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규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어 표기 원칙)
1번째 줄: 1번째 줄:
 
이 지침은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 문서들의 통일성을 위해 일정 형식으로 편집하도록 안내하는 지침입니다. 이 편집 지침은 한국어 위키피디아의 편집지침을 기준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이 지침은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 문서들의 통일성을 위해 일정 형식으로 편집하도록 안내하는 지침입니다. 이 편집 지침은 한국어 위키피디아의 편집지침을 기준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표제어==
 
*표제어는 기본적으로 한글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중국어 표기 원칙==
 
*중국의 지명은 한국어식 발음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중국어 표기를 괄호( )로 표시한다.
 
**<nowiki> [[상하이]]→ [[상해]](上海) 저장성→ [[절강]](浙江) </nowiki>
 
 
*중국인 이름은 활동한 시기를 기준으로 [[신해혁명]] 이전의 인물은 한국어식 발음을, 이후의 인물은 중국어식 발음을 씁니다.
 
**신해혁명 이전 :  [[한유]], [[굴원]]
 
** 신해혁명 이후: [[쑨원]], [[덩샤오핑]]
 
**신해혁명 이후 인물 중 한국어식 발음도 널리 쓰이는 경우는 문서를 생성하여 중국어식 발음으로 넘겨줍니다. (예: [[등소평]] → [[덩샤오핑]])
 
  
 
== 일반 ==
 
== 일반 ==
18번째 줄: 6번째 줄:
 
<nowiki>글을 작성할 때에는 해당 문서에 맞는 [[분류:]]를 하나 이상 추가해야 합니다. </nowiki>
 
<nowiki>글을 작성할 때에는 해당 문서에 맞는 [[분류:]]를 하나 이상 추가해야 합니다. </nowiki>
  
'''굵은 글씨'''는 중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기울인 글씨''는 한글일 경우 되도록 사용하지 않습니다.  
+
'''굵은 글씨'''는 중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 첫 문단 ==
+
==표제어==
일반적으로 표제어를 첫 문장의 처음 부분에 쓰고, 그 표제어를 '''굵은 글씨'''로 표시합니다. 표제어에 내부 고리를 연결하지 않습니다.
+
*표제어는 기본적으로 한글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인명 ===
+
==중국어 표기 원칙==
'''이름'''(태어난 날~죽은 날) 순으로 씁니다. 이때, 한국인과 중국인은 성과 이름을 붙여 쓰고, 다른 나라 사람의 이름은 띄어 씁니다.
+
*중국의 지명은 한국어식 발음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중국어 표기를 괄호( )로 표시합니다.  
* '''김유정'''(金裕貞, [[1908년]] ~ [[1937년]])
+
예) <nowiki> [[상하이]][[상해]](上海) 저장성→ [[절강]](浙江) </nowiki>
날짜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는 ‘~경’, ‘무렵’, ‘즈음’을 사용합니다.
 
* '''피타고라스'''([[기원전 6세기]] 중반~[[497년]]경)
 
* '''소크라테스'''([[기원전 470년]]경~[[기원전 399년]] [[5월 7일]])
 
  
 +
*중국인 이름은 활동한 시기를 기준으로 [[신해혁명]] 이전의 인물은 한국어식 발음을, 이후의 인물은 중국어식 발음을 씁니다.
 +
예) 신해혁명 이전 :  [[한유]], [[굴원]] <br>
 +
신해혁명 이후: [[쑨원]], [[덩샤오핑]] <br>
 +
신해혁명 이후 인물 중 한국어식 발음도 널리 쓰이는 경우는 문서를 생성하여 중국어식 발음으로 넘겨줍니다. (예: [[등소평]] → [[덩샤오핑]])
  
 +
== 첫 문단 ==
 +
일반적으로 표제어를 첫 문장의 처음 부분에 쓰고, 그 표제어를 '''굵은 글씨'''로 표시합니다. 표제어에 내부 고리를 연결하지 않습니다.
  
 
=== 제목 ===
 
=== 제목 ===
 
제목 앞뒤에 붙는 화살괄호(〈〉, 《》)와 같은 문장 부호는 굵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제목 앞뒤에 붙는 화살괄호(〈〉, 《》)와 같은 문장 부호는 굵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 《'''태백산맥'''》은 조정래의 대하소설이다.
+
* 《'''[[논어]]'''》은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의 생전의 말씀을 기록한 책이다.
 
 
== 맞춤법 ==
 
{{참고|위키백과:어문 규정}}
 
기본적으로 [[국립국어원]]에서 지정한 어문 규정을 따르도록 합니다.
 
 
 
  
 
=== 문장 부호 ===
 
=== 문장 부호 ===
53번째 줄: 39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홑화살괄호
 
| style="text-align: center;" | 홑화살괄호
 
| 논문 등의 소규모 작품 제목
 
| 논문 등의 소규모 작품 제목
| 고구려의 유리명왕이 지은〈황조가〉가 전해지고 있다.
+
| 굴원의 주요 작품으로는 <이소〉가 있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겹화살괄호
 
| style="text-align: center;" | 겹화살괄호
 
| 단행본 등의 대규모 작품 제목
 
| 단행본 등의 대규모 작품 제목
| 《태백산맥》은 조정래의 대하소설이다.  
+
| 《논어》는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의 말씀을 기록한 책이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70번째 줄: 56번째 줄:
 
| 이때 이순신 장군이 외쳤다. “죽으려 하면 살 것이고, 살려 하면 죽을 것이다.”  
 
| 이때 이순신 장군이 외쳤다. “죽으려 하면 살 것이고, 살려 하면 죽을 것이다.”  
 
|}
 
|}
 
==== 따옴표와 주요 문장 부호 ====
 
*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를 쓸 때는 둥근 따옴표(<span style="font-size: x-large;">‘’“”</span>)를 씁니다. 하지만, 입력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고, “”의 경우 세벌식 최종 자판에서만 입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작은따옴표는 작은따옴표가 붙는 대상의 원래 뜻을 강조하거나 다른 방향으로 사용할 때 사용됩니다.
 
** 예: 오늘따라 짱구가 ‘미남’으로 보이는 것 같구나.
 
 
* 큰따옴표는 대화 내용이나 짧은 인용일 때 사용됩니다.
 
** 예 1: 이때 이순신 장군이 외쳤다. “죽으려 하면 살 것이고, 살려 하면 죽을 것이다.”
 
** 예 2: 미국의 한 정치학 교수는 이번 사건을 “현대인의 깊은 소외 현상이 빚어낸 최대 참사”라고 규정하였다.
 
 
* 줄 끝이 아닌 쉼표와 마침표 뒤에는 공백을 하나 넣습니다.
 
 
  
 
==== 작품 제목 표시에 쓰이는 부호 ====
 
==== 작품 제목 표시에 쓰이는 부호 ====
108번째 줄: 81번째 줄:
 
**《태백산맥》(太白山脈)
 
**《태백산맥》(太白山脈)
 
**《레 미제라블》({{lang|fr|''Les Misérables''}})
 
**《레 미제라블》({{lang|fr|''Les Misérables''}})
 
=== 인명이나 단체 ===
 
맞춤법에도 불구하고 인명이나 단체의 명칭은 해당 인물이나 단체가 대외적으로 정한 명칭에 따라 표기합니다.
 
  
 
== 날짜와 숫자 ==
 
== 날짜와 숫자 ==
117번째 줄: 87번째 줄:
 
=== 날짜 ===
 
=== 날짜 ===
 
모든 연도, 연대, 세기 문서의 제목은 각각 ‘-년’, ‘-년대’, ‘-세기’로 끝납니다. 이들 접미사 앞에는 공백이 붙지 않습니다. 기원전 날짜를 다루는 문서에서는 앞에 ‘기원전’이 붙고 기원전 뒤에는 공백을 넣습니다. – <small>예: 1950년, 1770년대, 18세기, 기원전 8세기</small>
 
모든 연도, 연대, 세기 문서의 제목은 각각 ‘-년’, ‘-년대’, ‘-세기’로 끝납니다. 이들 접미사 앞에는 공백이 붙지 않습니다. 기원전 날짜를 다루는 문서에서는 앞에 ‘기원전’이 붙고 기원전 뒤에는 공백을 넣습니다. – <small>예: 1950년, 1770년대, 18세기, 기원전 8세기</small>
 
여기서 [[연대 (서력)|연대]]는 10년 단위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1950년대는 1950년부터 1959년까지를 나타냅니다. [[세기]]는 100년 단위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19세기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1800년부터 1899년까지가 아님)를 나타내고, 기원전 3세기는 기원전 300년부터 201년까지를 나타냅니다.
 
 
  
 
== 분류 ==
 
== 분류 ==
{{본문|위키백과:분류}}
 
 
 
해당 분류명을 직접 설명하는 문서에는 <nowiki>[[분류:어떤 분류| ]]</nowiki>와 같이, |과 빈칸을 넣습니다.
 
해당 분류명을 직접 설명하는 문서에는 <nowiki>[[분류:어떤 분류| ]]</nowiki>와 같이, |과 빈칸을 넣습니다.
 
* [[글꼴]] → <nowiki>[[분류:글꼴| ]]</nowiki>
 
* [[글꼴]] → <nowiki>[[분류:글꼴| ]]</nowiki>
136번째 줄: 101번째 줄:
  
 
어떤 분류의 상위 분류가 존재할 때, 이 상위 분류를 달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분류:기하학]] 분류에 속하는 문서에는 [[:분류:수학]] 분류를 붙이지 않습니다.
 
어떤 분류의 상위 분류가 존재할 때, 이 상위 분류를 달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분류:기하학]] 분류에 속하는 문서에는 [[:분류:수학]] 분류를 붙이지 않습니다.
 
== 토막글 ==
 
{{본문|위키백과:토막글}}
 
 
문서의 길이가 비교적 짧다고 판단될 때에는, 토막글 틀을 붙일 수 있습니다. 토막글 틀은 바깥 고리 문단과 [[위키백과:둘러보기 틀|둘러보기 틀]]의 하단에 추가합니다.
 
 
이후 문서의 내용이 풍부해지면 이 토막글 틀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참고 ==
 
* [[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
 

2016년 1월 25일 (월) 00:29 판

이 지침은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 문서들의 통일성을 위해 일정 형식으로 편집하도록 안내하는 지침입니다. 이 편집 지침은 한국어 위키피디아의 편집지침을 기준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일반

한국어와 한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한국어가 아닌 언어를 쓸 때에는 괄호나 따옴표 안에 집어넣어 구분해 줍니다.

글을 작성할 때에는 해당 문서에 맞는 [[분류:]]를 하나 이상 추가해야 합니다.

굵은 글씨는 중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표제어

  • 표제어는 기본적으로 한글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중국어 표기 원칙

  • 중국의 지명은 한국어식 발음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중국어 표기를 괄호( )로 표시합니다.

예) [[상하이]]→ [[상해]](上海) 저장성→ [[절강]](浙江)

  • 중국인 이름은 활동한 시기를 기준으로 신해혁명 이전의 인물은 한국어식 발음을, 이후의 인물은 중국어식 발음을 씁니다.

예) 신해혁명 이전 : 한유, 굴원
신해혁명 이후: 쑨원, 덩샤오핑
신해혁명 이후 인물 중 한국어식 발음도 널리 쓰이는 경우는 문서를 생성하여 중국어식 발음으로 넘겨줍니다. (예: 등소평덩샤오핑)

첫 문단

일반적으로 표제어를 첫 문장의 처음 부분에 쓰고, 그 표제어를 굵은 글씨로 표시합니다. 표제어에 내부 고리를 연결하지 않습니다.

제목

제목 앞뒤에 붙는 화살괄호(〈〉, 《》)와 같은 문장 부호는 굵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 논어》은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의 생전의 말씀을 기록한 책이다.

문장 부호

설명 요약
기호 명칭 사용 용례
〈 〉 홑화살괄호 논문 등의 소규모 작품 제목 굴원의 주요 작품으로는 <이소〉가 있다.
《 》 겹화살괄호 단행본 등의 대규모 작품 제목 《논어》는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의 말씀을 기록한 책이다.
‘ ’ 홑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 단어나 구절의 인용 오늘따라 짱구가 ‘미남’으로 보이는 것 같구나.
“ ” 겹따옴표 또는 큰따옴표 문장의 인용 이때 이순신 장군이 외쳤다. “죽으려 하면 살 것이고, 살려 하면 죽을 것이다.”

작품 제목 표시에 쓰이는 부호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작품 제목을 표기할 때에는 보통 따옴표(' "), 낫표(「 」 『 』), 화살괄호(〈 〉 《 》), 부등호(< > << >> ≪≫) 등을 사용합니다. 작품 제목을 쓸 때 한글 제목은 작품 규모에 따라 단행본 등의 대규모 작품 제목은 겹화살괄호(《 》), 논문 등의 소규모 작품 제목은 홑화살괄호(〈 〉)를 사용합니다. 한자나 일본의 가나, 로마자를 사용할 때도 같은 원칙을 따릅니다.

  • 한글 제목에 겹화살괄호를 사용하는 작품의 예
    • 단행본 이상 규모의 문헌 - 《다빈치 코드》
    • 희곡 - 《햄릿》
    • 컴퓨터 게임과 비디오 게임 - 《바람의 나라》
    • 영화 - 《올드보이》
    • 장편시, 서사시 - 《오디세이아》
    • 음반 - 《백아절현》
    • 교향곡, 오페라 등 - 《핀란디아》
    • 텔레비전 시리즈 - 《겨울연가》
    • 시각예술 작품 - 《게르니카》
  • 한글 제목에 홑화살괄호를 사용하는 작품의 예
    • 논문, 기사(일회성 보고서 포함) 따위 - 〈시일야방성대곡〉
    • 더 긴 작품에서 따온 한 장(章)
    • 짧은 시 - 〈황조가〉
    • 노래 - 〈가고파〉
    • 단편소설 - 〈메밀꽃 필 무렵〉
  • 한자나 외국어 병기시의 예
    • 《태백산맥》(太白山脈)
    • 《레 미제라블》(틀:Lang)

날짜와 숫자

  • 날짜나 숫자의 범위를 나타낼 때는 줄표(-) 대신 물결표(~)를 씁니다.

날짜

모든 연도, 연대, 세기 문서의 제목은 각각 ‘-년’, ‘-년대’, ‘-세기’로 끝납니다. 이들 접미사 앞에는 공백이 붙지 않습니다. 기원전 날짜를 다루는 문서에서는 앞에 ‘기원전’이 붙고 기원전 뒤에는 공백을 넣습니다. – 예: 1950년, 1770년대, 18세기, 기원전 8세기

분류

해당 분류명을 직접 설명하는 문서에는 [[분류:어떤 분류| ]]와 같이, |과 빈칸을 넣습니다.

  • 글꼴 → [[분류:글꼴| ]]

해당 분류명을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문서(목록 등)에는 [[분류:어떤 분류|*]]와 같이, *를 넣습니다.

분류에 속하는 모든 문서의 제목이 동일한 접두어로 시작하면 |와 접두어를 뺀 제목을 넣습니다.

표제어가 실제로 가리키는 낱말과 표제어의 이름이 다를 경우 |와 실제로 가리키는 낱말을 넣습니다.

어떤 분류의 상위 분류가 존재할 때, 이 상위 분류를 달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분류:기하학 분류에 속하는 문서에는 분류:수학 분류를 붙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