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福"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에서, 福 은 두 손으로 제단에 술을 올려놓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축복을 빌면서...) |
(→語源)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복 복.png|500픽셀|오른쪽]] | [[파일:복 복.png|500픽셀|오른쪽]] | ||
− | + | [[갑골문]]에서 [[福]]은 두 손으로 제단에 술을 올려놓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축복을 빌면서 신에게 술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 ‘축복’의 의미를 가진다. [[示]](신주)가 생략되거나 또는 두 손이 생략되는 경우도 있지만 의미는 동일하다.<ref>熊国英, 《图释古汉字 》, 齐鲁书社, 2006, p.64</ref> | |
==文化== | ==文化== | ||
− | 福의 왼쪽은 제단을 나타내는 | + | 福의 왼쪽은 제단을 나타내는 [[示]]이고, 오른쪽은 술 단지를 나타내는 [[酉]]이다. 제단에 술을 올려놓고 축복을 비는 것을 의미한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조상의 사당 앞에 술을 두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성스러운 장소의 앞에 술을 놓아두는 의미의 존<ref> 시라카와 시즈카, 《한자의 세계》, 솔출판사, p.446</ref> 酉 안에 있는 횡선은 술이 가득함을 표현한 것으로, 소전에서 酉이 畐로 바뀌면서 더 이상 술단지의 모양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이는 육국고문에서 소전으로의 변화 및 자형의 통일과정을 보여준다.<ref>스딩궈, 《한자와 중국문화》, 역락, p.294 </ref> |
+ | |||
+ | 畐 자는 [[口]]나, [[田]]자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이 글자는 酉와 마찬가지로 목이 긴 술항아리의 측면을 재현한 것이다. 후에 畐는 ‘술이 가득하다’는 의미에서 ‘풍만’의 의미를 가지는데, 항아리에 물건이 가득 찼을 때, 마음이 충족함에서 비롯하여, 갑골문에서는 ‘행복’, ‘번영’이라는 뜻으로 확대되었다. '채우다'와 행복'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이 글자의 처음형식에 예측을 상징하는 示가 더해짐으로써 福이 만들어졌다는 주장도 존재한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p.199</ref> | ||
+ | |||
+ | 현대 중국 사회에서도, 福자를 종이에 써 거꾸로 붙여놓은 곳이 많은데 이는 단지나 항아리에 들어 있는 복이 아래로 많이 흘러내리길 바라는 마음이다.<ref> 금유길, 《한자의 기원 (下)》, 무량수, p.699</ref> 이에 대해서 ‘뒤집히다’의 [[倒]][dào]와 ‘도달하다’의 [[到]][dào]의 발음이 같아, 福을 뒤집어 놓으면 복이 온다는 의미에서 뒤집어 놓는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상서(尚书)에 따르면, 고대 중국인들은 장수, 부유, 건강, 품덕, 그리고 일생의 평안의 오복을 빌었다고 한다.<ref> 스딩궈, 《한자와 중국문화》, 역락, p.295</ref> 이는 福의 의미가 5가지로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허나 현대에는 일반적으로는 [[祸]](재앙 화)와 반대되는, ‘행복’이나 ‘행운’의 의미로 사용된다.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20년 12월 21일 (월) 22:46 기준 최신판
語源
갑골문에서 福은 두 손으로 제단에 술을 올려놓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축복을 빌면서 신에게 술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 ‘축복’의 의미를 가진다. 示(신주)가 생략되거나 또는 두 손이 생략되는 경우도 있지만 의미는 동일하다.[1]
文化
福의 왼쪽은 제단을 나타내는 示이고, 오른쪽은 술 단지를 나타내는 酉이다. 제단에 술을 올려놓고 축복을 비는 것을 의미한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조상의 사당 앞에 술을 두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성스러운 장소의 앞에 술을 놓아두는 의미의 존[2] 酉 안에 있는 횡선은 술이 가득함을 표현한 것으로, 소전에서 酉이 畐로 바뀌면서 더 이상 술단지의 모양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이는 육국고문에서 소전으로의 변화 및 자형의 통일과정을 보여준다.[3]
畐 자는 口나, 田자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이 글자는 酉와 마찬가지로 목이 긴 술항아리의 측면을 재현한 것이다. 후에 畐는 ‘술이 가득하다’는 의미에서 ‘풍만’의 의미를 가지는데, 항아리에 물건이 가득 찼을 때, 마음이 충족함에서 비롯하여, 갑골문에서는 ‘행복’, ‘번영’이라는 뜻으로 확대되었다. '채우다'와 행복'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이 글자의 처음형식에 예측을 상징하는 示가 더해짐으로써 福이 만들어졌다는 주장도 존재한다.[4]
현대 중국 사회에서도, 福자를 종이에 써 거꾸로 붙여놓은 곳이 많은데 이는 단지나 항아리에 들어 있는 복이 아래로 많이 흘러내리길 바라는 마음이다.[5] 이에 대해서 ‘뒤집히다’의 倒[dào]와 ‘도달하다’의 到[dào]의 발음이 같아, 福을 뒤집어 놓으면 복이 온다는 의미에서 뒤집어 놓는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상서(尚书)에 따르면, 고대 중국인들은 장수, 부유, 건강, 품덕, 그리고 일생의 평안의 오복을 빌었다고 한다.[6] 이는 福의 의미가 5가지로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허나 현대에는 일반적으로는 祸(재앙 화)와 반대되는, ‘행복’이나 ‘행운’의 의미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