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정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왕희지) |
(→개요)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개요''' == | == ''' 개요''' == | ||
[[파일:난정서.jpg|200픽셀|사진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왕희지|오른쪽]] | [[파일:난정서.jpg|200픽셀|사진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왕희지|오른쪽]] | ||
− | 중국의 역사상 가장 혼란했던 시기인 위진남북조 시대에 역설적이게도 중국 역사상 가장 찬란했던 귀족문화가 꽃핀다. 그리고 난정서는 이러한 귀족문화의 정점에서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 + | 중국의 역사상 가장 혼란했던 시기인 위진남북조 시대에 역설적이게도 중국 역사상 가장 찬란했던 귀족문화가 꽃핀다. 그리고 난정서는 이러한 귀족문화의 정점에서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br> |
− | + | 난정서(蘭亭序)는 서성이라 불리는 왕희지의 서예작품 중에서도 최고로 꼽힌다. 그러나 난정서는 서예작품 뿐만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문학적 수준이 우수한 표현력을 갖고 있다. 또한 난정서에는 왕희지의 유, 불, 도가 융합된 사상과 자연과의 깊은 교감, 예리한 통찰에 의해 응집된 조화의 미가 표현되어 있다. | |
− | |||
이러한 이유들로 난정서는 차원 높은 예술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이러한 이유들로 난정서는 차원 높은 예술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
20번째 줄: | 19번째 줄: | ||
== ''' 난정서''' == | == ''' 난정서''' == | ||
+ | ===탄생 배경=== | ||
+ | 동진의 다섯 번째 임금 목제가 즉위한 지 9년째 되던 해인 영화 9년 3월 3일, 왕희지는 현재의 소흥 지역인 당시 회계현을 다스리던 회계내사이자 우군장군이었다. | ||
+ | |||
+ | 왕희지는 자신의 아들 7명을 포함한 사족과 명사 등 동진을 대표하는 41명의 인문들은 회계현의 난정에 초청해 대규모 연회를 열게 된다. 이날의 연회를 난정연회 또는 난정집회라고 부른다. 이러한 연회는 배타적인 동진시대 귀족문화의 특성상 사족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으므로 여러 가지 형식으로 자주 열렸다고 할 수 있다. | ||
+ | |||
+ | 이날은 삼월 삼짓날이었는데 계사 형식을 빌린 모임이었다. 이날의 모임은 술잔을 물에 떠내려 보내는 동안 시를 짓지 못하면 당시 벌주로 술 세 말을 마시는 소위 '유상곡수'의 연회였다. 당시 참석한 사람 중 유명 인사였던 왕희지, 사안, 손작 등 26명은 시를 지었고, 나머지 15명은 시를 짓지 못해 술을 마셨다. 이날 지은 시들을 모아 철을 하고 그 서문을 왕희지가 썼으며, 당시 참여한 인사 중 가장 문명이 높았던 손작이 그 집회를 마무리하는 후서를 쓰게 된다. 이 중 왕희지가 쓴 서문이 바로 난정서이다. | ||
+ | |||
+ | 당 현종 때이의 문인인 하연지가 기술한 난정기 또는 난정시말기라고도 하는 글을 보면, 당시 왕희지는 거나하게 술이 취한 상태에서 잠견지에 서수필로 28행 324자를 써서 이 작품을 완성하였다고 한다. | ||
+ | |||
+ | 난정이란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하는 것은 당대에 들어오면서부터이다. 후손에게 전해져오던 이 작품은 절대 권력자였던 당 태종의 손에 들어가게 된다. 태종은 왕희지의 글씨를 무척 좋아하여, 그의 작품을 모두 모았다. 당 태종은 왕희지의 글씨 중에서도 특히 이 난정서를 좋아하여 애지중지하다가 자신이 운명할 때 난정서를 자신과 함께 순장할 것을 명한다. 이에 난정서는 당 태종과 함께 소릉에 묻혀버렸고 이때부터 난정서는 이 세상에서 사라져버렸다고 하연지는 기술하고 있다. | ||
+ | |||
+ | ===내용=== | ||
+ | 난정서의 내용은 크게 세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 ||
+ | |||
+ | 첫 번째 단락은 당시 모임의 시간과 목적을 설명하고 있으며,난정에서 벌어진 모임의 성대함과 주위로 펼쳐진 경치의 아름다움을 감각적으로 기술하여 마치 그림을 보고 있는 듯이 영상화하고 있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명사들과 한자리에 어울려 그날의 풍경을 마주하고 있는 듯하다.또한 청명하고 쾌적한 날씨를 묘사하여 그곳에 모인 인사들의 청량한 기분에 즐거움이 더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물을 끌어들여 술잔을 띄워 흐르게 하고 그 술잔이 멈추는 자리에 앉은 사람이 시를 짓는 의식을 거행하는 모습에서 당시 명사들의 운치와 풍류를 엿볼 수가 있다.흐르는 물을 끌어 만든 '유상곡수'의 조경은 상류 귀족층의 풍류활동에 중요한 몫을 차지하였던 창조적이고 독특한 정원설계로, 위·진인들의 창의적이고 뛰어난 예술 감각이 드러나는 하나의 작품이자 풍류문화이다. | ||
+ | |||
+ | 두 번째 단락에서는 첫 번째 단락의 즐거움이 개인의 회포로 이어지고 있으며,장부로서 살아온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인생무상의 어쩔 수 없음을 토로하고 있다. ‘死生亦大矣’라는 구절은 죽고 사는 것은 언제나 큰일이라는 뜻으로,『장자』의 「德充 | ||
+ | 符」에 나오는 문구이다. 죽음과 삶 앞에 초연하고자 하나 그것을 초탈하지 못하고 ‘豈不痛哉!’즉,‘어찌 가슴 아픈 일이 아니겠는가!’라고 통감하고 있다. 죽음은 인생의 가장 큰 한계이자 또한 고통과 슬픔이 오는 것으로,어쩔 수 없이 자연의 섭리를 따라 흘러가는 인생의 철학을 관조하면서 슬프지만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 ||
+ | |||
+ | 마지막 단락에서는 이 서를 지은 까닭을 밝히고 있다.인간은 각 개인의 삶이 있고,느끼는 감정, 모습, 생각이 각양각색인 독립적 개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옛 사람들을 바라볼 때면 그들이 가졌던 기쁨,슬픔,고뇌 등의 삶의 순간을 피상적으로 함축해 버리기 쉽다. '고인들이 나서 살고 죽었다.'라는 것으로 일축해 버리는 현상에 왕희지는 후대인들도 자신들이 느꼈던 각각의 감정과 삶의 존재 또한 피상적으로 단정 짓게 될 것이라 생각하여 가슴 한켠에 비통함을 느꼈을 테고, 이에 존재감을 드러내고자 그날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순서대로 적은 것이다. | ||
+ | |||
+ | ===가치=== | ||
+ | 난정서에는 숭고한 자연을 경외와 동경하는 마음으로 대하면서 인간이 느끼는 삶에 대한 성찰과 고뇌가 담겨 있다. 또한 태어났을 때부터 언젠가 반드시 죽을 운명으로 정해져 있는 우리들 인간은 그러면 어떻게 살아가고 존재해야 할 것인가라는 물음이 들어 있다. 이러한 삶에 대한 철학과 함께 자연의 섭리에 따라 순응하며 주어진 순간을 소중하게 여기게 하는 삶에 대한 자세를 제시하는 교훈적인 사상까지 내포하고 있다. | ||
+ | |||
+ | 난정서에는 우주와 만물의 풍경과 정취를 그려놓았고 생과 사, 풍류의 허무함과 같은 인간사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압축해 놓았다. 당시 현존하는 사람이 과거를 본 것,후대인이 현재를 보는 것을 생각하며 생사와 시공을 초월한 감정을 분석해 놓았다. 이렇게 난정서는 예술을 넘어 유가와 도가,불법의 원리를 축소·압축한 종교사상철학서가 되기도 한다. | ||
+ | |||
+ | 이렇게 난정서는 단순히 서예미만 뛰어난 작품이 아니라, 문학적 그리고 철학적으로도 무척 가치가 뛰어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
2019년 12월 25일 (수) 22:31 기준 최신판
개요
중국의 역사상 가장 혼란했던 시기인 위진남북조 시대에 역설적이게도 중국 역사상 가장 찬란했던 귀족문화가 꽃핀다. 그리고 난정서는 이러한 귀족문화의 정점에서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난정서(蘭亭序)는 서성이라 불리는 왕희지의 서예작품 중에서도 최고로 꼽힌다. 그러나 난정서는 서예작품 뿐만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문학적 수준이 우수한 표현력을 갖고 있다. 또한 난정서에는 왕희지의 유, 불, 도가 융합된 사상과 자연과의 깊은 교감, 예리한 통찰에 의해 응집된 조화의 미가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난정서는 차원 높은 예술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왕희지
왕희지(307~365)의 자는 일소이다. 우장군을 지냈기에 보통 우군이라고도 부른다.
낭야 왕씨로 불리는 왕희지의 가문은 동진 시대 당시에 진군 사씨 집안과 더불어 최고의 사족 가문을 이루었다. 대대로 도교를 믿었고 전통적인 서예가 가문이었다.
당시 귀족들 가운데 왕씨, 사씨, 치씨 등은 서로 일족간의 혼인관계를 통해 폐쇄된 귀족사회를 유지하였는데, 그들 대부분은 문예에 뛰어났으며 서예에 능했다. 이런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란 왕희지는 축복받은 환경과 뛰어난 재능이 어우러져 서예사 최고봉인 서성으로 추앙받는 업적은 이루게 된 것이다.
왕희지는 도교에 매우 심취하였던 것으로 기록에 나와 있다. 비단 왕희지 자신뿐 아니라 낭야 왕씨 집안 자체게 대대로 도교를 믿는 독실한 집안이었다. 당시의 도교는 특히 서예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는데, 당시 도교의 영수들이 모두 서예를 잘하였으며, 또한 서예의 대가들이 모두 도교를 받드는 세가 출신들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왕희지가 서예에 힘쓴 것은 단순히 서예가 좋아서 하는 차원이 아닌, 일종의 '도교적 수양행위' 였던 셈이다.
한편 그는 거위를 매우 좋아하였다고 한다. 거위는 도교와 관계는 없으나, 거위의 목이 길고 유연하며 변화무쌍하여, 이러한 거위의 목을 보면서 서체와 서예의 획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난정서
탄생 배경
동진의 다섯 번째 임금 목제가 즉위한 지 9년째 되던 해인 영화 9년 3월 3일, 왕희지는 현재의 소흥 지역인 당시 회계현을 다스리던 회계내사이자 우군장군이었다.
왕희지는 자신의 아들 7명을 포함한 사족과 명사 등 동진을 대표하는 41명의 인문들은 회계현의 난정에 초청해 대규모 연회를 열게 된다. 이날의 연회를 난정연회 또는 난정집회라고 부른다. 이러한 연회는 배타적인 동진시대 귀족문화의 특성상 사족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으므로 여러 가지 형식으로 자주 열렸다고 할 수 있다.
이날은 삼월 삼짓날이었는데 계사 형식을 빌린 모임이었다. 이날의 모임은 술잔을 물에 떠내려 보내는 동안 시를 짓지 못하면 당시 벌주로 술 세 말을 마시는 소위 '유상곡수'의 연회였다. 당시 참석한 사람 중 유명 인사였던 왕희지, 사안, 손작 등 26명은 시를 지었고, 나머지 15명은 시를 짓지 못해 술을 마셨다. 이날 지은 시들을 모아 철을 하고 그 서문을 왕희지가 썼으며, 당시 참여한 인사 중 가장 문명이 높았던 손작이 그 집회를 마무리하는 후서를 쓰게 된다. 이 중 왕희지가 쓴 서문이 바로 난정서이다.
당 현종 때이의 문인인 하연지가 기술한 난정기 또는 난정시말기라고도 하는 글을 보면, 당시 왕희지는 거나하게 술이 취한 상태에서 잠견지에 서수필로 28행 324자를 써서 이 작품을 완성하였다고 한다.
난정이란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하는 것은 당대에 들어오면서부터이다. 후손에게 전해져오던 이 작품은 절대 권력자였던 당 태종의 손에 들어가게 된다. 태종은 왕희지의 글씨를 무척 좋아하여, 그의 작품을 모두 모았다. 당 태종은 왕희지의 글씨 중에서도 특히 이 난정서를 좋아하여 애지중지하다가 자신이 운명할 때 난정서를 자신과 함께 순장할 것을 명한다. 이에 난정서는 당 태종과 함께 소릉에 묻혀버렸고 이때부터 난정서는 이 세상에서 사라져버렸다고 하연지는 기술하고 있다.
내용
난정서의 내용은 크게 세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단락은 당시 모임의 시간과 목적을 설명하고 있으며,난정에서 벌어진 모임의 성대함과 주위로 펼쳐진 경치의 아름다움을 감각적으로 기술하여 마치 그림을 보고 있는 듯이 영상화하고 있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명사들과 한자리에 어울려 그날의 풍경을 마주하고 있는 듯하다.또한 청명하고 쾌적한 날씨를 묘사하여 그곳에 모인 인사들의 청량한 기분에 즐거움이 더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물을 끌어들여 술잔을 띄워 흐르게 하고 그 술잔이 멈추는 자리에 앉은 사람이 시를 짓는 의식을 거행하는 모습에서 당시 명사들의 운치와 풍류를 엿볼 수가 있다.흐르는 물을 끌어 만든 '유상곡수'의 조경은 상류 귀족층의 풍류활동에 중요한 몫을 차지하였던 창조적이고 독특한 정원설계로, 위·진인들의 창의적이고 뛰어난 예술 감각이 드러나는 하나의 작품이자 풍류문화이다.
두 번째 단락에서는 첫 번째 단락의 즐거움이 개인의 회포로 이어지고 있으며,장부로서 살아온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인생무상의 어쩔 수 없음을 토로하고 있다. ‘死生亦大矣’라는 구절은 죽고 사는 것은 언제나 큰일이라는 뜻으로,『장자』의 「德充 符」에 나오는 문구이다. 죽음과 삶 앞에 초연하고자 하나 그것을 초탈하지 못하고 ‘豈不痛哉!’즉,‘어찌 가슴 아픈 일이 아니겠는가!’라고 통감하고 있다. 죽음은 인생의 가장 큰 한계이자 또한 고통과 슬픔이 오는 것으로,어쩔 수 없이 자연의 섭리를 따라 흘러가는 인생의 철학을 관조하면서 슬프지만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마지막 단락에서는 이 서를 지은 까닭을 밝히고 있다.인간은 각 개인의 삶이 있고,느끼는 감정, 모습, 생각이 각양각색인 독립적 개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옛 사람들을 바라볼 때면 그들이 가졌던 기쁨,슬픔,고뇌 등의 삶의 순간을 피상적으로 함축해 버리기 쉽다. '고인들이 나서 살고 죽었다.'라는 것으로 일축해 버리는 현상에 왕희지는 후대인들도 자신들이 느꼈던 각각의 감정과 삶의 존재 또한 피상적으로 단정 짓게 될 것이라 생각하여 가슴 한켠에 비통함을 느꼈을 테고, 이에 존재감을 드러내고자 그날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순서대로 적은 것이다.
가치
난정서에는 숭고한 자연을 경외와 동경하는 마음으로 대하면서 인간이 느끼는 삶에 대한 성찰과 고뇌가 담겨 있다. 또한 태어났을 때부터 언젠가 반드시 죽을 운명으로 정해져 있는 우리들 인간은 그러면 어떻게 살아가고 존재해야 할 것인가라는 물음이 들어 있다. 이러한 삶에 대한 철학과 함께 자연의 섭리에 따라 순응하며 주어진 순간을 소중하게 여기게 하는 삶에 대한 자세를 제시하는 교훈적인 사상까지 내포하고 있다.
난정서에는 우주와 만물의 풍경과 정취를 그려놓았고 생과 사, 풍류의 허무함과 같은 인간사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압축해 놓았다. 당시 현존하는 사람이 과거를 본 것,후대인이 현재를 보는 것을 생각하며 생사와 시공을 초월한 감정을 분석해 놓았다. 이렇게 난정서는 예술을 넘어 유가와 도가,불법의 원리를 축소·압축한 종교사상철학서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난정서는 단순히 서예미만 뛰어난 작품이 아니라, 문학적 그리고 철학적으로도 무척 가치가 뛰어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학술논문 서지헌, 「난정서에 나타난 서예미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2
단행본 하태형, 『난정연회: 왕희지의 난정서와 중국 귀족문화』, 한길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