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后"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語源)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쌀 포.png|500px|오른쪽]]
 
 
갑골문에서 여성이 아이를 낳는 모습이었는데 금문에 들면서 자형이 줄고 변해 지금처럼 되었다. 아이를 낳은 여인이 최고라는 뜻에서 后稷에서처럼 임금을 비롯한 '최고'를 지칭하게 되었으나, 이후 皇后에서처럼 임금의 부인이라는 뜻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현대 중국에서는 後의 간화자로도 쓰인다. <ref>하영삼,『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 2014, p.776</ref>
 
갑골문에서 여성이 아이를 낳는 모습이었는데 금문에 들면서 자형이 줄고 변해 지금처럼 되었다. 아이를 낳은 여인이 최고라는 뜻에서 后稷에서처럼 임금을 비롯한 '최고'를 지칭하게 되었으나, 이후 皇后에서처럼 임금의 부인이라는 뜻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현대 중국에서는 後의 간화자로도 쓰인다. <ref>하영삼,『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 2014, p.776</ref>
  

2019년 12월 8일 (일) 12:01 판

語源

갑골문에서 여성이 아이를 낳는 모습이었는데 금문에 들면서 자형이 줄고 변해 지금처럼 되었다. 아이를 낳은 여인이 최고라는 뜻에서 后稷에서처럼 임금을 비롯한 '최고'를 지칭하게 되었으나, 이후 皇后에서처럼 임금의 부인이라는 뜻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현대 중국에서는 後의 간화자로도 쓰인다. [1]

갑골문의 경우 여자와 거꾸로 된 아이의 모습을 그려 아이를 낳는다는 의미를 나타내며, 毓과 같은 글자로 쓰이고 있다. 이후 이 글자는 금문단계에 들면서 알아보기 쉽지는 않지만 왼쪽부분이 사람의 모습을, 오른쪽이 거꾸로 된 모습을 표현했다가 소전 단계 이후부터는 지금처럼 변했다. [2]

文化

모계사회에서 아이를 낳아 기르는 공이란 더없이 크고 중요한 것이었으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우두머리를 后라 존경하여 불렀다. 여기서부터 后는 임금이나 황후를 뜻하게 되었다. [3]

  1. 하영삼,『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 2014, p.776
  2. 허영삼,『문화로 읽는 한자』, 동방미디어, 1997, p.89~90
  3. 허영삼,『문화로 읽는 한자』, 동방미디어, 1997, p.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