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乃"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500픽셀|오른쪽)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語源==
 
[[파일:이에내.png|500픽셀|오른쪽]]
 
[[파일:이에내.png|500픽셀|오른쪽]]
 +
상형자 이다. 자원에 대해서는 낫처럼 생긴 수확도구를 그렸다는 등 설이 분분하지만, 선 사람의 측면 모습에 유방을 돌출시킨 모습으로 해석하여,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사람의 모습을 그렸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후 발어사나 이인칭 대명사로 가차되어 쓰이게 되자, 원래 뜻을 나타내는 女(계집 녀)를 더한 奶(젖유모 내)를 만들어 분화했다.
 +
乃(이에 내)에 子(아이 자)가 더해진 孕 (아이벨 잉)은 뱃속에 아이가 든 모습을 그렸다. 달리 廼(이에 내)와 통용하기도 한다. 또한 갑골문의 형태가 너무 단순해서 원래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지 조차 알아보기 힘들다는 설도 있다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3</ref>
 +
 +
==文化==
 +
乃는 먹는 것이 가장 중요했던 고대의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지어 벼 이삭이 펴오른 모양을 한자로 나타낸 것이라는 해석이 존재한다. 먹는 것이 충족되지 않고서는 그 어떤 재물(富)도 의미가 없다는 당시 문화가 잘 드러나고, 이에 따라 벼이삭이 한꺼번에 패오르고 풍년을 예감하고 온 나라가 감탄하는 의미인 秀(빼어날 수)가 생겨나게 되었다.<ref>조선탁, 『중국어 한자의 어원』, 지식과교양, 2011</ref>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6년 12월 25일 (일) 23:38 기준 최신판

語源

이에내.png

상형자 이다. 자원에 대해서는 낫처럼 생긴 수확도구를 그렸다는 등 설이 분분하지만, 선 사람의 측면 모습에 유방을 돌출시킨 모습으로 해석하여,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사람의 모습을 그렸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후 발어사나 이인칭 대명사로 가차되어 쓰이게 되자, 원래 뜻을 나타내는 女(계집 녀)를 더한 奶(젖유모 내)를 만들어 분화했다. 乃(이에 내)에 子(아이 자)가 더해진 孕 (아이벨 잉)은 뱃속에 아이가 든 모습을 그렸다. 달리 廼(이에 내)와 통용하기도 한다. 또한 갑골문의 형태가 너무 단순해서 원래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지 조차 알아보기 힘들다는 설도 있다 [1]

文化

乃는 먹는 것이 가장 중요했던 고대의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지어 벼 이삭이 펴오른 모양을 한자로 나타낸 것이라는 해석이 존재한다. 먹는 것이 충족되지 않고서는 그 어떤 재물(富)도 의미가 없다는 당시 문화가 잘 드러나고, 이에 따라 벼이삭이 한꺼번에 패오르고 풍년을 예감하고 온 나라가 감탄하는 의미인 秀(빼어날 수)가 생겨나게 되었다.[2]

  1.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3
  2. 조선탁, 『중국어 한자의 어원』, 지식과교양,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