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운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백화운동은 1910년대 후반 중화민국에서 일어났다. 그때까지의 문장어로서의 고문(문어문)에서 구어로서의 백화(구어문)로의 전환을 추진...)
 
3번째 줄: 3번째 줄:
 
==개요==
 
==개요==
 
중국에서는 한대 이래, 고전의 어휘나 어법을 기초로 하는 문어문이 정통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미국에 유학한 [[후스]]는 현지 구어문의 사실성과 대중적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는 정보 전달 능력을 가지는 것, 그것이 국민국가에 있어서 미디어 언어로서 문어문을 압도하고 있는 것을 통감하게 되었다. 그는 그때까지의 중국의 '사대부 계급=문어문', '하층민=백화'라는 언어 가치 체계를 전환하여 '문어문=旧', '구어문=新'이라는 언어진화론을 착상했다. 1916년 8월 그의 일기에 구어문의 전면적 사용을 내용으로 하는 '문학혁명여덟조건'을 기록했다. 그의 8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br>
 
중국에서는 한대 이래, 고전의 어휘나 어법을 기초로 하는 문어문이 정통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미국에 유학한 [[후스]]는 현지 구어문의 사실성과 대중적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는 정보 전달 능력을 가지는 것, 그것이 국민국가에 있어서 미디어 언어로서 문어문을 압도하고 있는 것을 통감하게 되었다. 그는 그때까지의 중국의 '사대부 계급=문어문', '하층민=백화'라는 언어 가치 체계를 전환하여 '문어문=旧', '구어문=新'이라는 언어진화론을 착상했다. 1916년 8월 그의 일기에 구어문의 전면적 사용을 내용으로 하는 '문학혁명여덟조건'을 기록했다. 그의 8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br>
'''1. 모름지기 말(글)에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
+
'''1. 모름지기 말(글)에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br>
'''2. 옛사람을 모방하지 마라'''
+
'''2. 옛사람을 모방하지 마라'''<br>
'''3. 모름지기 문법에 맞아야 한다'''
+
'''3. 모름지기 문법에 맞아야 한다'''<br>
'''4. 병 없이 신음하지 마라'''
+
'''4. 병 없이 신음하지 마라'''<br>
'''5. 힘써 낡은 글투를 버려야 한다'''
+
'''5. 힘써 낡은 글투를 버려야 한다'''<br>
'''6. 전고를 쓰지 마라'''
+
'''6. 전고를 쓰지 마라'''<br>
'''7. 대구를 중시하지 마라'''
+
'''7. 대구를 중시하지 마라'''<br>
 
'''8. 속자나 속아를 피하지 마라'''<br/>
 
'''8. 속자나 속아를 피하지 마라'''<br/>
 
이 '문화혁명여덟조건'은 이듬해인 1917년 1월호 잡지 [[신청년]]에 '문학개량추의'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이에 대해 이 잡지 편집장인 [[진독수]]는 다음호 권두에 '문화혁명론'을 싣고 "귀족문학, 고전문학, 은둔문학을 타도하고 평민문학, 사실문학, 사회문학을 건설하자"고 주장했다.
 
이 '문화혁명여덟조건'은 이듬해인 1917년 1월호 잡지 [[신청년]]에 '문학개량추의'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이에 대해 이 잡지 편집장인 [[진독수]]는 다음호 권두에 '문화혁명론'을 싣고 "귀족문학, 고전문학, 은둔문학을 타도하고 평민문학, 사실문학, 사회문학을 건설하자"고 주장했다.

2020년 12월 23일 (수) 03:20 판

백화운동은 1910년대 후반 중화민국에서 일어났다. 그때까지의 문장어로서의 고문(문어문)에서 구어로서의 백화(구어문)로의 전환을 추진하여 언문일치를 목표로 새로운 문학을 창조하려던 운동이다.

개요

중국에서는 한대 이래, 고전의 어휘나 어법을 기초로 하는 문어문이 정통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미국에 유학한 후스는 현지 구어문의 사실성과 대중적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는 정보 전달 능력을 가지는 것, 그것이 국민국가에 있어서 미디어 언어로서 문어문을 압도하고 있는 것을 통감하게 되었다. 그는 그때까지의 중국의 '사대부 계급=문어문', '하층민=백화'라는 언어 가치 체계를 전환하여 '문어문=旧', '구어문=新'이라는 언어진화론을 착상했다. 1916년 8월 그의 일기에 구어문의 전면적 사용을 내용으로 하는 '문학혁명여덟조건'을 기록했다. 그의 8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모름지기 말(글)에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
2. 옛사람을 모방하지 마라
3. 모름지기 문법에 맞아야 한다
4. 병 없이 신음하지 마라
5. 힘써 낡은 글투를 버려야 한다
6. 전고를 쓰지 마라
7. 대구를 중시하지 마라
8. 속자나 속아를 피하지 마라
이 '문화혁명여덟조건'은 이듬해인 1917년 1월호 잡지 신청년에 '문학개량추의'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이에 대해 이 잡지 편집장인 진독수는 다음호 권두에 '문화혁명론'을 싣고 "귀족문학, 고전문학, 은둔문학을 타도하고 평민문학, 사실문학, 사회문학을 건설하자"고 주장했다. 잡지 신청년은 1915년 창간에서 주요 집필자는 노신, 후스, 주작인 등 베이징의 지식인, 특히 베이징대학교의 교수진에서 차지되었다. 그들은 민주와 과학을 표방하며 유교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며 전면 구화론을 주창했다. 문학혁명은 이 신청년에 의해 실행된 것이다. 그리하여 그해부터 신청년의 지면 거의 전부에서 백화문이 도입되면서 백화운동은 극적으로 진행되었다.

의의

백화운동은 단순히 문구를 배제하고 백화를 채택했다는 것만이 아니다. 백화의 채용만이라면 그 이전에도 통속소설용으로 근세백화가 이용되었으며 대중계몽으로서의 백화보와 백화총서도 발행되었다. 그러나 문인들 사이에는 전혀 정통 문체로 인식되지 못하였다. 백화운동은 그러한 백화에 정통적 지위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참고문헌

1. 藤井省三,『魯迅-東アジアを生きる文学』,岩波新書,2011 2. 井ノ口哲也,『入門中国思想史』,勁草書房,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