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瓜" 문서와 "敖" 문서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문서 사이의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文化)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오이 과.png|500픽셀|오른쪽]]
+
[[파일:거만할 오 .jpg|500px|오른쪽]]
과(瓜)는 덩굴식물의 과실을 의미하는데, 금문의 과(瓜)는 넝쿨이 갈라진 곳에 하나의 과실이 매달려 열려있는 형상과 같다. 과(瓜)의 형상이 분간하기 어렵기 때문에 (넝쿨이 얽혀있고 과실이 그 안에 파묻혀있기 때문에 -역주), 이 과(瓜)를 표현하기 위해 과실과 넝쿨을 함께 그려 넣었다.
+
“敖"은 원래 외출, 여행을 의미했다. 《说文》에서: "여행, 여정을 의미하고 나가서 쉬는것에서부터 왔다“는 회의자라고 하였다. 금문의 좌변에는 코끼리 머리 깃털 장식을 단 사람모양이 있고, 춤이나 놀이를 할 때의 복장이다. 때문에 '놀다'라는 뜻도 지니고 있다. 우변의 ”攴“자는 손에 지휘봉을 들고 있어, 이 사람은 무용의 지휘자로 의심된다. 소전 또는 《石鼓文》의 영향으로, 사람을 “方”자로 쓰고, “支”는 “放”를 구성하게 되었다. 머리 위의 깃털 장식은 “出”이 되었다. 그래서 "出의 의미를 가지고 放의 발음이 나게 된 것"이라는 설명이 있었다.<ref>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5, 1p </ref>
 +
또한 밖으로 나가는 것이 바깥으로 내쫓기는 것으로 연결되어 내쫓길 정도의 사람이란 뜻으로, 태도가 오만함을 말했고, 이로부터 ‘굽히지 않다’는 뜻까지 나왔다. <ref>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457 </ref>
  
 
==文化==
 
==文化==
외라는 뜻을 지닌 瓜는 중국에 이 식물이 오래전부터 있어왔음을 드러내 주고 있다. 갑골문에는 이 글자가 보이진 않고 있지만, 상당히 오래 전부터 이 식물에 대한 기록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고 유적으로도 남아있다. 신석기시대의 촌락인 하모도 유적지에서 호리병박의 씨앗이 발견됐다. 그리고 기원전 700년에 섬서성에는 참외가 있었음이 밝혀졌는데, 이 시기와 그 제작연대가 같은 《시경》에서도 참외가 언급되고 있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에 따르면, 기원전 2750년에 해당하는 전산양前山洋 유적지에서도 참외의 흔적이 발견됐는데, 그것이 존재했던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193</ref>
+
『한자 백 가지 이야기』에서는 다른 시각으로 어원을 풀이 하기도 한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긴 머리칼을 지닌 사람이 구타를 당함에도 굴하지 않는 것을 상형한 것을 敖(놀 오), 傲(거만할 오)라고 보았다. 긴 머리칼을 지닌 사람은 때로는 장로(長老)이기도 하고 또 무축(무당,무녀)이기도 하지만 傲(오)에서의 사람은 장로를 뜻한다. 장로인 사람이 서로 말로 다투는 것을 嗷(시끄러울 오)라고 한다. <ref>시라카와 시즈카, 《漢字 백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2005, p.97 </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0년 12월 22일 (화) 17:05 기준 최신판

語源

거만할 오 .jpg

“敖"은 원래 외출, 여행을 의미했다. 《说文》에서: "여행, 여정을 의미하고 나가서 쉬는것에서부터 왔다“는 회의자라고 하였다. 금문의 좌변에는 코끼리 머리 깃털 장식을 단 사람모양이 있고, 춤이나 놀이를 할 때의 복장이다. 때문에 '놀다'라는 뜻도 지니고 있다. 우변의 ”攴“자는 손에 지휘봉을 들고 있어, 이 사람은 무용의 지휘자로 의심된다. 소전 또는 《石鼓文》의 영향으로, 사람을 “方”자로 쓰고, “支”는 “放”를 구성하게 되었다. 머리 위의 깃털 장식은 “出”이 되었다. 그래서 "出의 의미를 가지고 放의 발음이 나게 된 것"이라는 설명이 있었다.[1] 또한 밖으로 나가는 것이 바깥으로 내쫓기는 것으로 연결되어 내쫓길 정도의 사람이란 뜻으로, 태도가 오만함을 말했고, 이로부터 ‘굽히지 않다’는 뜻까지 나왔다. [2]

文化

『한자 백 가지 이야기』에서는 다른 시각으로 어원을 풀이 하기도 한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긴 머리칼을 지닌 사람이 구타를 당함에도 굴하지 않는 것을 상형한 것을 敖(놀 오), 傲(거만할 오)라고 보았다. 긴 머리칼을 지닌 사람은 때로는 장로(長老)이기도 하고 또 무축(무당,무녀)이기도 하지만 傲(오)에서의 사람은 장로를 뜻한다. 장로인 사람이 서로 말로 다투는 것을 嗷(시끄러울 오)라고 한다. [3]

  1.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5, 1p
  2.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457
  3. 시라카와 시즈카, 《漢字 백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2005, p.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