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6년 9월 5일 (월) 22:32 (차이 | 역사) . . (+2,376) . . 새글 卜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대 사람들은 미신적이어서,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점을 쳐 예견하려고 했다. 중국에서 미...)
- 2016년 9월 5일 (월) 22:32 (차이 | 역사) . . (-1) . . 删
- 2016년 9월 5일 (월) 22:32 (차이 | 역사) . . (+2,105) . . 새글 删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사람들이 죽간에 붓으로 글을 쓰다가 잘못 쓰면, 잘못 쓴 글자를 칼로 긁어냈다. 이것이 刪이...)
- 2016년 9월 5일 (월) 22:31 (차이 | 역사) . . (+1,452) . . 새글 典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에서 典은 두 손에 책이 들려 있는 형상이었었는데, 금문과 후기 전서에서 탁자 위에 책이...)
- 2016년 9월 5일 (월) 22:30 (차이 | 역사) . . (+2,916) . . 새글 册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 중국 사회에서는 기록을 위해 주로 죽간, 즉 대나무 조각을 이용했다. 그...)
- 2016년 9월 5일 (월) 19:39 (차이 | 역사) . . (+2,632) . . 새글 画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과 금문에서 '画'는 사람이 붓으로 X 자를 그리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9:37 (차이 | 역사) . . (+2,567) . . 새글 笔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笔는 필기도구를 의미한다. 중국에서 처음 알려진 필기도구는 毛笔로 알려진 붓이다. 고고학 유...)
- 2016년 9월 5일 (월) 19:36 (차이 | 역사) . . (+2,256) . . 새글 君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君은 尹과 口로 이루어져 있는데, 尹은 손에 막대기를 쥐고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지시하는 것...)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9:35 (차이 | 역사) . . (+1,795) . . 새글 尹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尹은 표의 문자이다. 고대 문자에서, 尹는 사람이 손에 왕권의 상징인 지팡이를 들고 있는 모...)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9:34 (차이 | 역사) . . (0) . . 業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9:34 (차이 | 역사) . . (+1,621) . . 새글 業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业은 고대의 악기 틀에 장식 되어진 큰 판으로, 톱날과 같은 형태로 새겨져 있으며 종이나 북,...)
- 2016년 9월 5일 (월) 17:23 (차이 | 역사) . . (+1,494) . . 새글 磬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경(磬)’은 일종의 고대 타악기로 옥, 돌 혹은 금속을 가지고 재료를 삼은 것으로, 형상이 곱...)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22 (차이 | 역사) . . (+1,262) . . 새글 庚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초기 갑골문과 초기 금문의 ‘경(庚)’자의 형태에서부터 보면, ‘경’은 양 변에 추가 매달려 있...)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21 (차이 | 역사) . . (+1,628) . . 새글 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琴)’은 고대 현악기이다. 소전의 ‘금’자는 이런 종류의 악기의 한쪽 끝을 측면에서...)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20 (차이 | 역사) . . (+2,943) . . 새글 樂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상고시대의 현악기는 틀림없이 비교적 간단한 모양이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순이 5개의 현...)
- 2016년 9월 5일 (월) 17:19 (차이 | 역사) . . (+1,748) . . 새글 龢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문자의 ‘화(龢)’자는 왼쪽에는 여러 가닥의 죽관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퉁소의 형태를 상형...)
- 2016년 9월 5일 (월) 17:18 (차이 | 역사) . . (+1,707) . . 새글 喜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희(喜)’자는 하나의 ‘구(口)’ 형태 받침대 위에 설치한 큰 북의 형상을 상형한...)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17 (차이 | 역사) . . (+1,771) . . 새글 彭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금문의 ‘팽(彭)’자는 왼쪽에는 서있는 북의 형태이고, 오른쪽은 몇 점의 북소리 음파...)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16 (차이 | 역사) . . (+2,531) . . 새글 鼓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鼓)’는 원기둥 형태로 가운데는 비어있으며, 양 끝은 겉가죽으로 덮인 타악기이다. 고대의...)
- 2016년 9월 5일 (월) 17:14 (차이 | 역사) . . (+1,175) . . 새글 因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인(因)’은 ‘깔개(茵)’의 원래 글자이다. 고문자의 ‘인’자는 한사람이 얼굴을 위로 향하...)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14 (차이 | 역사) . . (+1,479) . . 새글 席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석(席)’은 일종의 갈대, 부들, 대오리 등으로 짜서 완성한 앉거나 눕는 요의 용구이다. 《설...)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13 (차이 | 역사) . . (+1,468) . . 새글 牀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의 ‘상(床)’은 사람이 앉거나 눕는 것을 제공하는 도구를 말한다. 갑골문의 ‘상’자는...)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12 (차이 | 역사) . . (+2,250) . . 새글 處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의 ‘처(處)’자는 한사람이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 앉아 있는 형태를 상형한 것이다. 혹은 虎...)
- 2016년 9월 5일 (월) 17:11 (차이 | 역사) . . (+1,321) . . 새글 几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에는 책걸상이 없어서, 사람들은 땅바닥에 앉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었다. 항상 자리 옆에...)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10 (차이 | 역사) . . (+1,436) . . 새글 實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설문해자> : “실(實), 부유한 것이다.” 금문의 ‘실(實)’자는 집(宀)과 밭(田)과 조개(貝)를...)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09 (차이 | 역사) . . (+1,657) . . 새글 負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소전의 ‘부(負)’자는 사람과 조개를 따른다. 조개는 재산의 상징이었으며, 사람이 재산이 있으...)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08 (차이 | 역사) . . (+2,078) . . 새글 買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문자의 ‘매(買)’자는 그물과 조개를 따르며, 그물을 사용하여 조개를 얻는다는 뜻이다. 조개...)
- 2016년 9월 5일 (월) 17:07 (차이 | 역사) . . (+1,181) . . 새글 貯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저(貯)’는 회의자로, 갑골문의 ‘저’자는 조개를 상자궤짝 속에 간직하는 것을 상형했다...)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07 (차이 | 역사) . . (+1,738) . . 새글 嬰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조개는 고대에 일종의 매우 얻기 힘든 진귀한 물건이었다. 화폐로 사용한 것 외에, 부녀자...)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06 (차이 | 역사) . . (+1,844) . . 새글 得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조개는 상고시대에 진귀하고 얻기 힘든 물건이었는데, 후에 화폐로 사용되었다. 갑골문의 ‘득...)
- 2016년 9월 5일 (월) 17:05 (차이 | 역사) . . (+2,079) . . 새글 朋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에는 조개 5장을 하나의 한 괘(挂)로 삼고, 2개의 괘는 하나의 ‘붕’이었다. 갑골문, 금문 중...)
- 2016년 9월 5일 (월) 17:03 (차이 | 역사) . . (+2,335) . . 새글 貝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贝’는 갑각 연체동물의 총칭이지만, 고대에는 주로 바다조개를 가리킨다. 갑골문, 금문의...)
- 2016년 9월 5일 (월) 17:02 (차이 | 역사) . . (+1,238) . . 새글 班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문자의 ‘班’은 칼이 2개의 옥 사이에 있는 모습을 상형한 것으로, 옥돌을 나누는 뜻을 나타낸...)
- 2016년 9월 5일 (월) 17:01 (차이 | 역사) . . (+1,940) . . 새글 寶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에는 옥기가 일종의 매우 희귀하고 진귀한 물건이었다. 또한 조개껍데기는 교환할 수 있는...)
- 2016년 9월 5일 (월) 17:00 (차이 | 역사) . . (-5) . . 弄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7:00 (차이 | 역사) . . (+2,179) . . 새글 弄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문자의 '弄'은, 두 손으로 옥을 받들어 보고 감상하는 모습을 상형한 것이다. 기본 뜻은 옥...)
- 2016년 9월 5일 (월) 16:56 (차이 | 역사) . . (+2,072) . . 새글 共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共'은 '拱(둘러싸다)'와 '供(바치다)'의 원래 글자이다. 초기금문의 '共'은, 사람이 두 손으로 한...)
- 2016년 9월 5일 (월) 14:31 (차이 | 역사) . . (+2,110) . . 새글 圭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규(圭)는 고대에 제왕, 제후가 예절과 예식을 거행할 때 손에 집어 들었던 일종의 옥기이다. 이것...)
- 2016년 9월 5일 (월) 14:29 (차이 | 역사) . . (+4,848) . . 새글 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에서 옥은 귀한 옥들이 노끈에 연속하여 꿰어져 있는 형상을 나타낸다. 본래 의미는 옥...)
- 2016년 9월 5일 (월) 14:27 (차이 | 역사) . . (+2,160) . . 새글 俞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에서 유(兪) 자는 왼쪽에는 배가 있고 오른쪽에는 날카로운 끌을 형상화한 것이 있어...)
- 2016년 9월 5일 (월) 14:26 (차이 | 역사) . . (+4,616) . . 새글 舟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과 금문의 배(舟) 글자는 작은 목선(木船)의 평범한 형상이고, 주된 의미는 곧 배를 뜻한다....)
- 2016년 9월 5일 (월) 14:25 (차이 | 역사) . . (+2,120) . . 새글 轟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굉(轟)자는 세 대의 수레로 구성되어 많은 수레가 질주하고 와르르 큰 소리를 낸다는 의미이...)
- 2016년 9월 5일 (월) 14:24 (차이 | 역사) . . (0) . . 輦
- 2016년 9월 5일 (월) 14:24 (차이 | 역사) . . (+2,510) . . 새글 輦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에서 輦(련) 글자는, 두 사람이 수레를 끄는 모양이고, 기본적으로 사람이 수레를 끄는...)
- 2016년 9월 5일 (월) 14:23 (차이 | 역사) . . (+3,095) . . 새글 車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수레(車)는 바퀴를 가지고 길을 달리는 교통 운송 수단을 나타낸다. 갑골문과 금문의 수레 글자...)
- 2016년 9월 5일 (월) 14:21 (차이 | 역사) . . (+2,454) . . 새글 族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에는 동일한 씨족과 종족의 사람들은 혈연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군사조직이나...)
- 2016년 9월 5일 (월) 14:20 (차이 | 역사) . . (+2,461) . . 새글 游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에 중요한 옥외행사나 군사행동 모두는 깃발과 북이 사용되어야 사기를 높이고 규모의...) (최신)
- 2016년 9월 5일 (월) 14:18 (차이 | 역사) . . (+1) . . 旅
- 2016년 9월 5일 (월) 14:17 (차이 | 역사) . . (+2,650) . . 새글 旅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에 전쟁을 위해 출정할 때 먼저 장군과 병사들을 깃발 아래 소집하여 왕의 훈령을 낭독하...)
- 2016년 9월 5일 (월) 14:15 (차이 | 역사) . . (+4,404) . . 새글 中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 중국에서 깃발은 '유(斿)'로 알려진 여러 개의 띠로 구성되었다. 띠가 많은 것도 있고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