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과 금문에서 箙자는 본래 회의자이다. 이 글자는 화살을 끼워 넣는 선반을 형상했다. 윗...) |
잔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전동 복.png|500픽셀|오른쪽]] | [[파일:전동 복.png|500픽셀|오른쪽]] | ||
− | + | [[갑골문]]과 [[금문]]에서 箙자는 본래 회의자이다. 이 글자는 화살을 끼워 넣는 선반을 형상했다. 윗부분은 거꾸로 끼워져 있는 화살을 형상했다. 즉 그것은 본래 화살을 담는 도구를 의미했다. 소전의 箙자는 竹를 따르고 服을 성부로 따르는 형성자이다. 화살을 담는 선반은 대나무 또는 동물 가죽으로 많이 제작되었다.통의 형태는 기록된 갑골문이나 금문의 형태가 제각각이지만, 담는 물건은 화살로 같았다. 葡과 같은 뜻이며, 예서에서 하단부가 [[服]]으로 통일되었다. <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 p.65</ref> | |
==文化== | ==文化== | ||
− | 箙자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 + | 箙자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글자를 구성하는 [[服]]의 어원에 대해 찾아보았다. 服에 대해 설문에서는 “다스리는 것이다. 又와 㔾을 따른다. 㔾은 일의 마디이다”라고 하였다.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손으로 사람을 내리누르면서 굴복시키는 모습을 본뜨고 있었는데, 나중에 손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으로 자형이 변화되었다. 그러면서 이 글자를 잘못 인식하여 급으로 여기기도 하였다.<ref> 허진웅, 《중국 문자학 강의》, 고려대학교출판부, pp.461,560</ref> 잡은 노예를 배에 싣고 오는 모습을 그렸다. ‘복종하다’가 원뜻이다. 노예를 잡아와 꿇어앉힌 모습이다. 미칠 급 及과 비슷한데, 꿇어앉은 모습과 도망가는 모습이 다르다.<ref> 김성재, 《갑골에 새겨진 신화와 역사-문자에 숨은 고대인의 삶을 찾아서》, 동녘, p.555</ref> 이처럼 服의 어원과 箭자의 갑골문, 금문은 다르기 때문에 관련된 연관성은 없으며, 단지 후대에 箙이 服의 자형에 영향을 받았다.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20년 12월 23일 (수) 21:26 기준 최신판
語源
갑골문과 금문에서 箙자는 본래 회의자이다. 이 글자는 화살을 끼워 넣는 선반을 형상했다. 윗부분은 거꾸로 끼워져 있는 화살을 형상했다. 즉 그것은 본래 화살을 담는 도구를 의미했다. 소전의 箙자는 竹를 따르고 服을 성부로 따르는 형성자이다. 화살을 담는 선반은 대나무 또는 동물 가죽으로 많이 제작되었다.통의 형태는 기록된 갑골문이나 금문의 형태가 제각각이지만, 담는 물건은 화살로 같았다. 葡과 같은 뜻이며, 예서에서 하단부가 服으로 통일되었다. [1]
文化
箙자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글자를 구성하는 服의 어원에 대해 찾아보았다. 服에 대해 설문에서는 “다스리는 것이다. 又와 㔾을 따른다. 㔾은 일의 마디이다”라고 하였다.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손으로 사람을 내리누르면서 굴복시키는 모습을 본뜨고 있었는데, 나중에 손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으로 자형이 변화되었다. 그러면서 이 글자를 잘못 인식하여 급으로 여기기도 하였다.[2] 잡은 노예를 배에 싣고 오는 모습을 그렸다. ‘복종하다’가 원뜻이다. 노예를 잡아와 꿇어앉힌 모습이다. 미칠 급 及과 비슷한데, 꿇어앉은 모습과 도망가는 모습이 다르다.[3] 이처럼 服의 어원과 箭자의 갑골문, 금문은 다르기 때문에 관련된 연관성은 없으며, 단지 후대에 箙이 服의 자형에 영향을 받았다.