갑골문 ‘’자는 끈으로 목이 감긴 성인남자 혹은 여자의 모습이다. [3]

참고문헌

  1. 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2010.
  2. 허진웅,『중국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자, 1993.
    1. 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2010, p.229
    2. 손예철,『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p.126.
    3. 허진웅,『중국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자, 1993, p.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