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匕는 곧 匕柶(비사)로, 고대에는 음식물을 떠먹는 데 사용한 기구이다. 손잡이가 구부러진 얕은...)
 
11번째 줄: 11번째 줄:
 
    
 
    
 
이 글자가 ‘사람’과 관련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지금 통용되고 있는 의미는 ‘숟가락, 칼’ 등이기 때문이다. 숟가락과 관련된 匙(시)・旨(지) 등에 쓰이고, ‘비수(匕首)’라는 단어에도 등장한다. 比의 경우 좀 억지스럽지만 ‘사람’이 아닌 ‘숟가락’이어도 ‘나란하다’는 의미는 이끌어낼 수 있다. ‘칼’의 의미는 人과 비슷했던 刀(도)의 변형이 비슷한 모양의 匕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 아닐까 싶다.<ref> 이재황, 『한자의 재발견』, NEWRUN, 2008, pp.180-181</ref>  
 
이 글자가 ‘사람’과 관련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지금 통용되고 있는 의미는 ‘숟가락, 칼’ 등이기 때문이다. 숟가락과 관련된 匙(시)・旨(지) 등에 쓰이고, ‘비수(匕首)’라는 단어에도 등장한다. 比의 경우 좀 억지스럽지만 ‘사람’이 아닌 ‘숟가락’이어도 ‘나란하다’는 의미는 이끌어낼 수 있다. ‘칼’의 의미는 人과 비슷했던 刀(도)의 변형이 비슷한 모양의 匕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 아닐까 싶다.<ref> 이재황, 『한자의 재발견』, NEWRUN, 2008, pp.180-181</ref>  
 +
 +
또 발음과 글자 모양을 함께 고려해 볼 때 丂(교)나 邑(읍), 厶(사)같은 글자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 발음이 비슷한 것은 匕・丂・邑・厶에서 파생된 글자들의 발음 분포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匕의 형태는 邑의 머리 부분을 대폭 간략히 해서 삐침 하나[丿]로 나타냈다고 볼 수 있으며, 匕의 乚 부분의 꼬리를 아래로 늘어뜨리면 丂와 같아진다. 厶는 ‘개인’을 뜻하는 私(사)의 본래 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런 추상적인 의미로 厶가 만들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厶에 의미 요소 禾(화)를 붙여 만든 파생자가 私인 것이다. 厶에서 파생된 글자들의 발음 범위는 匕에서 파생된 글자들의 발음 범위와 대체로 일치하며, 형태상으로도 匕와 비슷하다. (匕의 오른쪽 삐침을 방향만 반대로 해보면 厶자가 된다.) 따라서 匕은 厶와 같은 글자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ref> 이재황, 『한자의 재발견』, NEWRUN, 2008, p.182</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6년 9월 6일 (화) 00:25 판

語源

비수 비.png

匕는 곧 匕柶(비사)로, 고대에는 음식물을 떠먹는 데 사용한 기구이다. 손잡이가 구부러진 얕은 말[斗]이며, 오늘날의 숟가락과 같다. 갑골문과 금문의 匕 자는 숟가락의 형상이다. 이 자형은 妣(비)와 더불어 사람의 형상과 매우 유사했기 때문에 서로 뒤섞이게 되었으며, 소전의 匕 자는 곧 사람의 반대 형상으로 잘못 바뀌게 되었다.

[匕首] 단검

[匕箸] 숟가락과 젓가락

文化

比(비)・北(북)・化(화) 등의 오른쪽 부분은 지금 匕라는 별도의 글자로 인정되고 있다. 匕는 人의 변형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발음이 문제다. 人과는 연결 짓기 어려운 발음이다. 匕는 소전체 단계에서 두 개의 글자로 나타난다. 하나는 比의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비’ 음의 글자고, 다른 하나는 化의 본래 글자라 해서 ‘화’ 음을 가진 글자다. 소전체는 이 둘을 조금 다르게 그려놓았다. 그래서 지금도 삐침이 세로선 밖으로 튀어나온 것은 ‘화’고 그렇지 않은 것은 ‘비’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원래 같은 뿌리에서 출발한 두 글자를 굳이 구분해야 할 이유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실적으로도 이미 활자조차 합쳐졌기 때문에 이를 나누어 가르치고 배우는 일이 불가능해졌다.

이 글자가 ‘사람’과 관련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지금 통용되고 있는 의미는 ‘숟가락, 칼’ 등이기 때문이다. 숟가락과 관련된 匙(시)・旨(지) 등에 쓰이고, ‘비수(匕首)’라는 단어에도 등장한다. 比의 경우 좀 억지스럽지만 ‘사람’이 아닌 ‘숟가락’이어도 ‘나란하다’는 의미는 이끌어낼 수 있다. ‘칼’의 의미는 人과 비슷했던 刀(도)의 변형이 비슷한 모양의 匕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 아닐까 싶다.[1]

또 발음과 글자 모양을 함께 고려해 볼 때 丂(교)나 邑(읍), 厶(사)같은 글자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 발음이 비슷한 것은 匕・丂・邑・厶에서 파생된 글자들의 발음 분포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匕의 형태는 邑의 머리 부분을 대폭 간략히 해서 삐침 하나[丿]로 나타냈다고 볼 수 있으며, 匕의 乚 부분의 꼬리를 아래로 늘어뜨리면 丂와 같아진다. 厶는 ‘개인’을 뜻하는 私(사)의 본래 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런 추상적인 의미로 厶가 만들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厶에 의미 요소 禾(화)를 붙여 만든 파생자가 私인 것이다. 厶에서 파생된 글자들의 발음 범위는 匕에서 파생된 글자들의 발음 범위와 대체로 일치하며, 형태상으로도 匕와 비슷하다. (匕의 오른쪽 삐침을 방향만 반대로 해보면 厶자가 된다.) 따라서 匕은 厶와 같은 글자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2]

  1. 이재황, 『한자의 재발견』, NEWRUN, 2008, pp.180-181
  2. 이재황, 『한자의 재발견』, NEWRUN, 2008, p.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