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인물 정보 |이름 = 유령(劉伶) |그림 = 오기.jpg |본관 = 패국 |출생 = |사망 = BC381년 |생존 시대 = 위진시대 |자 = 백륜伯伦 }} ==개요==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인물 정보
 
{{인물 정보
 
|이름 = 유령(劉伶)
 
|이름 = 유령(劉伶)
|그림 = 오기.jpg
+
|그림 = 유령_프로필.PNG
 
|본관 = 패국
 
|본관 = 패국
 
|출생 =  
 
|출생 =  
11번째 줄: 11번째 줄:
  
 
==개요==
 
==개요==
:*기원전 440년경 동방 위나라 좌씨현에서 넓은 농지를 가진 부농의 아들로 태어났고, 어린 시절부터 골목대장으로서 동네 아이들을 이끌었다. 그는 정계에 진출하기를 원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고향 위나라를 떠나 [[노나라]]로 향한다.  
+
:유령(???~???), 자는 백륜, 패국(오늘날 안휘성 회북)사람이다. 위진시기 명사이며, 유달리 술을 좋아하였고 호탕한 음주 습관을 갖고 있어서 ‘술을 좋아하는 제후(醉侯)’라고 불렸다. 노장 사상에 밝았으며 완적(阮籍)•혜강(嵆康)•산도(山濤)•향수(向秀)•완함(阮咸)•왕융(王戎)과 함께 죽림칠현이라 불렸다. 또한 죽림칠현 중 가장 낮은 사회지위를 가진 인물이었다. 유령은 일찍이 왕융 막부에서 건위장국을 지냈다. 무위이치(无为而治)를 통치이념으로 강력히 제창하였으나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해서 해직되었다. 태시泰始(진무제晋武帝연호)2년에 조정에서 다시 유령에게 관직을 주었지만 유령은 이를 거절하고 여생을 누린 후 죽었다. 현존하는 유령의 작품은 <주덕송(酒德颂)>과 <북망객사시(北芒客舍诗)> 두 편뿐이다. 이 작품들은 위진시대 명사들의 현학에 대한 숭상과 퇴폐에 대한 부정적인 정신세계를 잘 반영 하였다. 동시에 명교(名教) 예법에 대한 멸시와 자연을 향한 열망을 잘 표현 하였다. 후대에 이르러 유령은 예법에 대한 멸시와 술로써 세상을 외면하는 전형적인 인물이 되었다.
*노나라에서 그의 스승인 증자를 만나 그에게 유학을 배웠고, 스승의 주선으로 [[제나라]] 대부의 딸과 결혼한다. 그는 뛰어난 실력을 바탕으로 노나라의 장수가 되었지만, 다른 장군들의 시기를 받아 죽을 위기에 처하고, 위나라로 발걸음을 옮기게 된다.
 
*그는 위나라에서 인생 군주 위문후를 만나 그의 총애를 받았고, 진나라를 제압하는 등 큰 활약을 펼치었다. 그러나 위문후가 죽은 뒤 왕위에 오른 그의 아들 위무후로부터는 미움을 받았다. 그는 또 죽을 위기에 처할 뻔하다 초나라로 발걸음을 옮기게 된다.  
 
*초도왕의 환대를 받으며 그는 재상 자리에 올라 변법과 개혁으로 나라의 기틀을 잡고 군사력을 키웠으나, 초도왕이 죽은 직후에 자신을 시기한 귀족 세력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그가 죽은 뒤 제자들이 펴낸 [[오자병법]]은 손자의 손자병법에 버금가는 최고의 병법서로 남았다.
 
  
  
 
==생애==
 
==생애==
===어린 시절===
+
===세속에 구애 받지 않고 마음대로 살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비범함과 총명함을 자랑하였다. 당시 오기가 살던 마을의 공식 잔소리는 “오기 좀 본받거라!”였다. 청소년 시절 그는 병법을 공부해야 입신양명할 수 있다는 말을 들었고, 이에 온갖 병법서를 독파하였다. 또한, 이론만으론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무술 또한 공부하였다. 성인이 되어 정계에 진출하려 했으나 뜻대로 잘 안 되었다. 오기는 돈 많은 대감에게 돈을 바치기 시작하였고, 가산을 탕진해버리고 말았다. 그의 행동에 충격을 받은 아버지는 화병이 심하게 도지었고 “아들아 재상이 되어라!” 라는 유언을 남긴 채 죽게 된다. 그는 사람들로부터 “가산을 탕진하고, 아버지 목숨마저 빼앗았구나!”라고 조롱을 듣게 된다. 어느 날 그는 어떤 이들로부터 도가 지나친 비난을 듣게 되고, 분함에 그들을 살해하고 만다. 살해자로 쫓기는 삶을 살던 오기는 어머니께 아버지의 유언대로 재상이 되어 돌아오겠다는 말을 남긴 채 고향 위나라를 떠났다.
+
유령은 키가 6척(150cm미만)이었고 외모는 매우 추했고 성격은 건방졌다. 항상 우주와 만물을 조합하는 것에 뜻을 두었다. 사람과 교류하지 않았으며 과묵했고 세상 일에는 관심이 없었다. 오직 완적, 혜강하고만 교류하였다. 유령은 그들과 만날 때만 얘기하고 웃었고 재산이 있고 없고를 따지지 않고 의견이 매우 일치한 그들과 함께 산수를 즐겼다.  
  
===노나라의 오기===
+
===관직을 거절하다===
====증자의 제자가 되어 유학을 배우다====
+
진시황 초년, 유령은 왕위 막부 아래서 건위장군을 지냈다. 진(晋)나라가 건립된 후에는 치국의 방법으로 무위이치(无为而治)을 강력히 주장했다. 그러나 동년배가 매우 우수하여 높은 지위로 오르는데 오직 유령만 아무런 성과가 없자 관리직을 관두었다.  
[[노나라]]에 도착한 오기는 [[공자]]의 유명한 제자인 증자를 만나 그에게 [[유학]]을 배우게 된다. 그는 공부에 집중하며 고향에서의 악몽으로부터 차츰 벗어나기 시작했고, 스승의 중매로 제나라 대부의 딸과 결혼하였다. 행복한 순간이 이어지던 어느 날, 오기는 고향에서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지만, 재상이 되기 전까지 고향에 돌아가지 않겠다는 어머니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고향에 찾아가지 않았다. 효성이 지극하기로 후대에까지 그 명성이 자자한 증자는 불효막심한 오기를 문하에서 쫓아내 버렸다.
 
====노나라의 장군이 되다====
 
스승에게 쫓겨난 뒤 오기는 노나라의 병학, 즉 [[묵가]]의 학문을 배우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오기가 병법에 능하다는 사실이 노나라 왕의 귀에 들어갔고, 그는 오기에게 벼슬을 주었다. 오기에게 노나라 군대의 첫인상은 한심함 그 자체였다. 그들은 군사라고 부르기가 부끄러울 정도로 기강이 빠져 있었고 훈련 또한 제대로 되어있지 않았다. 오기는 이들이 이렇게 된 데에는 이들이 [[제나라]] 군사로부터 거듭해서 패배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강도 높은 군사훈련을 시작하였고, 그 또한 그 훈련에 참여하였다. 또한 항상 군사들을 챙기며 살피니 병사들은 그를 믿고 따르기 시작하였다. 그러던 중 노나라 앞에 제나라와의 전면전이 닥치게 되었고, 조정에선 누가 전쟁의 지휘관이 될 것인지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이때 오기는 아내가 제나라 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지휘관이 되지 못할 위기에 처했고, 이에 아내를 죽이게 된다. 아내가 된 그는 총사령관이 되어 업적을 세웠으나, 주위 사람들의 시기와 질투로 인해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되고 노나라를 떠나 위나라로 거처를 옮기기로 한다.
 
  
===위나라의 오기===
+
==인물 사상==
====태수 대장군에 임명되다====
+
유령은 노장사상을 즐겨 공부했으며 생활에서는 예법에 구애되지 않았고 항상 술을 즐겼으며 심지어 술병이 생기는 경지에 이르렀다. 세속에 구애 받지 않고 음주를 즐겼으며 이치와 도리를 뛰어 넘는 일을 만들어 냈다. 술을 빌러 세상을 외면하는 것과 같았으며 ‘반은 취하고 반은 깨어 있는’ 혜강, 완적과 같은 인물보다 더 세상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인물이었다. 그가 술을 좋아하는 모습은 완전히 자신의 행위를 통해서 표현 되었다. 진무제 초년에 조정의 치국에 대한 물음에 대해 무위이치(无为而治)강하게 주장하였고 집권자들에게 자신이 불필요한 존재로 인식되게 하였다. 유령은 자신의 작품인 <주덕송>의 ‘오직 술 마시는 것을 일로 삼으니 어찌 다른 일을 알겠는가(惟酒是务,焉知其余)?’구절과 ‘내가 죽으면 그 자리 묻어라’라고 한 말 등을 통해서 왜 자신이 술 귀신인지와 자신은 뼛속까지 자연을 숭배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무위지치 정신의 재현은 그의 인격과 반항 정신을 잘 보여주며 후대의 사람들이 유령을 예법에 대한 멸시와 술을 즐기며 세상을 외면하는 것의 전형적인 인물로 인식하게 하였다.  
오기는 부국강병의 방법을 이야기하기 위해 [[위문후]]찾아갔다. 그들의 대화는 다음과 같다.
 
  
“나는 원래 전쟁에 관한 일은 별로 좋아하지 않소.<br>“저는 겉만 보아도 그 속에 숨겨진 것을 능히 짐작할 수 있고, 지난 일을 미루어 그 앞일을 꿰뚫어볼 줄 압니다.<br>임금께서는 어찌 마음에도 없는 말씀을 하십니까?”
+
==작품==
 +
현존 하는 유령의 작품은 <북망객사北芒客舍>와 <주덕송酒德颂>이다. <북망객사北芒客舍>는 고체시이며 전체 시의 전반부 절반은 풍경을 묘사하고 있으며 나머지 후반부에서는 풍경을 보고 생긴 감정을 묘사하고 있다. 단계에 따라 구절을 적절히 배치하여 담백하고 명쾌하게 매끄럽게 시를 써내려 가면서 내재적인 운치를 잘 살렸다. <주덕송酒德颂>은 변려문이다. 문장을 가볍고 생동적으로 지었으며 작가의 의도 역시 호방하여 구애됨이 없다. 묘사가 생동적이고 재미있는 언어를 사용하였고 지나치게 꾸민 문장을 찾아 볼 수 없다. 이 작품은 위진시대 명사들의 현학에 대한 숭상과 퇴폐에 대한 부정적인 정신세계를 생동적으로 반영 하였다. 동시에 명교(名教) 예법에 대한 멸시와 자연을 향한 열망을 잘 표현 하였다.
 +
===주덕송酒德颂===
 +
有大人先生者,以天地为一朝,万朝为须臾,日月为扃牖,八荒为庭衢。行无辙迹,居无室庐,暮天席地,纵意所如。止则操卮执觚,动则挈榼提壶,唯酒是务,焉知其余?
 +
有贵介公子,缙绅处士,闻吾风声,议其所以。乃奋袂攮襟,怒目切齿,陈说礼法,是非锋起。先生于是方捧罂承槽,衔杯漱醪。奋髯箕踞[注],枕麴藉糟,无思无虑,其乐陶陶。兀然而醉,豁尔而醒。静听不闻雷霆之声,熟视不睹泰山之形,不觉寒暑之切肌,利欲之感情。俯观万物,扰扰焉如江汉三载浮萍;二豪侍侧焉,如蜾蠃之与螟蛉
 +
===북망객사北芒客舍===
 +
泱漭望舒隐,黮黤玄夜阴。寒鸡思天曙,振翅吹长音。蚊蚋归丰草,枯叶散萧林。陈醴发悴颜,巴歈畅真心。缊被终不晓,斯叹信难任。何以除斯叹,付之与瑟琴。长笛响中夕,闻此消胸襟。
  
이후 오기는 위나라의 장군에 등용되었고, 업적을 쌓아 태수 대장군으로 임명된다. 그는 대장군에 임명된 이후, 최대 강국인 진나라와 싸워 5성()을 빼앗는 등 큰 공을 세웠다.
+
==일사轶事==
 +
*片锸任埋 유영은 항상 사슴이 끄는 수레를 타고 술을 싣고 하인에게는 삽을 메고 다니게 하였다. 그리고 유영은 하인에게 ‘내가 죽거든 죽은 자리에 묻거라’라고 말했다. 그는 생과 사에 마음을 두지 않고 이렇게 살았다.
 +
*刘伶病酒 유령은 음주를 많이 즐겨서 건강이 좋지 않았고 이상한 갈증을 느껴서 부인에게 술을 요구 했다. 부인은 술을 따라 버리고 술병을 깨고 울면서 말했다. “술을 너무 많이 마셨습니다. 이는 몸을 위하는 것이 아닙니다. 술을 꼭 끊으셔야 합니다.” 유령이 말했다. “좋소, 그러나 스스로는 술을 끊을 수 없소. 오직 귀신에게 기도를 올려야만 술을 끊을 수 있으니 제사를 위한 술과 고기를 준비하시오.” 부인이 말했다. “당신의 말에 따르겠어요.” 그래서 술과 고기를 신 앞에 두고 유령은 기도를 드리고 엎드린 채 말했다. “하늘이시어 저는 유령입니다. 술은 저의 운명입니다.  한번에 술 한 곡(), 5두의 술은 술병을 고칩니다. 여인의 말은 부디 듣지 마시옵소서.” 말을 마친 유령은 술과 고기를 들고 마시고 먹은 후에 술에 취해 곯아 떨어졌다.
  
====부하를 아꼈던 오기====
 
오기의 병사 사랑은 위나라에 가서도 계속되었다. 그의 병사 사랑은 그의 유명한 일화에서도 증명된다.
 
 
한 병사가 등창이 나서 매우 고생하였다.<br>의원이 그 병사의 종기를 보더니 이 종기는 다른 사람이 입으로 직접 빨아주지 않는 이상 치료될 수 없다고 말하였다.<br>이 말을 들은 오기는 직접 그 병사의 종기에 입을 대고 고름을 빨아 주었다.<br>오기 덕택에 이 병사의 종기는 말끔히 치료되었다.<br>이를 지켜본 병사의 고향 친구가 고향에 휴가를 갔을 때 종기가 난 병사의 어머니께 이 소식을 전해드렸다.<br>그런데 그 어머니는 갑자기 눈물을 흘리기 시작하였다. 부인의 눈물에 놀란 병사가 말하였다.<br><br>“부인은 왜 그렇게 슬퍼하시오. 당신의 아들 같은 졸병의 고름을 대장군께서 빨아 주었으니 기뻐해야 하는 것 아니오?” <br>하니 부인이 말하였다.<br><br>“사실 내 남편도 오기 장군 수하의 병사로 있었다오. 우리 집안의 내력이 등창이오.<br>그이도 전쟁 중에 등창을 앓았고, 이때도 오기 장군이 남편의 등창을 빨아주었소.<br>남편은 오기 장군에게 목숨 바쳐 은혜를 갚을 것을 약속하였고, 그는 정말 그를 위해 싸우다 목숨을 잃었소.<br>자식 또한 남편처럼 장군을 위해 목숨을 바치겠다 말하겠지. 남편을 잃고, 아이도 잃게 될 난 어찌 살라는 말인가?”
 
 
이 병사 또한 아버지와 같이 용감히 싸우다 전사하게 된다. 이 일화를 통해 오기가 얼마나 병사를 사랑했는지, 또한 병사들이 그를 얼마나 믿고 따랐는지 알 수 있다.
 
 
====오기와 [[위무후]]====
 
기원전 396년, 문후는 28년 동안 선정을 한 후에 세상을 떠났다. 그리하여 그의 아들 격이 왕위에 올랐고, 그가 바로 위무후이다. 그는 비상한 머리에 과감한 추진력 등 다방면에서 훌륭한 자질을 지녔으나, 아쉽게도 덕이 모자라고 성품이 과격하였다. 오기는 위무후에게 간언을 아끼지 않았으나 위무후는 그를 따르기보다는 그를 위태로운 존재로 인식하였고, 그에게 재상 자리 또한 하사하지 않는다. 하지만 [[오자병법]]에 위무후가 묻고, 오기가 답했던 기록이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위무후가 오기를 등한시했던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오기와 위무후 사이 감정의 골은 더욱 깊어져만 갔고, 생명에 위협을 느낀 오기는 초나나로 발걸음을 돌리고 만다.
 
 
===초나라의 재상이 되다===
 
====초나라를 개혁하다====
 
거처를 자주 옮겨 다녔던 오기이지만 위나라를 떠날 때만큼은 정말 마음이 시려왔다. 위문후를 존경하여 그에게 마음을 바친 그는 자기 목숨 또한 위나라에 바칠 것이라 결심하였다. 하지만 결심의 대가는 암살을 당할 위기로 다가왔다. 그는 착잡한 마음을 다잡으며 초나라에서 생애의 마지막 장을 연출할 것을 다짐하였다. 그는 초나라 도왕의 환대를 받았고, 초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재상이 된 그는 대대적인 개혁을 감행한다. 다음은 오기가 발표했던 핵심 개혁안이다.
 
 
남의 것을 훔친 자는 손목을 자르고, 뇌물을 주고받은 자는 매를 때린다.<br>필요 없는 관직은 없애고, 관리의 수를 줄일 것이다.<br>왕실의 먼 친척에게 주는 녹봉은 군사비로 바꾼다.<br>귀족들의 횡포를 막기 위해 각종 제도를 마련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금한다.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다===
 
====오기의 마지막 병법====
 
초나라에 오자마자 재상이 된 오기는 원래 있던 다른 신하들로부터 상당한 미움을 받았다. 이러던 오기를 등용하였던 도왕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오기는 왕의 시신을 지키던 중 자신을 시기하는 자들의 공격을 받았다. 그들은 오기에게 수십 개의 화살을 겨누었고, 우기는 화살이 날아오기 전에 왕의 시신 위로 몸을 날렸다. 오기의 몸에 고슴도치의 가시처럼 화살이 꽂혔고, 오기의 파란만장했던 60년 삶이 마감되었다. 도왕의 국장이 끝나자 태자 ‘웅장’이 보위에 올랐고, 당시 오기에게 화살을 쏘았던, 즉 도왕의 시신을 훼손한 자들을 모두 불러서 극형에 처하였다. 오기의 마지막 병법이 마무리되는 순간이었다.
 
 
 
==젊은 시절 묘사에 대한 의의 제기==
 
===증자에게 버림받다===
 
오자, 손자를 넘어선 불패의 전략가』의 저자 임건순은 본인의 저서에서 과연 오기가 어머니의 상 문제로 스승에게 쫓겨났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저서 속 그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
 
{{인용문|그런데 증자의 문하에서 쫓겨나 묵학을 배웠다 하니, 오기가 증자에게 버림받은 이야기에 의혹이 생깁니다. 오기는 정말 어머니 상례 문제로 스승에게 퇴출당했을까요? 당시 [[묵자]]의 학문은 공자의 학문과 양대 현학으로 불리며 공자의 학문과 대립하며 경쟁했습니다. 물과 기름이라고도 볼 수 있었지요. 유학은 귀족의 입장을 대변할 뿐, 군사의 일과는 거리를 두고 나라 살림살이를 꾸려가는 물적 토대를 보는 시야가 없었습니다. 이 탓에 현실에서는 무력할뿐더러 각론에서도 그리고 현장에서도 맥을 못 춘 학문이었지요. 이런 약점들이 유학을 공부하던 오기의 눈에 들어온 것이 아닐까요? 이런 이유로 오기가 스승과는 다른 학문의 길을 나눈 것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사문에서 퇴출되어 갈 곳이 없어 단순히 노나라의 병학을 배운 것이 아니라 자신의 발로 다른 길을 찾아 나선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략) 증자도 평소 제자를 무척이나 아꼈으니 부모의 마음으로 제자를 품에서 놓아줬을 수도 있습니다. 진정한 스승이라면 아량과 관용을 베풀었겠지요. 사실 증자의 인품이라면 그렇게 했을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그의 저술을 참고할 때 오기가 정말 증자에게 버림받았음을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아내를 죽이다===
 
『춘추전국이야기 7 – 76전 무패의 전략가 오기』의 저자 공원국은 본인의 저서에서 오기가 아내를 죽이지 않았음을 주장한다. 저서 속 그의 의견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인용문| 우리는 [[사마천]]의 [[사기]]에서 오기가 아내를 죽였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br>노나라의 어떤 이가 이렇게 오기를 비방했다. “오기는 시기심이 많고 잔인한 사람입니다. 어릴 적에는 집에 천금을 쌓아 놓았지만 벼슬을 구한다고 돌아다니다 실패하여 집을 파탄 냈고, 마을 사람들이 그를 비웃자 자기를 비방한 사람 서른 명 이상을 죽이고 동쪽으로 성문을 빠져 달아났습니다. 그리고 어머니와 헤어질 때는 자기 팔을 깨물며 맹세했는데, “저 기는 경상의 자리를 얻지 못하면 다시 위나라로 돌아오지 않겠습니다.”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증자를 섬겼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어머니께서 돌아가셨지만 오기는 결국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증자도 오기를 박덕한 인간으로 보고 그와 의절했습니다. 오기는 이에 노나라로 돌아가 병법을 배워 노나라 군주를 섬겼는데, 노나라 군주가 그를 의심하니 자기 처를 죽여서 장군의 자리를 구했습니다.”<br>그러나 이 말을 그대로 믿을 수 있을까? 오기가 얼마나 무예에 능한 사람이길래 서른 명을 죽이고도 무사히 달아날 수 있었단 말인가? 그리고 사람 보는 눈이 그토록 예민한 위 문후는 사람 30명을 죽인 오기를 왜 등용하였는가? 사기는 이토록 오기를 극악무도한 사람으로 서술해놓고, 그 이후의 서술에서는 그를 청렴결백하고 공평한다고 서술한다. 게다가 사기에는 저 말을 한 모함꾼의 이름 또한 등장하지 않는다. 과연 우리는 저 기록을 그대로 믿을 수 있는가?}}
 
이와 같은 그의 저술을 참고할 때 오기가 정말 자신의 아내를 죽였을 거라고 단언할 수 없다.
 
==평가==
 
* [[사마천|사마천(司馬遷)]] “세상에서 군사에 대해 말하는 사람들은 모두 [[손자]] 13편과 [[오자병법]]을 말하니 이 책들이 세상에 많이 있다.”
 
* [[한비자]]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군사의 일에 대해 떠들어대는데 집집마다 모두 손자와 오자의 책들을 가지고 있다”
 
* [[곽말약|곽말약(郭沫若)]] “오기는 중국 역사에서 영원히 마멸될 수 없는 인물로서 진의 통일 이전에 병가로서는 손무와 이름을 나란히 하고 정치가로서는 [[상앙]]과 함께 거론되는 인물이다.”
 
 
==주요작품==
 
===[[오자병법]]===
 
  
 
==참고문헌==
 
==참고문헌==
*임건순, <<오자, 손자를 넘어선 불패의 전략가>>, 시대의창, 2017 ISBN 978-89-5940-314-1
+
*百度百科 ‘劉伶’ http://baike.baidu.com/link?url=ru_Xd3rOmhRlFumsUKcz_KMydAmYj-vJbjkxqGHACUg7LPjc1x8jNkzWh4ewpXiwz4AOLHvqxQEv2Lhbxi4_omJCdh4RILD9EoKi8Q0xHQu#reference-[8]-5081631-wrap
*공원국, <<춘추전국이야기7-76전 무패의 전략가 오기>>, 역사의아침, 2014 ISBN 978-89-93119-72-5
+
*중국 위키피디아 '劉伶' https://zh.wikipedia.org/wiki/%E5%88%98%E4%BC%B6
*1.1. 오기, <<오자병법>>, 이영재 역, 범우사, 1993 ISBN 2002455002644
+
  
 
[[분류:인물]]
 
[[분류:인물]]

2019년 9월 19일 (목) 11:30 기준 최신판

유령(劉伶)

본관 패국
생존 시대 위진시대

개요

유령(???~???), 자는 백륜, 패국(오늘날 안휘성 회북)사람이다. 위진시기 명사이며, 유달리 술을 좋아하였고 호탕한 음주 습관을 갖고 있어서 ‘술을 좋아하는 제후(醉侯)’라고 불렸다. 노장 사상에 밝았으며 완적(阮籍)•혜강(嵆康)•산도(山濤)•향수(向秀)•완함(阮咸)•왕융(王戎)과 함께 죽림칠현이라 불렸다. 또한 죽림칠현 중 가장 낮은 사회지위를 가진 인물이었다. 유령은 일찍이 왕융 막부에서 건위장국을 지냈다. 무위이치(无为而治)를 통치이념으로 강력히 제창하였으나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해서 해직되었다. 태시泰始(진무제晋武帝연호)2년에 조정에서 다시 유령에게 관직을 주었지만 유령은 이를 거절하고 여생을 누린 후 죽었다. 현존하는 유령의 작품은 <주덕송(酒德颂)>과 <북망객사시(北芒客舍诗)> 두 편뿐이다. 이 작품들은 위진시대 명사들의 현학에 대한 숭상과 퇴폐에 대한 부정적인 정신세계를 잘 반영 하였다. 동시에 명교(名教) 예법에 대한 멸시와 자연을 향한 열망을 잘 표현 하였다. 후대에 이르러 유령은 예법에 대한 멸시와 술로써 세상을 외면하는 전형적인 인물이 되었다.


생애

세속에 구애 받지 않고 마음대로 살다

유령은 키가 6척(150cm미만)이었고 외모는 매우 추했고 성격은 건방졌다. 항상 우주와 만물을 조합하는 것에 뜻을 두었다. 사람과 교류하지 않았으며 과묵했고 세상 일에는 관심이 없었다. 오직 완적, 혜강하고만 교류하였다. 유령은 그들과 만날 때만 얘기하고 웃었고 재산이 있고 없고를 따지지 않고 의견이 매우 일치한 그들과 함께 산수를 즐겼다.

관직을 거절하다

진시황 초년, 유령은 왕위 막부 아래서 건위장군을 지냈다. 진(晋)나라가 건립된 후에는 치국의 방법으로 무위이치(无为而治)을 강력히 주장했다. 그러나 동년배가 매우 우수하여 높은 지위로 오르는데 오직 유령만 아무런 성과가 없자 관리직을 관두었다.

인물 사상

유령은 노장사상을 즐겨 공부했으며 생활에서는 예법에 구애되지 않았고 항상 술을 즐겼으며 심지어 술병이 생기는 경지에 이르렀다. 세속에 구애 받지 않고 음주를 즐겼으며 이치와 도리를 뛰어 넘는 일을 만들어 냈다. 술을 빌러 세상을 외면하는 것과 같았으며 ‘반은 취하고 반은 깨어 있는’ 혜강, 완적과 같은 인물보다 더 세상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인물이었다. 그가 술을 좋아하는 모습은 완전히 자신의 행위를 통해서 표현 되었다. 진무제 초년에 조정의 치국에 대한 물음에 대해 무위이치(无为而治)를 강하게 주장하였고 집권자들에게 자신이 불필요한 존재로 인식되게 하였다. 유령은 자신의 작품인 <주덕송>의 ‘오직 술 마시는 것을 일로 삼으니 어찌 다른 일을 알겠는가(惟酒是务,焉知其余)?’구절과 ‘내가 죽으면 그 자리 묻어라’라고 한 말 등을 통해서 왜 자신이 술 귀신인지와 자신은 뼛속까지 자연을 숭배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무위지치 정신의 재현은 그의 인격과 반항 정신을 잘 보여주며 후대의 사람들이 유령을 예법에 대한 멸시와 술을 즐기며 세상을 외면하는 것의 전형적인 인물로 인식하게 하였다.

작품

현존 하는 유령의 작품은 <북망객사北芒客舍>와 <주덕송酒德颂>이다. <북망객사北芒客舍>는 고체시이며 전체 시의 전반부 절반은 풍경을 묘사하고 있으며 나머지 후반부에서는 풍경을 보고 생긴 감정을 묘사하고 있다. 단계에 따라 구절을 적절히 배치하여 담백하고 명쾌하게 매끄럽게 시를 써내려 가면서 내재적인 운치를 잘 살렸다. <주덕송酒德颂>은 변려문이다. 문장을 가볍고 생동적으로 지었으며 작가의 의도 역시 호방하여 구애됨이 없다. 묘사가 생동적이고 재미있는 언어를 사용하였고 지나치게 꾸민 문장을 찾아 볼 수 없다. 이 작품은 위진시대 명사들의 현학에 대한 숭상과 퇴폐에 대한 부정적인 정신세계를 생동적으로 반영 하였다. 동시에 명교(名教) 예법에 대한 멸시와 자연을 향한 열망을 잘 표현 하였다.

주덕송酒德颂

有大人先生者,以天地为一朝,万朝为须臾,日月为扃牖,八荒为庭衢。行无辙迹,居无室庐,暮天席地,纵意所如。止则操卮执觚,动则挈榼提壶,唯酒是务,焉知其余? 有贵介公子,缙绅处士,闻吾风声,议其所以。乃奋袂攮襟,怒目切齿,陈说礼法,是非锋起。先生于是方捧罂承槽,衔杯漱醪。奋髯箕踞[注],枕麴藉糟,无思无虑,其乐陶陶。兀然而醉,豁尔而醒。静听不闻雷霆之声,熟视不睹泰山之形,不觉寒暑之切肌,利欲之感情。俯观万物,扰扰焉如江汉三载浮萍;二豪侍侧焉,如蜾蠃之与螟蛉

북망객사北芒客舍

泱漭望舒隐,黮黤玄夜阴。寒鸡思天曙,振翅吹长音。蚊蚋归丰草,枯叶散萧林。陈醴发悴颜,巴歈畅真心。缊被终不晓,斯叹信难任。何以除斯叹,付之与瑟琴。长笛响中夕,闻此消胸襟。

일사轶事

  • 片锸任埋 유영은 항상 사슴이 끄는 수레를 타고 술을 싣고 하인에게는 삽을 메고 다니게 하였다. 그리고 유영은 하인에게 ‘내가 죽거든 죽은 자리에 묻거라’라고 말했다. 그는 생과 사에 마음을 두지 않고 이렇게 살았다.
  • 刘伶病酒 유령은 음주를 많이 즐겨서 건강이 좋지 않았고 이상한 갈증을 느껴서 부인에게 술을 요구 했다. 부인은 술을 따라 버리고 술병을 깨고 울면서 말했다. “술을 너무 많이 마셨습니다. 이는 몸을 위하는 것이 아닙니다. 술을 꼭 끊으셔야 합니다.” 유령이 말했다. “좋소, 그러나 스스로는 술을 끊을 수 없소. 오직 귀신에게 기도를 올려야만 술을 끊을 수 있으니 제사를 위한 술과 고기를 준비하시오.” 부인이 말했다. “당신의 말에 따르겠어요.” 그래서 술과 고기를 신 앞에 두고 유령은 기도를 드리고 엎드린 채 말했다. “하늘이시어 저는 유령입니다. 술은 저의 운명입니다. 한번에 술 한 곡(斛), 5두의 술은 술병을 고칩니다. 여인의 말은 부디 듣지 마시옵소서.” 말을 마친 유령은 술과 고기를 들고 마시고 먹은 후에 술에 취해 곯아 떨어졌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