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夏" 문서와 "陶" 문서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문서 사이의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여름 하.png|500픽셀|오른쪽]]
+
[[파일:그릇도.png|500px|오른쪽]]
고문자의 夏자는 가슴을 쭉 펴고 손을 양 허리에 대고, 사지가 건장하고, 몸이 높고 크며 위풍당당한 사람의 모습이다. 본래 의미는 몸이 높고 크고 위풍당당한 사람을 가리킨다. 뜻이 확장되어 사물 가운데 큰 것을 지칭하게 되었다. <br>
+
陶의 원래 글자는 匋(도)이다. 匋의 [[갑골문]] 자형은 한 사람이 질그릇을 맨드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匋를 도자기(瓦器)라고 설명하고 있다. 匋는 또 도자기를 굽는 가마 窯()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陶자의 형태는 나중에 생겨난 것으로 <[[옥편]]>에 이 글자의 형태가 보인다.
고대 한족은 스스로를 '夏' 또는 '華夏'라고 불렀다. 중국사의 첫 왕조는 夏朝라고 부른다. 현재의 夏자는 성씨로 많이 사용된다. 夏는 또 계절 이름으로 사용되며, 春夏秋冬 사계절의 두 번째 계절이다.<ref>谢光辉, 『常用汉字图解』, 北京大学出版社, 1999, p.68</ref>
 
[[설문해자]]』에서는 夏는 중국의 사람이라고 설명한다. (夏, 中國之人也)<br>
 
[[금문]]의 夏는 남북의 두 가지 계통으로 분화되는데 북방의 글자는 갑골문의 자형을 계승하고 있지만 남방의 글자는 이와 다른 다소 복잡한 형태로 변화한다. 북방 계통의 夏자는 손과 다리에 화려한 장식을 들고 춤추는 사람의 모습이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반면 남방 계통의 夏자는 남쪽 초나라에서 사용된 글자로 여름철 기승을 부리는 벌레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 한다. <ref>李學勤 主編, 『字源』, 天津古籍出版社, p.485.</ref>
 
  
 
==文化==
 
==文化==
[[파일:갑골문 하.png|섬네일|왼쪽|100픽셀|갑골문 夏]]
+
도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것이다. 점토는 어디서나 구할 수 있는 흔한 것이지만, 인간이 불의 사용법을 발견한 지 오랜 세월이 지나서야 도기를 굽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도기는 기원전 9000년 전으로 추정되는 강서성의 선인동(仙人洞)의 것이다. 도기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는 물그릇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도기에 물을 저장하게 되면서 인간은 강 근처에서 좀더 멀리 떨어진 곳에 거주할 수 있게 되어 활동공간도 넓어지고 음식물을 찾을 새로운 기회도 늘어났을 것이다. 따라서 도기의 발명은 인간의 문명이 형성되는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구석기에서 신석기로 진입하는 계기가 도기의 발명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pp.181-182.</ref><br>
‘夏’는 ‘[[舞]]’와 함께 춤추는 모습을 가리킨다. 아마 음악 소리에 맞춰 사당 안에서 무악을 추는 모습을 표현한 것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고대의 악장에는 구하(九夏)나 소하(韶夏)처럼 夏란 글자가 들어 있는 이름이 많다. 그 춤추는 모습은 위의(威儀)가 당당(堂堂)하였던 듯하다. 그래서 夏에는 크다는 뜻이 있다. 夏冬에서처럼 ‘여름’을 뜻하는 ‘夏’로 된 것은 상당히 뒷날의 일이다.<ref>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한자-백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2005, p.162</ref><br>
+
이렇게 인간의 초기 문명에서부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도기 관련 글자가 [[갑골문]]에 보이지 않는 것은 이상하다. [[금문]]에 보이는 匋자의 모습은 한 사람이 나무막대기 모양의 도구를 잡고 도자기를 빚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
서주시기 [[금문]]에서는 陶가 씨족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br>
‘夏’에 대한 또다른 해석은 무당이 비오기를 기원하면서 춤을 추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옛날에는 오늘날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가뭄이 자주 들었기에 당시에는 기우제가 일상적인 행사였다. 이를 통해 그만큼 옛 고대인들에게 있어서 가뭄이란 더없이 무서운 자연 재앙이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가뭄이 들면, 흙으로 용을 만들어 황하에 바치기도 했고, 하늘에 제물로 드리기 위해 산사람을 불에 태우기도 했으며, 무당을 불러 기우제를 지내기도 했다. 그래서 이러한 모습으로 ‘여름’이라는 계절의 이름을 삼았던 것이다.<ref>하영삼, 『문화로 읽는 한자』, 동방미디어, 1997, p.260</ref><br>
 
 
 
‘夏’가 사용된 것을 살펴보면, 立夏와 夏至, 疰夏가 있다. 立夏는 봄철이 끝나고 여름이 시작되는 절기로 양력 5월 5~7일 전후를 나타내는 단어이며, 夏至는 양력 6월 21~22일 전후로 북반구에서는 1년 중 낮이 가장 긴 절기를 가리켰다. 疰夏는 더위 먹음을 나타내고 하위증이라고도 불렸다.<ref>이돈주, 『한자‧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p.338-347</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1년 2월 2일 (화) 17:30 판

語源

그릇도.png

陶의 원래 글자는 匋(도)이다. 匋의 갑골문 자형은 한 사람이 질그릇을 맨드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匋를 도자기(瓦器)라고 설명하고 있다. 匋는 또 도자기를 굽는 가마 窯(요)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陶자의 형태는 나중에 생겨난 것으로 <옥편>에 이 글자의 형태가 보인다.

文化

도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것이다. 점토는 어디서나 구할 수 있는 흔한 것이지만, 인간이 불의 사용법을 발견한 지 오랜 세월이 지나서야 도기를 굽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도기는 기원전 9000년 전으로 추정되는 강서성의 선인동(仙人洞)의 것이다. 도기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는 물그릇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도기에 물을 저장하게 되면서 인간은 강 근처에서 좀더 멀리 떨어진 곳에 거주할 수 있게 되어 활동공간도 넓어지고 또 음식물을 찾을 새로운 기회도 늘어났을 것이다. 따라서 도기의 발명은 인간의 문명이 형성되는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구석기에서 신석기로 진입하는 계기가 도기의 발명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1]
이렇게 인간의 초기 문명에서부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도기 관련 글자가 갑골문에 보이지 않는 것은 이상하다. 금문에 보이는 匋자의 모습은 한 사람이 나무막대기 모양의 도구를 잡고 도자기를 빚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서주시기 금문에서는 陶가 씨족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1. 허진웅, 『중국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pp.18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